The Effect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s on Academic Performance: Evidence from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학교교육 수준 및 실태 분석 연구: 중학교' 자료를 이용한 사교육비 지출의 성적 향상효과 분석

  • 강창희 (중앙대학교 경영경제대학 경제학부)
  • Received : 2011.09.06
  • Published : 2012.05.31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s on academic perform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using data from "Analysis of the Level of School Education and Its Actual condition: Middle School". In the face of endogeneity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s, the paper employs an instrumental variable (IV) method and a nonparametric bounding method. Using both methods we show that the true effect of private tutor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remains at most modest in Korea. The IV results suggest that a 10 percent increase in tutoring expenditure for Korean, English and math raises a student's test score of the subject at the largest by 1.24, 1.28, and 0.75 percent, respectively. The bounding results also fail to show evidence that an increase in tutoring expenditure leads to economical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est score.

본 논문은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교육 수준 및 실태 분석 연구: 중학교' 자료를 이용하여 중학교 3학년 학생에 대한 사교육비 지출이 어느 정도의 성적 향상효과가 있는지를 추정한다. 사교육비의 내생성을 통제하기 위해 본 논문은 도구변수법과 비모수 구간추정법(nonparametric bounds analysis)을 사용한다. 분석 결과, 두 방법에서 공통적으로 사교육비 지출의 증가가 유의미한 정도의 성적 향상으로 연결된다는 확실한 증거가 발견되지 않는다. 도구변수법의 결과에 의하면, 10% 높은 사교육비 지출은 국어, 영어, 수학 성적을 각각 약 1.24%, 1.28%, 0.75% 향상시킨다. 구간추정법에서는 국어, 영어, 수학 과목에서 모두 10% 증가된 사교육비 지출의 효과가 0보다 크다는 증거를 찾기 어렵다. 본 논문의 실증 결과는 내생성을 통제한 여타의 연구들과 비슷한 결과를 보여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