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Natural Flow Estimates for the Han River Basin Using TANK and SWAT Models

TANK 모형과 SWAT 모형을 이용한 한강유역의 자연유출량 산정 비교

  • Kim, Chul-Gyum (Water Resources Research Division, Water Resources & Environmental Research Department) ;
  • Kim, Nam-Won (Water Resources Research Division, Water Resources & Environmental Research Department)
  • 김철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수자원연구실) ;
  • 김남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본부 수자원연구실)
  • Received : 2011.11.23
  • Accepted : 2012.01.12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wo models, TANK and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were compared for simulating natural flows in the Paldang Dam upstream areas of the Han River basin in order to understand the limitations of TANK and to review the applicability and capability of SWAT. For comparison, simulation results from the previous research work were used. In the results for the calibrated watersheds (Chungju Dam and Soyanggang Dam), two models provided promising results for forecasting of daily flows with the Nash-Sutcliffe model efficiency of around 0.8. TANK simulated observations during some peak flood seasons better than SWAT, while it showed poor results during dry seasons, especially its simulations did not fall down under a certain value. It can be explained that TANK was calibrated for relatively larger flows than smaller ones. SWAT results showed a relatively good agreement with observed flows except some flood flows, and simulated inflows at the Paldang Dam considering discharges from upper dams coincided with observations with the model efficiency of around 0.9. This accounts for SWAT applicability with higher accuracy in predicting natural flows without dam operation or artificial water uses, and in assessing flow variations before and after dam development. Also, two model results were compared for other watersheds such as Pyeongchang-A, Dalcheon-B, Seomgang-B, Inbuk-A, Hangang-D, and Hongcheon-A to which calibrated TANK parameters were applied. The results were similar to the case of calibrated watersheds, that TANK simulated poor smaller flows except some flood flows and had same problem of keeping on over a certain value in dry seasons. This indicates that TANK application may have fatal uncertainties in estimating low flows used as an important index in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Therefore, in order to reflect actually complex and complicate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watersheds, and to manage efficiently water resources according to the land use and water use changes with urbanization or climate chang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utilize a physically based watershed model like SWAT rather than an existing conceptual lumped model like TANK.

본 연구에서는 한강수계 팔당댐 상류의 자연유출량에 대해 기존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TANK 모형 결과와 SWAT 모형결과를 비교함으로써, 기존 TANK 모형이 가지고 있는 한계및 문제점을 현실적으로 제시하고, 향후 SWAT 모형의 적용성 및 활용에 대해 검토하였다. TANK 모형의 매개변수 최적화가 이루어진 보정유역들(충주댐 및 소양강댐)의 모의결과를 볼 때 두 모형 모두 모형효율 0.8 이상의 높은 정도의 모의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첨두유량이 발생하는 홍수기에는 TANK의 결과가 SWAT보다 관측치에 근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TANK 모형의 경우 주로 평수기 이상의 유량을 대상으로 보정을 수행하여 갈수기에 관측유량과 많은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일정 유량 이하로 모의되지 않는 한계를 나타내었다. 반면, SWAT 모형은 일부 홍수사상을 제외하고 대체로 관측치의 경향을 잘 따르고 있으며, 유역 최종 출구인 팔당댐(한강F)에서의 상류댐 방류량을 고려한 모의유입량이 실제 관측유입량과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모형효율 0.9 수준), 댐 방류량과 인위적인 용수 수요가 없는 상태의 자연유출량의 추정이나 댐개발 전후에 따른 유량변동 평가 등에 있어 매우 높은 신뢰성을 보장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아울러, TANK 모형의 최적화된 매개변수를 전이시켜 이용하는 대상유역들(평창A, 달천B, 섬강B, 인북A, 한강D, 홍천A)에 대한 결과를 SWAT 모형 결과와 비교할 때, 일부 홍수기를 제외하고는 평수기 이하에서 매우 불안정한 모의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보정유역들에 대한 결과와 마찬가지로 갈수기에 일정 유량이하로 모의되지 않는 문제가 나타났다. 이는 수자원 계획 및 관리의중요한 지표인 갈수량의 산정에 있어 TANK 모형의 적용에 많은 불확실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복잡 다양한 국내 유역의 특성을 보다 현실적으로 반영하고, 향후 유역내 도시화 등에 따른 토지이용 및 용수이용의 변화, 기후변화 등에 따른 수자원 계획 및 관리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TANK와 같은 기존의 개념적 집중형 모형보다는 SWAT과 같은 물리적 기반의 유역모형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규, 이동률, 문장원, 최시중(2008). "금강유역의 유황특성 변동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429-434.
