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for Relation Between Fatigue and Structural Members on Othortropic Steel Deck

직교이방성 강바닥판 피로와 구조부재의 관계에 대한 연구

  • 박종인 (삼성물산 토목사업팀) ;
  • 홍성남 (성균관대학교 과학기술연구소) ;
  • 김태완 (삼성물산 토목Eng.팀) ;
  • 박선규 (성균관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11.11.22
  • Accepted : 2012.04.10
  • Published : 2012.05.30

Abstract

Improvement of steel material quality made fatigue problems more critical than failure of the material itself. In many cases, cracks on the welded parts of steel deck bridges are reported against the failure of steel materials. And the cracks are caused by alternate stress on the welded parts due to live loads on the bridge. The range of alternate stress on the welded part is related to property of the sections which compose othortropic steel deck. Othortropic steel deck is mainly composed of deck plate, ribs and floor beams, wearing surface, etc. In this paper, a methology to estimate the alternate stress for pthortropic steel deck using Pelikan-Esslinger method and signed Von-Mises equivalent stress is proposed first. Parametric study served references for fatigue stresses when designing or repairing othortropic steel deck bridges, by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alternate stress range and properties of steel deck members.

강재의 품질향상으로 강교에 있어서 재료자체의 파괴보다는 반복하중에 의한 피로균열 문제가 더욱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재료의 항복으로 인한 교량의 붕괴 등의 사례는 거의 보고되고 있지 않지만 용접부에 발생하는 피로균열에 대한 사례는 매우 많이 보고되고 있다. 종리브와 횡리브, 데크 플레이트로 구성된 직교이방성 강바닥판의 피로응력은 강바닥판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구성 형태 및 물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Pelikan-Esslinger method와 signed Von-Mises 등가응력 개념을 활용하여 직교이방성 강바닥판의 피로응력을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직교이방성 강바닥판 구성요소들의 구성형태와 물성을 변화시켜 피로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직교이방성 강바닥판의 피로응력과 구성요소의 상관관계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설계 및 유지보수 시에 더 효율적인 대안을 찾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강도로교 상세부 설계지침", 2006.
  2. 경갑수, 신동호, 김교훈, "구조상세부의 피로거동을 고려한 고성능 강바닥판 개발에 관한 해석적연구",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vol. 18, No. 4, 2006.
  3. 경갑수, 신동호, 박경진, "강바닥판의 피로손상 대책 및 보강 방법", 한국강구조학회 학술지, 제18권 1호, 통권 제66호, 2006.
  4. 대한토목학회, "케이블 강교량 설계지침(안)", 2006.
  5. 목포대교 구조계산서, 강바닥판 설계편, 2005.
  6. 이종엽, "포장과 강바닥판 거동 특성과의 해석적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공학석사 논문, 2010.
  7. 이학주, 강재윤, 최병인, 김주성, "동력학 시뮬레이션에 의한 다축 랜덤하중 하에서의 자동차 서브프레임의 고 되풀이수 피로손상 평가", 대한기계학회 논문집 A권, 제27권 6호, 2003. https://doi.org/10.3795/KSME-A.2003.27.6.946
  8. 전성수, 유성현, 김문영, "강상판형교의 응력해석 방법에 관한 비교연구",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 vol. 2008, No. 10, 2008.
  9. 전진수, 배두병, 오순택, 공병승, 최준호, "내부다이아프램이 설치된 강바닥판교 3차원 실물 모형체의 피로강도",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 vol. 2002, No. 11, 2002.
  10. 최동호, 최항용, "강바닥판 데크플레이트와 종리브 현장연결 스캐럽부의 피로강도 평가",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vol. 14, No. 6, 2002.
  11. 한국도로교통협회, "건설교통부 제정 도로교 설계기준", 2005.
  12. 한국도로교통협회, "도로설계기준 및 해설", 2008.
  13. 한태진, "3차원 실물 강바닥판 시험체의 면외거동을 고려한 연구", 국민대학교, 공학석사 논문, 2011.
  14. American Institute of Steel Construction, "Design Manual for Orthotropic SteelPlate Deck Bridges", 1963.
  15. M. S. Troitsky, D.Sc., "Orthotropic Bridges Theory and Design, 2nd ed",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