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rategy Improvement of Construction Management in the Owner's View Point

발주처의 관점에서 바라본 토목사업 CM 제도 활성화 방안

  • 이상욱 (국토해양부 도로정책과) ;
  • 박진홍 (영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 장원석 (영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12.03.28
  • Accepted : 2012.06.20
  • Published : 2012.09.15

Abstract

Exemplary contracts of construction management (CM) including highway projects have been carried out in the civil engineering area over the past ten years. However, practical and administrative challenges as transitional circumstances have been revealed in the different participants of supervision, inspection and construction management. Thus, it is important to internally overcome problems and negative perception encountered in civil engineering, and to promote the efficiencies in construction cost and quality. In addition, external efforts should be put to market opening, globalization, and technology development for competitiveness and high value industry. While it is critical to establish the concrete CM system by collaborating with various participants, proven architecture and system have not been provided because of incorrect measurement of CM accomplishment, overlap of responsibility between CM and supervision, and slow deployment in construction field. This paper analyzed the current CM practices and business environments, and presented the possible solutions for strategy improvement of CM in the owner's view point.

국내 대다수의 토목 CM을 포함해 특히 도로부문 CM은 근 10여 년 간 다양한 시범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나, 현재 건설시장의 안착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감독, 감리, CM이 과도기적으로 운영되는 여건 속에서 다양한 문제점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부실시공 및 안전문제 등으로 대변되어 온 건설 산업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극복하고 건설 산업 전반에 걸친 비용절감 및 품질향상을 이룩하여야 하는 당면과제는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각 주체와 효율적으로 융화될 수 있는 CM의 정착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현재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토목 CM의 정착화 방안에 대한 검증을 추진 중에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수행성과에 대한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발주자를 위해 CM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를 돕는 문헌이 매우 부족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발주처의 관점에서 바라본 CM 제도 활성화를 추진하기 위해 현재 수행되고 있는 다양한 CM의 업무 및 제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의 해결방안을 다각도로 제시하였다. 또한 발주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발주처의 관점에서 바라본 CM 제도 활성화 방안을 다양한 측면에서 제시 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향후 CM의 제도적 정립에 있어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석우(2005) 건설사업관리(CM) 적용 실태와 방안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2. 김중곤 등 (2009) CM at Risk방식 도입에 따른 건설업체의 대응방안.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논문집,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제11권 제1호, pp. 159-166.
  3. 김재영 등 (2005) 공공분야 건설사업관리(CM)적용의 한계 및 개선방안.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49권 제4호, pp. 23-28.
  4. 김진규(2008) 현행 감리원의 CMr로의 전환을 위한 방안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5. 김찬규(2011), 중소형 CM 사업자의 시장참여 증대와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7권 제5호, pp. 127-134.
  6. 박광수(2011) 감리회사의 CM사업 수행을 위한 역량 강화방안.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7. 박형근 등(2010) 토목분야 CM서비스역량 고급화 전략, CM서비스역량 고급화전략 워크숍, 한국건설관리학회.
  8. 안경환 등(2010) 주택재건축 정비사업에서의 CM적용 통합관리 프로세스.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26권 제2호, pp. 25-32.
  9. 윤준선 등(2006), 건설관리(CM)업무 활성화를 위한 종합감리업무 수립방안,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한국건축시공학회, 제6권 제4호, pp. 99-102. https://doi.org/10.5345/JKIC.2006.6.4.099
  10. 최홍규(2008) 건설사업관리의 효과적 수행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배제대학교.
  11. 한갑규 등(2007) 국내 CM산업의 환경 분석.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통권12호, pp. 145-150.
  12. 현명제(2007) 중.소규모 민간 건축공사의 감리업무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3. 2011년 국정감사 자료 (2012), 국토해양위원회 국정감사결과 시정 및 처리 요구사항에 대한 처리결과보고서, 대한민국정부.

Cited by

  1. Growth Model for Korean CM Firms based on 2012 Statistics vol.15, pp.6, 2014, https://doi.org/10.6106/KJCEM.2014.15.6.0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