  2. 강신욱, 이동률, 이상호(2004). "토양수분 저류구조를 가진 탱크모형의 보정에 관한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2호, pp. 133-144. https://doi.org/10.3741/JKWRA.2004.37.2.133
  3. 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2006). 수자원장기종합계획 (2006-2020) 보고서.
  4. 구보영, 김태순, 정일원, 배덕효(2007). "다목적 유전자알고리즘을 이용한 Tank 모형 매개변수 최적화(II): 선호적 순서화의 적용."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9호, pp. 687-696. https://doi.org/10.3741/JKWRA.2007.40.9.687
  5. 권명준, 권순국, 홍성구(2003). "농촌유역 하천의 수질예측을 위한 SWAT모형과 WASP모형의 연계운영." 한국농공학회지, 한국농공학회, 제45권, 제2호, pp. 116-125.
  6. 김남원, 신아현(2011). "영산강 유역의 댐 운영에 따른 유역 유출 변화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 400.
  7. 김남원, 원유승(2004a). "SWAT-SWMM 결합모형의 개발 (I) 모형의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 회, 제37권, 제7호, pp. 589-598. https://doi.org/10.3741/JKWRA.2004.37.7.589
  8. 김남원, 원유승(2004b). "SWAT-SWMM 결합모형의 개발 (II) 모형의 특징 및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 수자원학회, 제37권, 제7호, pp. 599-612. https://doi.org/10.3741/JKWRA.2004.37.7.599
  9. 김남원, 이병주, 이정은(2006a). "SWAT을 활용한 충주댐 유역의 융설 영향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10호, pp. 833-844. https://doi.org/10.3741/JKWRA.2006.39.10.833
  10. 김남원, 이병주, 이정은(2007a). "공간모의유량을 이용한 갈수량 거동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4B호, pp. 431-440.
  11. 김남원, 이정우, 이병주, 이정은(2007b). "비선형 저류방정식을 이용한 일 단위 하도추적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5B호, pp. 533-542.
  12. 김남원, 이정은, 원유승(2006b). "한강유역의 자연유량 산정."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799-803.
  13. 김남원, 이정은, 이병주(2007c). "한강유역의 다목적댐 운영에 따른 유황변동 특성 분석및 평가."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1B호, pp. 53-63.
  14. 김남원, 이지은, 정일문, 김동필(2008a). "SWAT-K 모형을 이용한 설마천 유역의 수문성분 해석." 한국환경과학회 지, 한국환경과학회, 제17권, 제2호, pp. 1363-1372. https://doi.org/10.5322/JES.2008.17.12.1363
  15. 김남원, 이진원, 이정우, 이정은(2008b). "SWAT 모형을 이용한 충주댐 유역의 유출곡선지수 산정 방안." 한국수 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12호, pp. 1231-1244. https://doi.org/10.3741/JKWRA.2008.41.12.1231
  16. 김남원, 정일문, 원유승(2004a). "완전 연동형 SWAT-MODFLOW 결합모형(I) 모형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6호, pp. 499-506. https://doi.org/10.3741/JKWRA.2004.37.6.499
  17. 김남원, 정일문, 원유승(2004b). "완전 연동형 SWAT-MODFLOW 결합모형(II) 모형의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6호, pp. 499-506. https://doi.org/10.3741/JKWRA.2004.37.6.509
  18. 김남원, 정일문, 원유승(2005). "시공간적 변동성을 고려한 지하수 함양량의 추정 방안."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7호, pp. 517-526. https://doi.org/10.3741/JKWRA.2005.38.7.517
  19. 김남원, 정일문, 원유승, 이정우, 이병주(2006c). "시공간적 변동성을 고려한 무심천 유역의 지하수 함양량 추정."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제11권, 제5호, pp. 9-19.
