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rminants of Unethical Tactics in the Trade Negotiation Process

통상협상에서 비윤리적 협상행위에 대한 결정 요인

  • Received : 2012.07.27
  • Accepted : 2012.09.11
  • Published : 2012.09.27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what factors have an influential effect on motive and intention of using the unethical negotiation tactics. It is interesting to find that opportunism was not related to unethical negotiation tactics such as inappropriate information gathering and competitive bargaining in our Korea's sample. On the other hand, idealism and Machiavellianism had positive impact on managers' perceptions of unethical negotiation tactics within our sample. To explain the environmental perspective, the lower level of legal punishment system encourages them to use the unethical tactics without hesitation. On the other hand, organizational goal might have not a related on the perception of unethical negotiation tactics. To reduce the potential risk of use of unethical negotiation in the international negotiation process, international negotiators should find the counterpart negotiator' character before attending negotiation table, and international managers would be better to employ a local agent who can understand local negotiating counterpart, so they can assist them in early stage of negotiation.

본 논문에서는 국제통상 협상에서 마키아밸리즘, 이상주의, 기회주의 등의 개인적 특성과 법률시스템, 조직의 목표 등 환경적 요인 등이 비윤리적 협상행위에 대한 결정요인으로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여부를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마키아밸리즘과 이상주의는 부적절한 정보수집과 같은 비윤리적 협상전략과 관련이 있는 반면에 기회주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엄격한 법집행이 전제되지 않은 현행 법률 시스템 하에서는 비윤리적 협상전술을 사용하려는 의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해 비윤리적 협상전술 사용하려는 의도를 낮게 나타난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국제 협상시 상대방의 비윤리적 협상전술 사용을 억제하고 비윤리적 협상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상대방 국가 협상자의 협상행위 특징을 파악하고, 양쪽 문화에 익숙한 협상 자문사를 고용하는 것이 보다 안전한 협상이득을 얻을 수 있는 방안이라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