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ondestructive Deterioration Diagnosis for the Former Ore Dressing Plant in the Yongwha Mine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No. 255

등록문화재 제255호 영양 구 용화광산 선광장의 비파괴 훼손도 진단

  • Chun, Yu Gu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Lee, Chan Hee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전유근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Received : 2012.07.04
  • Accepted : 2012.08.22
  • Published : 2012.09.20

Abstract

Nondestructive deterioration diagnosis has been carried out for the former ore dressing plant of the Yongwha mine in Yeongyang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No. 255). Deterioration rates about organic contaminant and soil of the upper part (7 to 13 layer) indicate higher than the lower part (1 to 6 layer) of the ore dressing plants. By contrast, deterioration rates such as crack, break out and discoloration of the lower part indicate very higher than the upper part. It is estimated that the plants of the lower part that mechanical and chemical process had been done for flotation were damaged severely by physicochemical weathering with reaction of concrete and chemical solution. As results of ultrasonic velocity measurement, average p-wave velocity of plants were measured 2,462m/s (compressive strength $529kgf/cm^2$). As for the analytical results of surface contaminants and soil compositions using P-XRF, they were identical with major elements (Cu, Zn, Pb, Fe and As) of ore minerals from the Yongwha mine. Therefore, the ore dressing plant should be treated by phytoremediation with conservation because heavy metals could impinged upon plants and natural environment.

이 연구에서는 경북 영양 용화광산 선광장(등록문화재 제255호)을 대상으로 비파괴 훼손도 진단을 실시하였다. 훼손지도를 작성하여 구조물에 대한 훼손상태를 파악한 결과, 6열과 7열 구조물을 기점으로 하여 용화광산 선광장 상부(7~13열)에서는 생물, 토사에 의한 훼손율이 높은 반면 하부(1~6열)에서는 탈락, 균열, 표면변색의 훼손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는 기계적인 공정과 화학적인 공정이 동시에 진행되는 하부 구조물에서 화학용액들이 구조물의 콘크리트와 반응하면서 물리화학적 풍화작용을 촉진시켰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선광장 구조물의 물성을 파악하기 위해 초음파속도를 측정한 결과, 평균 초음파속도는 2,462m/s(압축강도 $529kgf/cm^2$)로 측정되었다. P-XRF를 활용한 표면변색 오염물질의 분석에서는 용화광산에서 채굴하였던 광석들의 주요성분(Cu, Zn, Pb, Fe, As)과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광장 주변 토양에는 Cu, Zn, Pb, As와 같은 중금속의 함량이 상당히 높았다. 이와 같은 성분들은 선광장 구조물뿐만 아니라 자연환경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구조물의 보존처리와 함께 토양의 정화도 병행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신, "근대문화유산의 보존현황과 법제도 개선방안". 건축역사연구, 13, p181-188, (2004).
  2. 문화재청 근대문화재과, "한국의 근대문화유산 ". 문화재청, (2007).
  3. 이강문, "광물처리공학". 반도출판사, (1995).
  4. Lee, C.H., Jo, Y.H., Kim, J., "Damage evaluation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tenth century Korean rock-carved Buddha statues". Environmental Earth Science, 64, p1-14, (2011). https://doi.org/10.1007/s12665-010-0809-7
  5. 김지영, 이찬희, 이명성, "경주 석빙고의 정량적 훼손도 평가 및 미기후환경 분석". 보존과학회지, 25, p25-38, (2009).
  6. 이선명, 이찬희, 김지영, "서산마애삼존불상의 정밀 손상도 평가와 보존환경 분석". 보존과학회지, 26, p277-294, (2010).
  7. Jo, Y.H., Lee, C.H., Chun, Y.G.,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deterioration evaluation for the 13th century Korean stone pagoda of Magoksa temple".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66, p915-922, (2012). https://doi.org/10.1007/s12665-011-1301-8
  8. 조영훈, 이찬희, "석조문화유산의 손상지도 제작방법과 표면 및 3차원 손상율 평가기법". 보존과학회지, 27, p251-260, (2011).
  9. 서만철, 송인선, 최희수, "암석의 파괴 확률 분석을 통한 불국사 삼층석탑 구조 안전 진단". 지구물리, 4, p57-69, (2001).
  10. 서만철, 송인선, 최희수, "초음파 속도 분석을 통한 불국사 다보탑 구조안전 진단". 지구물리, 5, p199-209, (2002).
  11. 전유근, 이찬희, 조성남, 조영훈, 박기정, 양필승, "운현궁 수조의 손상평가와 초음파 속도를 이용한 풍화도 및 균열 심도 측정". 보존과학회지, 24, p1-12, (2008).
  12. 이명성, 이재만, 김재환,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의 재질특성과 초음파 물성진단". 문화재, 45, p70-85, (2012).
  13. 오병환, 김광수, 김세흔, "초음파 속도법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깊이 측정".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10, p61-66, (1999).
  14. 日本建築學會, コンクリート强度推定のための非破壞試驗法マニュアル. (1983).
  15. 전유근, 김원국, 조영훈, 한두루, 김선덕, 이찬희, "창녕 관룡사 약사전 벽화의 안료분석 및 비파괴 훼손도 진단". 보존과학회지, 25, p383-398, (2009).
  16. 전유근, 이찬희, "X-선 투과깊이 검증에 따른 벽화 안료의 정밀분석: 논산 쌍계사 대웅전". 보존과학회지, 27, p269-276, (2011).
  17. 강한, 최승원, 류충석, 김준영, 장윤득, 김정진, "영양 용화 광산의 광미 및 폐석과 침출수 침전물에 대한 광물학적 특성연구". 2008년도 한국암석학회.한국광물학회 공동학술발표회 논문집, p148, (2008).

Cited by

  1. Composition and Strength Characteristics of Concrete Foundation for Affiliated Ward in Seoul Daehan Uiwon (General Hospital) vol.32, pp.3, 2016, https://doi.org/10.12654/JCS.2016.3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