  20. 김병식, 강경석, 서병하(1999). "일 강우량의 모의 발생을 통한 갈수유량 계열의 산정 및 빈도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2권, 제3호, pp. 265-279.
  21. 김상단, 김재철, 강두기, 신현석(2007). "TANK 모형을 이용한 오염총량관리 목적 낙동강 유황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048- 1052.
  22. 김영규, 최계운, 함명수, 김남원(2008). "한강 팔당하류의 갈수시 댐 용수공급 가능유하량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11호, pp. 1143- 1152. https://doi.org/10.3741/JKWRA.2008.41.11.1143
  23. 김운중, 김민환, 전일권(2002). "감수곡선을 이용한 탱크 모형과 매개변수 자동보정에 의한 유출 해석." 대한토목학 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2권, 제6-B호, pp. 777-784.
  24. 김재철, 김상단(2007). "오염총량관리 유량측정자료를 이용한 낙동강 유역 유황분석."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3권, 제3호, pp. 332-338.
  25. 김종건, 박윤식, 김남원, 정일문, 장원석, 박준호, 문종필, 임경재(2008). "저해상도 DEM 사용으로 인한 SWAT 지형인자추출오류개선모듈개발및평가."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4권, 제4호, pp. 488-498.
  26. 김지훈, 홍성구, 권순국(1998).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SWAT 모형의 적용." 한국농공학회지, 한국농공학회, 제40권, 제4호, pp. 67-76.
  27. 김철겸, 김남원(2004). "산림식생에 따른 유역 물수지 영향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9호, pp. 737-744. https://doi.org/10.3741/JKWRA.2004.37.9.737
  28. 김철겸, 김남원(2008). "충주 댐 유역의 오염원에 따른 오염 부하량 발생 특성."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4권, 제4호, pp. 465-472.
  29. 김철겸, 김남원(2009a). "물리적 기반의 유역모형을 이용한 오염물질 유달 특성 규명."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5권, 제2호, pp. 256-267.
  30. 김철겸, 김남원(2009b). "환경부 8일 간격 유량,수질 관측자료와 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연속오염 부하곡선의 유도."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5권, 제1호, pp. 125-135.
  31. 김철겸, 이정은, 김남원(2007). "충주댐 상류유역의 유사 발생에 대한 시공간적인 특성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11호, pp. 887-897. https://doi.org/10.3741/JKWRA.2007.40.11.887
  32. 김태순, 정일권, 구보영, 배덕효(2007). "다목적 유전자알고리즘을 이용한 Tank 모형 매개변수 최적화(I): 방법 론과 모형구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 회, 제40권, 제9호, pp. 677-685. https://doi.org/10.3741/JKWRA.2007.40.9.677
  33. 김현영, 박승우(1986). "유역특성에 따른 탱크모형 매개변수의 변화." 한국농공학회지, 한국농공학회, 제28권, 제2호, pp. 42-52.
  34. 김현영, 박승우(1988). "관개용 저수지의 일별유입량과 방류량의 모의발생." 한국농공학회지, 한국농공학회, 제30권, 제1호, pp. 50-62.
  35. 류경식, 황만하, 고익환(2006). "RRFS 모형을 이용한 자연유량산정."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 수자원학회, pp. 1777-1781.
  36. 맹승진, 이순혁, 류경식, 송기헌(2005). "강우-유출모형에 의한 낙동강수계 일유출모의와 분석." 한국수자원학회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619-622.
  37. 문종필, 김태철(2006). "갑천유역의 영양염류 유달부하량 산정을 위한 SWAT2000 모형의 적용성 평가." 한국농공학회논문집, 한국농공학회, 제48권, 제6호, pp. 89-100. https://doi.org/10.5389/KSAE.2006.48.6.089
  38. 박승우(1993). "Tank모형 쉘프로그램을 이용한 중소하천의 일유출량 추정."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26권, 제3호, pp. 47-61.
