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컴퓨터과학 교육에서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의 학습효과 연구

The Effect of Cooperative and Individual Learning in Computer Science

  • 송민경 (서울매원초등학교) ;
  • 조용주 (상명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 투고 : 2011.11.30
  • 심사 : 2011.12.12
  • 발행 : 2012.01.31

초록

본 논문은 컴퓨터과학 교육에서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이 학습자에게 어떠한 효과가 있는 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협동학습은 우리나라 IT 기업들에서는 프로젝트 방식의 업무 처리 비중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컴퓨터 과학 분야의 학습자들에게 협동학습의 훈련은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개별학습과 협동학습에 대해 학습자들이 어떠한 견해를 가지고 있는지를 연구하고 학습 유형 별 실험을 통해 어떠한 학습의 차이를 가져오는지 설문과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서울 소재의 한 대학교에 컴퓨터 관련학과 전공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학습 방법에 기초해서 두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하였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효과 및 문제점을 논의한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and individual learning in computer science education. Most works and projects are accomplished in groups in most IT companies in Korea. Thus, cooperative learnin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that must be learned in schools. This research studies how students think of individual and cooperative learning. It also researches and analyzes how different learning methods would affect the learning effects with surveys and experiments, which were conducted during two consecutive semesters with students in a department of a computer related major at a university in Seoul. This research compares and analyzes the results after dividing the students in two groups based on the different learning methods.

키워드

참고문헌

  1. L. S. Vygotskii, 마인드 인 소사이어티: 비고츠키의 인간 고등심리 과정의 형성과 교육, 학이시습. 2009.
  2. 권구중. 컴퓨터교과에서 전통학습과 협동학습적용 학습과의 학업성취도 비교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8.
  3. 박윤배, 김미영. "협동해결과 개별해결에서 나타난 물리문제해결과정의 차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26권 제1호, pp. 114-121, 2006.
  4. J. B. Carroll, "A Model of School Learning," Teachers' college Record, Vol.64, pp. 723-733, 1963.
  5. D. W. Johnson and R. T. Johnson, Learning together and alone : cooperation, competition, or individualization, Englewood Cliffs, Prentice Hall. 1975.
  6. 김수정. 인터넷 활용 수업에서 개별학습과 협동학 습의 학업 성취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0.
  7. 박미영. 컴퓨터 교과에서 협동학습과 경쟁학습이 성취동기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9.
  8. 채수진, 황성호.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한 공학컴퓨터프로그래밍 수업 효과 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학술지, 제8권 제3호, pp. 57-68, 2005.
  9. W. H. Peltz, "Can Girls + Science - Stereotype = Success?," Science Teacher, vol.57, no.9, pp. 44-49, Dec. 1990.
  10. 박병태, 신동희, "초등 과학 문제 풀이 과정에서의 성별 특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0권 제2 호, pp. 173-189,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