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Co-evolution on the Formation Process of Space and Network focused on Knowledge Intensive Industry

지식집약산업의 공간과 네트워크 형성과정에 대한 공진화적 고찰

  • Choi, HaeOk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School of Architecture, Tshinghua University)
  • Received : 2012.10.20
  • Accepted : 2012.11.23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is research investigates a dynamic mechanism underlying the co-evolution between network and space by applying hype-curve model, typical phenomenon which shows how new technologies and ideas initially adapted in the society. This study analysis the knowledge intensive industry of digital content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SNA) in terms of structural, spatial, and temporal aspects, year of 2000, 2005, and 2010 focused on Seoul area. First of all, network and space establish 'inter-feedback' as a result of evolution and differentiation process. Second, it happen temporal 'delay'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stage of 'peak of inflated expectation' and 'trough of disillusionment.' As a result, Seoul develops with the technology commercialized-orient strategy affect government policy. This trend changes to technology-oriented development in Seoul area in the late of 2000 established 'self-organization' with geographical proximity organizations through learning process.

이 연구에서는 네트워크와 공간의 형성과정을 사회와 기술의 변화를 나타내는 공진화(co-evolution)현상의 하이프 곡선을 이용하여 고찰해 보았다. 이를 위해 공진화 현상의 초기 네트워크의 출현과 공간적 사회화 시작, 외부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기대감 최고조, 기대의 반작용, 학습단계, 안정적인 사회적 수용과 내면화 단계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공간과 네트워크의 공진화(co-evolution) 작용메커니즘을 기관유형별로 시간적 변화를 통해 고찰하였다는 특징이 있다. 네트워크는 공간 정책에 의해 상호 피드백을 형성하며 진화와 분화를 반복하며 형성된다. 또한 네트워크와 공간의 상호작용단계에서 정책에 대한 기대와 실망 그리고 조정 등의 사회적 수용과정에서 나타나는 시간적 지연(delay)의 가시성을 보인다. 초기 성장거점의 발전 단계를 지나 균형발전 그리고 광역발전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정책이 네트워크 성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