  39. 박윤식, 김종건, 허성구, 김남원, 안재훈, 박준호, 김기성, 임경재(2008). "SWAT과 SATEEC 모형을 이용한 토양유실량 비교." 한국농공학회논문집, 한국농공학회, 제50권, 제1호, pp. 3-12. https://doi.org/10.5389/KSAE.2008.50.1.003
  40. 박햇님, 조원철(2006). "개념적 강우-침투 과정을 고려한 탱크 모형의 유도."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1호, pp. 47-57. https://doi.org/10.3741/JKWRA.2006.39.1.047
  41. 배덕효, 정일원, 강태호, 노준우(2003). "유출성분을 고려한 Tank 모형의 매개변수 자동추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6권, 제3호, pp. 423-436. https://doi.org/10.3741/JKWRA.2003.36.3.423
  42. 서영제(1997). "탱크모형의 매개변수 검정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0권, 제4호, pp. 327-334.
  43. 성윤경, 김상현, 김현준, 김남원(2004). "다양한 목적 함수와 최적화 방법을 달리한 SIMHYD와TANK 모형의 적용성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2호, pp. 121-131. https://doi.org/10.3741/JKWRA.2004.37.2.121
  44. 신현석, 박재범(2001). "신경망 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주요지점 자연유량 산정."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1745-1748.
  45. 심석구, 구보영, 안태진(2009).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한 혼합유출모형의 개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 자원학회, 제42권, 제3호, pp. 201-212. https://doi.org/10.3741/JKWRA.2009.42.3.201
  46. 이관수, 이영석, 정일광(1995). "탱크모형의 매개변수 추정을 위한 상태공간모형의 결정."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28권, 제2호, pp. 125-135.
  47. 이동률, 김현준, 김형섭(1996). "자연유출량 산정 및 평가 (낙동강의 본류를 중심으로)."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354-359.
  48. 이동률, 김형섭(1999). "낙동강 갈수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지원 시스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9권, 제II-4호, pp. 455-465.
  49. 이상호(1998). "탱크모형의 유출공 승수 변화를 고려한 홍수모의."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1권, 제1호, pp. 3-12.
  50. 이상호, 강신욱(2007). "유역특성인자를 이용한 수정탱크모형 매개변수의 지역화."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 토목학회, 제27권, 제4B호, pp. 379-385.
  51. 이상호, 안태진, 윤병만, 심명필(2003). "적설 및 융설 모의를 포함한 탱크모형의 소양강댐 및 충주댐에 대한 적용."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6권, 제5호, pp. 851-861. https://doi.org/10.3741/JKWRA.2003.36.5.851
  52. 이수형, 박기범, 이도훈, 이효진(2009). "중소하천 유역의 자연유량 산정비교."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3414-3417.
  53. 이정은, 김남원, 정일문, 이정우(2008). "유역수문모형과 빈도해석을 이용한 충주댐 상류유역 지하수 개발가능량의 평가." 자원환경지질,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제41권, 제4호, pp. 443-451.
  54. 임상준(2000). 농업유역의 논 관개수량 추정 모형의 개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55. 장경수, 지홍기, 이순탁(2008). "SWAT와 TANK 모형에 MODSIM을 결합시킨 물수지 모델구축."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305-1309.
  56. 정일문, 김남원, 이정우(2007). "유역 유출과정과 지하수위 변동을 고려한 분포형 지하수 함양량 산정방안." 한국지 하수토양환경학회지,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제12권, 제5호, pp. 19-32.
  57. 정일원, 구보영, 배덕효(2007). "Tank 모형의 4번째 저류탱크의 유출 불확실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 수자원학회, 제40권, 제3호, pp. 237-249. https://doi.org/10.3741/JKWRA.2007.40.3.237
  58. 정은성, 이길성, 신문주(2006). "SWAT 모형과 EMC 산정결과를 이용한 안양천의 수량 및 수질 특성."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2권, 제4호, pp. 648-657
  59. 조탁근, 김영오, 이길성(2006). "국내 갈수량 산정에 대한 재고."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829-833.
