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rminants of the Regional Competitiveness in the Era of the Globalization and the Climate Change

세계화.기후변화시대의 지역 경쟁력 요인 분석

  • Roh, Young Sik (Department of Environmental Planning,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Hee Ye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Planning,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노용식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 이희연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Received : 2012.11.13
  • Accepted : 2012.11.28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is paper is aimed to analyze the determinants and their relative importance that affect regional competitivenes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climate change. The panel model was set by a balanced panel data for 7 metropolitan areas & 9 provinces and for the period of 2001~2010. Gross regional income per capita is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competitiveness-based factors, economic production factors, and climate change adaptation factors are selected as the explanatory variables. In this study, Model 1(typical regional competitiveness model) and Model 2 (added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daptation factors) were compared. The important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most influential determinants on regional competitiveness are the ratio of knowledge-based industries and human capital and energy inefficiencies decrease the regional competitiveness. Compared to Model 1, Model 2 showed that the effects of the regional openness and the technology innovation capital are relatively more influential in Model 2. The results of this empirical study provide policy implications to strengthen the regional competitiveness in the future of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climate change.

본 논문은 세계화 기후변화시대에 지역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추정하고,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2001~2010년 동안 16개 광역시 도의 균형 패널 데이터를 구축하여 패널분석을 수행하였다. 1인당 지역민총소득을 종속변수로 하고 경쟁력 기반요인, 경제적 생산요인, 기후변화 적응요인을 설명변수로 하는 패널모델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델 1(전형적인 지역 경쟁력 모델)과 기후변화 적응요인을 추가시킨 모델 2를 비교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종속변수에 가장 영향력이 높은 요인으로는 지식기반산업 비율과 인적자본으로 나타났으며, 에너지 비효율성이 증가하면 지역 경쟁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모델 1에 비해 모델 2에서는 지역의 개방성과 기술혁신자본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세계화 기후변화시대에 지역 경쟁력을 강화시키는데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