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Job Stress, Hardness, and Burnout of Nurses between Advanced general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의료기관 종별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 강인성과 소진비교

  • Received : 2011.10.31
  • Accepted : 2011.12.26
  • Published : 2012.03.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nurses' job stress, hardness and burnout between general hospitals and advanced general hospitals. Data were obtain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394 nurses(general 198, upgrade general 196) in the C and S city between April and May, 2010. Data analysis was done with independent t test, ANCOVA, ANOVA, Scheffe & Eacute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SPSS WIN v 17.0. Job stress, hardness, and burnout of nurses in general hospitals were 2.45, 2.11 and 3.70 respectively. Those in advanced general hospitals were 2.69, 2.70 and 3.70 respectively. Job stress and hardnes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eneral hospital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burnout between general and advanced general hospitals. Burnout of nurses in both hospital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stress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hardness.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for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job stress of general hospitals. Program for enhancing hardness of nurses in upgrade general hospitals should be developed.

본 연구는 편의 추출에 의해 수도권과 충청지역에 위치한 종합병원 3곳의 간호사 198명과 상급종합병원 중 3차 대학병원 2곳의 간호사 196명, 총 394명을 대상으로 종합병원 간호사와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강인성과 소진의 관계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상급종합병원의 직무스트레스는 2.45점(5점 만점). 강인성은 2.11점(4점 만점), 소진은 3.70점(5점 만점)이었으며, 종합병원은 각각 2.69점, 2.70점, 3.70점이었다. 소진은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직무스트레스, 강인성은 종합병원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상급종합병원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연령, 임상 경력, 직위, 근무형태에 따라 종합병원은 결혼상태, 연령, 교육정도, 임상경력, 근무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상급종합병원간호사의 강인성은 직위에 따라 종합병원은 임상경력, 근무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양 병원 모두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강인성, 소진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소진은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강인성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소진은 직무스트레스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강인성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live.joinsmsn.com/news/article/article.as p?total_id= 5788162&ctg= 1205&tm.
  2. 유성자, 최연희, "일 지역 지방중소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 간호행정학회지, 제15권, 제1호, pp.16-25, 2009.
  3.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 article_num=30110519101014.
  4. C. Maslach and W. Schaufeli, Historical and conceptual development of burnout. Washington,D. C.: Taylor & Frances, 1993.
  5. 함미영,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강인성 및 소진 정도와의 관계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6. 전경자, 변성원, "최근 10년간 한국 간호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 분석", 간호행정학회지, 제15권, 제3호, pp.305-313, 2009.
  7. 윤금숙, 김숙영,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이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제16권, 제4호, pp.507-516, 2010.
  8. 임덕순, 조복희, "중환자실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강인성 및 소진에 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제14권, 제1호, pp.120-127, 2007.
  9. 김매자, 구미옥, "간호원이 근무중에 경험하는 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도구개발 연구", 한국간호과학회지, 제14권, 제2호, pp.28-37, 1984.
  10. 홍희정, 응급의료종사자의 소진 영향요인,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1. S. E. Pollock, "The stress response," Critical Care Quarterly, Vol.6, No.4, pp.1-11, 1984.
  12. 최경진, 간호사의 소진 영향요인,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3. 박형숙, 김경남, "중환자실 간호사의 소진 영향 요인", 기본간호학회지, 제17권, 제3호, pp.409-418, 2010.
  14. 신미혜 신성례, "암환자 간호사의 소진 영향요인 분석", 종양간호학회지, 제3권, 제1호, pp.75-84, 2003.
  15. 김미자, 종양병동간호사의 영적안녕, 업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 고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6. 김희경, 지현순, 류은영, 이현주, 연승은, 전미경, 김희정, "간호사의 소진 영향요인", 임상간호연구, 제10권, 제2호, pp.7-18, 2005.
  17. 변대식, 염영희, "임상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호행정학회지, 제15권, 제3호, pp.444-454, 2009.
  18. 양영은, 간호사의 영적안녕, 영족요구 및 소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9. J. Cohen,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2nd ed.),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20. 이병호, 김정술, "치과위생사의 소진과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1호, pp.217-227, 2010.

Cited by

  1.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Job Stress and Job Burnout : Focus on Luxury Hotel in Seoul vol.13, pp.11,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423
  2. Effect of the Occupational Stress and Self Esteem on Mental Health among Nurses vol.13, pp.3,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3.251
  3. A Study on Intention to Quit and Job Overload, Role Ambiguity, Burn out among Nurses in General Hospital vol.22, pp.2, 2013, https://doi.org/10.5807/kjohn.2013.22.2.121
  4. Relationship of Job Stress, Hardness, and Burnout among Emergency Room Nurses vol.23, pp.1, 2014, https://doi.org/10.5807/kjohn.2014.23.1.11
  5. Effects of Perception of the Healthcare Accreditation, and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vol.22, pp.2, 2015, https://doi.org/10.5953/JMJH.2015.22.2.87
  6.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Leisure Satisfaction in the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of Nurses on Shift Work vol.25, pp.3, 2016, https://doi.org/10.5807/kjohn.2016.25.3.208
  7. Factors Affecting Burnout among Clinical Nurses according to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vol.19, pp.2, 2013, https://doi.org/10.11111/jkana.2013.19.2.304
  8. Nurses' Awareness of Psychological Distress and Delirium in Cancer Patients and Job Stress vol.17, pp.4, 2017, https://doi.org/10.5388/aon.2017.17.4.252
  9. Nurses’ needs for care robots in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s vol.74, pp.9, 2018, https://doi.org/10.1111/jan.13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