  60. 한강수계관리위원회.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2007). 유역내 하천유지 가능 유하량 해석. 한강수계 2006년도 환경기초조사사업.
  61.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7). 수자원의지속적확보기술개발 사업: 지표수 수문성분 해석시스템 개발. 과학기술부.
  62. 한국수자원공사(2001). 수문자료 빈도분석 및 일 유출 모의시스템 구축.
  63. 허성구, 김기성, 김남원, 안재훈, 박상헌, 유동선, 최중대, 임경재(2008a). "토지피복도 정확도에 따른 SWAT 예측 오류 평가."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4권, 제6호, pp. 690-700.
  64. 허성구, 김남원, 박윤식, 김종건, 김성준, 안재훈, 김기성, 임경재(2008b). "SWAT ArcView GIS Extension Patch를 이용한 소유역 분할에 따른 수문 및 유사 거동에 미치는 영향 평가 ."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4권, 제2호, pp. 147-155.
  65. 허유만, 박승우, 임상준(1993). "중소유역의 일별 용수수급해석을 위한 하천망모형의 개발(I): 중소유역의 일유출량 추정." 한국농공학회지, 한국농공학회, 제35권, 제1호, pp. 40-49.
  66. Arnold, J.G., Allen, P.M., and Bernhardt, G. (1993). "A comprehensive surface-groundwater flow model." Journal of Hydrology, Vol. 142, pp. 47-69. https://doi.org/10.1016/0022-1694(93)90004-S
  67. Kim, C., Kim, H., Jang, C., and Kim, N. (2003). "Runoff estimation from two mid-size watersheds using SWAT model."Water Engineering Research, KWRA, Vol. 4, No. 4, pp. 193-202.
  68. Kim, N.W., and Lee, J. (2008). "Temporally weighted average curve number method for daily runoff simulation." Hydrological Processes, Vol. 22, No. 16, pp. 4936-4948. https://doi.org/10.1002/hyp.7116
  69. Kim, N.W., and Lee, J. (2010). "Enhancement of the channel routing module in SWAT." Hydrological Processes, Vol. 24, No. 1, pp. 96-107.
  70. Kim, N.W., Chung, I.M., Won, Y.S., and Arnold, J.G. (200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integrated SWAT-MODFLOW model." Journal of Hydrology, Vol. 356, pp. 1-16. https://doi.org/10.1016/j.jhydrol.2008.02.024
  71. Nash, J.E., and Sutcliffe, J.V.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Journal of Hydrology, Vol. 10, No. 3, pp. 282-290. https://doi.org/10.1016/0022-1694(70)90255-6
  72. Neitsch, S.L., Arnold, J.G., Kiniry, J.R., and Williams, J.R. (2001).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 theoretical documentation (Version 2000). U.S.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73. Sugawara, M. (1972). "Method of rainfall-runoff analysis." Kyouritsu Shuppan Co., Ltd., Tokyo, Japan (in Japanese).

Cited by

  1. Assessing the Climate Change Impacts on Agricultural Reservoirs using the SWAT model and CMIP5 GCMs vol.57, pp.5, 2015, https://doi.org/10.5389/KSAE.2015.57.5.001
  2. Parameter Regionalization of a Tank Model for Simulating Runoffs from Ungauged Watersheds vol.46, pp.5, 2013, https://doi.org/10.3741/JKWRA.2013.46.5.519
  3. Estimation of Natural Streamflow for the Bokhacheon Middle-upper Watershed vol.46, pp.12, 2013, https://doi.org/10.3741/JKWRA.2013.46.12.1169
  4. Evaluation of the Tank Model Optimized Parameter for Watershed Modeling vol.56, pp.4, 2014, https://doi.org/10.5389/KSAE.2014.56.4.009
  5. Dam Effects on Spatial Extension of Flood Discharge Data and Flood Reduction Scale I vol.48, pp.3, 2015, https://doi.org/10.3741/JKWRA.2015.48.3.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