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음파 유도하 경폐쇄공 띠의 제거 -증례 보고-

Transobturator Tape Under the Ultrasonographic Guidance -A Case Report-

  • 민경대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황석하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강승구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이병일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Min, Kyoung-Dae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oonchunhyang University Bucheon Hospital) ;
  • Hwang, Seok-Ha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oonchunhyang University Bucheon Hospital) ;
  • Kang, Seung-Gu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oonchunhyang University Bucheon Hospital) ;
  • Lee, Byung-Il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Soonchunh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 발행 : 2012.09.28

초록

연부조직 이물질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병력과 함께 초음파 검사가 중요하다. 저자들은 질 누공으로 인한 내전근 근염 환자에서 초음파 검사를 통해 이물질(경폐쇄공 띠)을 발견하고, 수술 시 초음파 유도 하에 이를 제거 후 증상이 호전된 환자를 경험하였다. 연부 조직에 원인이 불명확한 염증소견이 지속될 때 그 원인으로 이물질 존재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하며, 주변 조직의 염증 변화로 인해 자기공명영상으로 찾기 어려운 작은 섬유성 이물의 경우 초음파가 진단과 제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Taking history and ultrasonography is important to detect foreign body which might be located in the soft tissue. We encountered a case of soft tissue foreign body (transobturator tape) in a patient who had been treated with the impression of adductor myositis resulting from vagina fistula. The foreign body was found through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and the patient's symptom was relieved after removal of the foreign body from the ultrasonography-guided operation. Clinicians should keep in mind the fact that foreign bodies may exist when the inflammation persists without appreciable cause and ultrasonography can be useful tool in case of small fibrous band not detected wi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due to inflammatory change of the surrounding tissu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