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quidity-related Variables Impact on Housing Prices and Policy Implications

유동성 관련 변수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및 정책적 시사점에 관한 연구

  • Chun, Haejung (Urban and Regional Planning, Chung-ang University)
  • 전해정 (중앙대학교 도시계획학(부동산))
  • Received : 2012.08.03
  • Accepted : 2012.11.24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related to the liquidity impact of the housing market variables using vector auto-regressive model(VAR) and empirical analysis is to derive some policy implications. October 2003 until May 2012 using monthly data for liquidity variables mortgage rates, mortgage, financial liquidity, as the composite index and nation, Seoul, Gangnam, Gangbuk, the Apartment sales prices were analyzed. Granger Causality Test Results, mortgage rates and mortgage at a bargain price two regions had a strong causal relationship. Since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Geothermal difference there, but housing price housing price itself, the most significant ongoing positive (+) reactions were liquidity-related variables are mortgage loans is large and persistent positive (+), financial liquidity weakly positive (+), mortgage interest rates are negative (-), KOSPI, the negative (-) reacted. Liquidity and housing prices that the rise can be and Gangnam in Gangbuk is greater than the factor that housing investment was confirmed empirically. Government to consider the current economic situation, while maintaining low interest rates and liquidity of the market rather than the real estate industry must ensure that activities can be embedded and local enforcement policies should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policy will be able to reap significant effe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동성 관련 변수가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지역별 영향력의 차이를 벡터자기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실증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2003년 10월부터 2012년 5월까지의 월별 시계열 자료를 사용하여 유동성 관련 변수는 주택담보대출금리, 주택담보대출금, 금융기관유동성, 종합주가지수로 하였고 전국, 서울, 강남, 강북의 아파트 매매가격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그랜저인과관계 검정결과, 주택담보대출금리와 주택담보대출금이 지역별 매매가격에 강하게 인과관계가 있었다. 이후 충격반응 분석결과, 각 변수 충격에 대해 매매가격은 지열별로 차이는 존재하였으나 매매가격 자체에 가장 크게 지속적인 양(+)의 반응을 보였고 주택담보대출금리는 음(-), 주택담보대출금은 양(+), 금융기관유동성은 양(+), 종합주가지수는 양(+)의 반응을 보였다. 매매가격 충격에 종합주가지수는 음(-)의 반응을 보였다. 유동성의 변화가 주택가격을 상승시킬 수 있고 강남지역이 강북지역에 비해 주택투자적인 요인이 크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정부는 현재의 경제상황을 고려해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면서 시장의 유동성이 부동산이 아닌 산업활동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해야하며 지역별로 차별화된 정책을 수립 집행해야 부동산 정책효과를 크게 거둘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