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Watertightness Improvement of Hybrid Method Using Polyvinyl Acetate(PVAc)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c)를 이용한 복합공법의 수밀성능 향상에 관한 연구

  • 류재석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 송일현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 이용수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2.03.09
  • Accepted : 2012.04.30
  • Published : 2012.07.30

Abstract

In this study, hybrid method using polyvinyl acetate (PVAc) which has a strong adhesion and flexibility in which acrylic copolymer chemical-reaction reacts with cement, and is eco-friendly, is to improve the watertightness. The hybrid method is applied applied primarily waterproof stuff comprising silicate system and secondary mortar mixed with PVAc on the concrete surface. And then,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the properties of bond strength and amount of water absorption were measured. Based on the above experiments, mock-up specimens for field application were fabricated, and then the properties were evaluated as laboratory experiments. As the results, specimens cast from hybrid method using PVAc showed the best results on watertightness and bond strength. And also, with respect to experiment of mock-up specimens, the properties were in agreement with laboratory results. Especially, it could know that PVAc has strengthening effect from the results of the compressive strength. Due to outstanding results of carbonation depth and resistance to chloride ion penetration, it may be applied in weak areas such as underground and marine structures.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에 작용하는 아크릴 코폴리머의 화학반응을 통해 강한 점착성과 유연성을 가지는 친환경적인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c)를 이용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복합공법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한 실험 방법으로 1차로 실리케아트계 침투성 방수제를 도포 한 후, 2차로 PVAc를 혼입한 모르타를 도포한 후에 부착강도 및 흡수량에 대한 특성을 검토하였다. 이 실험 결과를 토대로 하여 현장 적용을 위한 Mock-up 부재를 제작하였고, 이 시험 부재에 대하여 복합공법을 적용한 후 실내 시험과 동일한 성능을 검토하였다. 또한, 탄산화 및 염소 이온 침투저항성 평가를 실시하여 내구성이 취약한 환경에 적합한지 여부를 검토 하였다. 그 결과 PVAc를 이용한 복합공밥을 적용한 시험체가 수밀성능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부착강도 또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간이 Mock-up 부재에 대한 성능평가에서 실내 시험과 동일한 경향을 보였으며, 압축강도 시험결과 보강 효과를 발휘함을 알 수 있었다. 탄산화 및 염소 이온 침투저항성 내구 성능 평가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어 지하구조물 및 해양구조물 등과 같은 취약한 지역에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규성, 배기선, 오상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방지를 위한 방수층의 거동 대응성 평가 방법", 구조물진단학회지, 제10권 2호, 2006, pp.3-8.
  2. 구민세, 박언규, "콘크리트 침투성 방수제의 실험적 연구", 콘크리트학회논문집, 제8권 1호, 1996, pp.138-144.
  3. 권영진, 정희공, 오상근, "특수시멘트혼입 에폭시수지계 바탕 조정재를 사용한 습윤면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방수, 방식 및 보수기술(Refresh기술)의 개발과 활용방안", 구조물진단학회지, 제5권 1호, 2001, pp.49-54.
  4. 류재석, 이용수, 강대관, 최형준, 최창열, "접착성능의 향상을 위한 하이브리드 방수 공법에 대한 특성 평가", 한국구조물진단학회 봄학술발표회, 2011, pp.280-281.
  5. 오상근, "콘크리트 방수의 현상과 대책", 한국콘크리트학회지, 제6권 2호, 1994, pp.40-52.
  6. 홍종돈, "변성 실리콘계 유.무기 복합 표면 보호재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표층부 방수성능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석사학회논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08, pp.5-15.
  7. ASTM C 1202, "Standard Test Method for Electrical Indication of Concrete's Ability to Resist Chloride Ion Penetration", 2010.
  8. Geist, J. M., Amagna, S. V. and Mellor, B. B., "Improved Portland Cement Mortar with Polyvinyl Acetate Emusions", Industry and Engineering Chemisty, vol. 45, No. 4, 1953, pp.759-769. https://doi.org/10.1021/ie50520a031
  9. KS F 2596, "Method of measuring carbonation depth of concrete", 2004.
  10. KS F 4918, "Cement mixed siliceous power waterproof coatings", 2008.
  11. KS F 4930, "Penetrating water repellency of liquid type for concrete surface application", 2007.
  12. KS L 5207, "Physical testing method of aluminous cement for refractories", 2009.
  13. Mehta, P. K. and Monteiro, P. J. M., "Concrete-Microstructure, Properties and Materials", McGraw-Hill, USA, 2006, pp.203-251.
  14. Ohama, Y., "Handbook of Polymer-Modified Concrete and Mortar", Noyes Publications, USA, 1995.
  15. Ohama, Y., "Polymer-based Admixtures",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 vol. 20, Issues 2-3, 1998, pp.189-212. https://doi.org/10.1016/S0958-9465(97)00065-6
  16. Pei, M., Kim, W. K., Hyung, W. G., Ango, A J. and Soh, Y. S.. "Effects of emulsifiers on properties of poly (styrene-butyl acrylate)latex-modified mortar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32, Issue 6, 2002, pp.837-841. https://doi.org/10.1016/S0008-8846(01)00733-5
  17. Ravve, A., "Principles of Polymer Chemisty", Plenum Press, USA, 2003, pp.269-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