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시선유도시설 시인성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n Visibility of Delineators by Survey

  • 권성대 (전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 박제진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 남창규 (전라남도청 농업정책과) ;
  • 하태준 (전남대학교 토목공학과)
  • 투고 : 2012.05.30
  • 심사 : 2012.06.15
  • 발행 : 2012.09.15

초록

도로의 곡선부는 기하구조상 운전자의 시각변화가 현저하게 발생하고, 속도편차가 크게 나타나며, 다양한 원인에 의해 직선부보다 큰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1999년도 교통문화운동본부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약 78%의 운전자가 안전표지판에 대한 불만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만 요인으로는 시인성 부족이 27.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야간 또는 기상 악화로 인해 시선유도시설의 시인성 마비는 도로선형에 관한 정보를 부적절하게 전달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도로의 서비스수준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시선유도시설물의 설치와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기 설치 운영 중인 재귀반사식 시선유도시설과 도로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해 새로 개발된 내부조명식 시선유도시설에 대해 운전자가 곡선부를 주행할 때 도로선형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얻고, 시인성이 향상된 시선유도시설물에 대해 1차, 2차 설문조사를 통해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한 후, 교통안전을 향상시키는 최적의 시선유도시설물을 제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재귀반사식 보다 내부조명식 시선유도시설에서 시인성, 속도감속 필요성, 안전성에 대하여 더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 교통안전이 향상된 시선유도시설물을 설치할 경우, 운전자에게 도로선형에 대한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함은 물론 곡선부 교통사고 위험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Visual changes and speed changes in curved sections of highways are more dangerous than straight sections According to the enquetes conducted by Coalition for Transportation Culture in 1999, about 78% of drivers are dissatisfied with traffic guide and safety signs, with lack of visibility being the largest reason with about 27.9% of respondents indicating it as reason for dissatisfaction. In particular, the lack of visibility during nighttime or bad weather not only threatens driver safety due to poor delivery of information, but also affects the service level of highways. Because of this a new delineation must be installed and managed to enhance driver visibility. In this research, an optimal delineation system to enhance traffic safety is presented. In this research drivers effectively obtained information on highway alignment on the curved sections using a retro-reflection type delineation system and a newly-developed internal lighting delineation system to improve safety on the highways. A statistical comparison was conducted and analysis was done for the delineation systems that enhanced visibility through primary and secondary enquaetes. As a result, inside-lighting delineator will be selected in terms of safety at the curve sections. The inside-lighting delineator was more effective than the retro-reflection delineator on visibility, the necessity of reduction of speed and will reduce the hazard at curve sections. It is anticipated that when a delineation system based on this research is installed, a reduction in the number the number and severity of traffic accidents on curved sections will be reduced. In addition this system will more effectively provide drivers with information about highway align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2008) 도로설계편람.
  2. 건설교통부(2008) 도로의 구조.시설기준에 관한 규칙 해설 및 지침.
  3. 박민철(2008) 곡선부 시각왜곡현상 분석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4. 신재만(2009) 곡선부 시각왜곡현상을 고려한 인지곡선반경 산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5. 이석기, 정준화, 김수연(2008) 도로안내표지 종류별 시인.판독성 비교 실험,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1215-1218.
  6. 전우훈, 조혜진(2006) 시선유도시설의 성능에 따른 운전자 반응 형태 연구.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3935-3938.
  7. Hassan, Y., S.M. Easa, and A.O.Abd El Halim (1998) Design considerations for combined highway alignments.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Vol. 123, No. 1.
  8. Hildebrand, E. D. (2003) reductions in traffic sign retroreflectivity caused by frost and dew,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2003, pp. 79-84.
  9. Munehiro, Kazunori (2005) Effect of time and foggy conditions on subjective visibility: Evaluation of retroreflective traffic control device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2005, pp. 85-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