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고토양의 소성실험에 따른 재료과학적 특성 변화와 토기의 제작환경 해석: 천안 쌍용동 용암유적

Interpretation of Remaking Environments for Pottery and Material Characteristic Changes Depending on Firing Experiments for Ancient Clay: Yongam Site in Ssangyongdong of Cheonan, Korea

  • 김란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Kim, Ran Hee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Lee, Chan Hee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2.05.10
  • 심사 : 2012.08.27
  • 발행 : 2012.09.20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고토양의 소성온도에 따른 재료과학적 특성 변화를 검토하여 동일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의 제작환경을 전문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방법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천안 쌍용동 용암유적 조선시대 토기의 원료점토로 확인된 고토양을 대상으로 $500{\sim}1,200^{\circ}C$의 온도범위에서 소성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시료는 소성온도의 상승에 따라 황색도($+b^*$)와 적색도($+a^*$), 가비중이 증가하고 흡수율 및 공극률이 감소하는 뚜렷한 경향성을 보인다. 이를 용암유적 조선시대 토기의 특성과 비교 검토한 결과, 연질토기는 $800^{\circ}C$ 이상에서 $950^{\circ}C$ 이하, 경질토기는 $1,100^{\circ}C$ 전후에서 소성한 시편과 상당히 유사한 재료과학적 특성을 공유하여 소성온도 해석에 중요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지구화학적 거동 특성은 온도변화에도 불구하고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보아 소성실험에 따른 태토의 화학적 특성 변화는 수반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ation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changes of the ancient clay depending to firing temperature and to verify the firing temperature of the Joseon potteries from the Yongam site in Ssangyongdong of Cheonan, Korea. To this study, we conducted a firing experiments using the ancient clay that was verified raw material of the Joseon potteries from the study area in the temperature range from 500 to $1,200^{\circ}C$. The yellowish tint, the reddish tint and the specific gravity of firing samples increase according to firing temperature rise. But the absorption ratio and the porosity decreased under same firing temperature range. The soft potteries from the Yongam site has similar material characteristics with the fired samples at 800 to $950^{\circ}C$. And the hard potteries from the Yongam site bears the same relation to the fired samples at about $1,100^{\circ}C$. This result is considerably signification for the interpretation of firing temperature.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clay according to the firing experiments, on the other hand, is not affected of temperature in this study.

키워드

참고문헌

  1. 충청문화재연구원, "천안 쌍용동 용암 유적: 마전-은행 도로건설공사 구간내 문화유적 시굴(발굴)조사 ". 충청문화재연구원 문화유적 조사보고, 69, p1-357, (2009).
  2. 김란희, 이찬희, 윤정현, "천안 쌍용동 용암유적 출토 조선시대 토기의 재료과학적 특성과 원료의 산지해석". 보존과학회지, 28, p7-20, (2012).
  3. 최석원, 이찬희, 오규진, 이효민, 이명성, "천안 운전리 청동기 유적지에서 출토된 무문토기의 정량분석, 산지 및 소성조건". 문화재, 36, p267-297, (2003).
  4. 김란희, 이선명, 장소영, 이찬희, "기흥 농서리 유적 출토 토기의 재료과학적 특성과 소성온도 해석". 보존과학회지, 25, p255-271, (2009).
  5. 김란희, 조미순, 연웅, 이찬희, "나주 오량동 가마와 운곡동 분묘 유적 출토 대형전용옹관의 재료학적 동질성과 제작기법 해석". 보존과학회지, 26, p229-245, (2010).
  6. 김란희, 정해선, 정상훈, 이찬희, "대전 원신흥동 유적 출토 고대 세라믹 유물의 재료학적 특성과 원료의 산지해석". 보존과학회지, 27, p163-179, (2011).
  7. 김지영, 이찬희, 조선영, 김란희, 이호형, "아산 탕정지구 외골유적 출토 고려 기와의 재료과학적 특성과 제작기법". 보존과학회지, 25, p299-316, (2009).
  8. 김지영, 박진영, 박대순, 이찬희, "부여 쌍북리 유적 출토 백제 도가니의 재료학적 특성과 원료의 산지해석". 보존과학회지, 26, p1-12, (2010).
  9. 송재선, "우리나라 옹기 ". 동문선, p388-392, (2004).
  10. Monteiro, S.N., Vieira, C.M.F., "Influence of firing temperature on the ceramic properties of clays from dos Goytacazes, Brazil". Applied Clay Science, 27, p229-234, (2004). https://doi.org/10.1016/j.clay.2004.03.002
  11. 문희수, "점토광물학 ". 민음사, p503-509, (1996).
  12. Dean, W.E., "Determaination of carconate and organic matter in calcareous sediments and sedimentary rocks by loss on ignition: Comparison with other method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44, p242-428, (1974).
  13. Nockolds, S.R., "Average chemical compositions of some igneous rock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n Bulletin, 65, p1007-1032, (1954). https://doi.org/10.1130/0016-7606(1954)65[1007:ACCOSI]2.0.CO;2
  14. Taylor, S.R. and McLennan, S.M., "The continental crust: Its composition and evolution ". Blackwell, Oxford, p312, (1985).
  15. Pearce, J.A. "Role of sub-continental lithosphere in magma genesis a activec continental margines". In Continental basalts and mantle xenolith (Eds. Hawkesworth C.J. and Norry M.J.), Shiva, p230-349, (1983).
  16. 류철현, 현근수, 최정원, "토양조사 이론과 실무기술 ". 농촌진흥청 호남농업시험장, p104-134, (2003).
  17. Valanciene, V., Siauciunas, R., Baltusnikaite, J., "The influence of mineralogical composition on the colour of clay body". Journal of the European Ceramic Society, 30, p1609-1617, (2010). https://doi.org/10.1016/j.jeurceramsoc.2010.01.017

피인용 문헌

  1. Mineralogical Study on Interpretation of Firing Temperature of Ancient Bricks: Focused on the Bricks from the Songsanri Tomb Complex vol.30, pp.4, 2014, https://doi.org/10.12654/JCS.2014.30.4.08
  2.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Archaeological Scientific Implication of the Bronze Age Potteries from the Cheonan-Asan Area, Korea vol.31, pp.1, 2015, https://doi.org/10.12654/JCS.2015.31.1.06
  3. Archaeological Scientific Characteristics of Patternless Pottery with Talc Temper: Baekseokdong Gojaemigol Site in Cheonan, Korea vol.31, pp.2, 2015, https://doi.org/10.12654/JCS.2015.31.2.08
  4. Physicochemical and Archaeometric Characteristics of Goryeo Period Potteries from the Sandongri in Seosan, Korea vol.32, pp.2, 2016, https://doi.org/10.12654/JCS.2016.32.2.03
  5. Interpretation on Making Techniques of Some Ancient Ceramic Artifacts from Midwestern Korean Peninsula: Preliminary Study vol.32, pp.2, 2016, https://doi.org/10.12654/JCS.2016.32.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