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erimental Studies on PSC Airpit-Slab with Fire Resistance Panel under Static and Dynamic Loads

내화패널이 부착된 프리캐스트 PSC 풍도슬래브의 정적/동적하중에 관한 실험연구

  • 김태균 ((주)홍지디씨에스) ;
  • 배정 ((주)삼부토건 기술연구소) ;
  • 최헌 ((주)경원건축사 사무소 엔지니어링 연구소) ;
  • 민인기 ((주)도화엔지니어링)
  • Received : 2012.02.25
  • Accepted : 2012.06.12
  • Published : 2012.07.15

Abstract

In the longway tunnel and underground traffic road, the structure of transverse ventilation system is constructed by the airpit slab. In this study, the full scale specimens of the PSC airpit slab that attached fire resistance panel are performed the static and dynamic loading tests for evaluation of bending capacity. The first of all, it confirmed the evaluations about the fundamental efficiency of the fire resistance panel and PSC slab by the 3-point bending test and pull-off test. The tests are performed for evaluation of the bending resistance under ultimate static load and the bonded capacity under dynamic fatigue load. A fatigue test is performed for an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n wind pressure that is developed by transit of traffic. The damage or debonding on surface between fire resistance panel and PSC slab was not developed in dynamic fatigue load test, also the behavior of the specimens is very stable and the debonding of the fire resistance panel attached at the bottom surface of PSC slab was not developed in static load test, too. Therefore, the crack or debonding of the fire resistance panel will be not developed by external loads during the construction or completion of the precast fire resistance system.

본 연구에서는 장대터널이나 지하차도 등에 시공되는 횡류식 환기시스템을 구성하는 내화패널이 부착된 프리캐스트 풍도슬래브의 구조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실물모형 구조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내화패널의 휨강도와 Pull-off test를 통하여 내화패널과 슬래브의 부착성능 등의 기초성능을 우선적으로 확인하였다. 실물모형시험은 내화패널과 프리캐스트 PSC 슬래브의 정적 휨성능과 차량의 통행 시 발생하는 표면압력 이상의 하중에 대한 동적피로부착성능을 평가하였다. 동적피로하중 시험에서 내화패널과 PSC 슬래브 사이의 탈락이나 손상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정적재하시험에서도 매우 안정적인 거동을 보였으며, 하부에 부착된 내화패널의 탈락은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시공 중이나 시공 후 외부하중에 의해 내화패널의 탈락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경환(2005) 터널화재 설계기준강도 기준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2. 박정천, 김태균, 최헌, 최홍식, 김성배(2010) RABT 시간-온도 곡선을 적용한 내화패널의 내화특성,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가을학술발표논문집,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pp. 230-233.
  3. 박해균, 원종필, 장수호(2006) 최근 터널 콘크리트 내화대책 연구동향, 구조물진단학회지, 한국구조물진단학회, 제10권 제6호, pp. 22-32.
  4. 원종배, 최석원, 박찬기, 박해균(2006) 터널 내화용 시멘트계 재료의 개발 및 성능평가,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Vol. 26 No. 4C, pp. 265-273.
  5. 유지오, 김윤선, 김치경, 이동호(2002) 터널사고 조사연구, pp. 191-196.
  6. 이인모, 윤성배(2007) 도로터널 화재에 안전한가?, 터널기술학회지 일반기사, Vol. 9 No. 4, pp. 46-54.
  7. ACI Committee 216 (1989) Guide for Determining the Fire Endurance of Concrete Elements, ACI 216R-89, American Concrete Institute, Detroit.
  8. ASTM D 4541 (2002) Standard Test Method for Pull-Off strength of Coatings Using Portable Adhesion Testers, American Society of Testing Materials.
  9. ITA Working group No.6 (2004) ITA Guideline for Structural Fire Resistance of Road Tunnels, Repair maintenance of underground structures, ITA, pp. 72-81.

Cited by

  1. Experimental Study on the Fire Proofing Characteristic of Fire Resistance Panel that it attaches to PSC Airpit-Slab vol.33, pp.2, 2013, https://doi.org/10.12652/Ksce.2013.33.2.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