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ative Analysis of Technical System by Six Organic Rice Cultivation Type in the Southern Provinces

남부지방 벼 유기농법 유형별 투입기술체계 비교분석

  • 안인 ((사)한국친환경농자재협회) ;
  • 박주섭 (농촌진흥청 기술경영과) ;
  • 김삼현 ((사)한국친환경농자재협회) ;
  • 맹운영 ((사)한국친환경농자재협회) ;
  • 이인애 ((사)한국친환경농자재협회)
  • Received : 2012.10.12
  • Accepted : 2012.12.03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2011 to 2012 in order to analyze the cultivation technology system by six organic rice cultivation types in the southern provinces for the purpose of utilizing organic rice farming guidelines. This surveys were conducted by site visit on 8 counties and 115 farms in southern area. Cultivation technology system by six organic rice cultivation types were cultivated by the principle of minimum input or non-input. cropping systems, a mixture of barley and rice, or rice green manure crops were grown. Cultivars were mixture of the local cultivars and Japanese varieties. Soil were managed by a self-manufactured compost, indigenous microorganisms and barley straw without any fertilization. Pest control was mainly practied by purchased eco-friendly organic materials or herbal medication residue and indigenous microbial self-manufactured. Weed was controled by snails and barley straw. In addition, considering the restore of a longtail pitching shrimp and grasshoppers, the fuction of environmental ecology of six organic rice cultivation type proved to be excellent all. Meanwhile, the productivity of the organic farming per 10a were the order of Life and environment > Natural circulation > Stevia > Ji jang > Art and nature > Taepyoung of Farming Methods, but the farmers received prices showed the opposite tendency. Simple profitablity did not show a big difference. But, the productivity of all type of the organic farming were lower then the conventional farming. Finally, If we want to conduct safety and easy farming, we can suggest stevia farming, Natural circulation farming and life and environmental farming out of 6 organic rice cultivation types.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주로 남부지방에서 재배되고 있는 민간실천 유기농법 6종에 대한 유기 벼 재배기술체계를 조사하여 우수농법은 영농활용자료로 보급코자 벼 유기농법 유형별 재배면적, 농가수, 품종, 작부체계, 토양관리, 시비, 병충해 잡초방제, 환경보전기능 및 10a당 수량과 농가수취가격 등을 조사 하였다. 전남북, 경남 등 남부 지방 8개시군 115농가를 대상으로 현지방문 또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벼 유기농법별 기술체계는 최대한 무투입(방임) 또는 최소투입을 원칙으로 하고 있었다. 작부체계는 대부분 맥류/녹비작물/벼를 경운 또는 무경운으로 재배하고, 품종은 일본도입 품종이나 그 지방 장려품종 중에서 선택 혼합되어 재배하고 있었다. 토양관리는 일체 시비하지 않고 볏짚, 보리짚을 그대로 이용하거나, 자가제조 퇴 액비나 토착미생물을 이용하고, 병충해 방제는 일체 무방제 하거나 친환경유기농자재를 구입사용 또는 천연식물추출물, 토착미생물, 한방제 등을 자가제조 사용하였다. 제초는 맥류 짚을 활용하거나, 왕우렁이를 이용하였다. 긴꼬리 투구새우 및 풍년새우 복원 및 메뚜기 다발생 등으로 보아 환경생태보전기능은 조사농법 모두 우수 한 것으로 판명 되었다. 10a당 생산수량은 생명환경농법>자연순환농법>스테비아농법>지장농법>예술자연농법>태평농법 순이었으나, kg당 농가수취가격은 반대의 경향을 나타내어 단순 수익성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조사 농법 모두 관행농법에 비해 수량성은 낮았다. 재배안전성은 스테비아농법, 자연순환농법, 생명환경농법은 비교적 높았고 태평농법, 예술자연농법 및 지장농법은 비교적 낮았다. 본 연구결과로 볼 때 재배안전성 및 실천용이성 등을 고려할 경우 스테비아, 자연순환, 생명환경 농법은 농가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주섭 외. 2001. 친환경농업기술을 이용한 벼 재배의 기술체계 및 경제성. 한국유기농업학회지 9(2).
  2. 정만철 외. 2006. 친환경 쌀 재배단지의 경영성과 및 유통실태분석. 농촌진흥청.
  3. 정만철 외. 2007. 친환경 쌀의 유통특성 및 재배유형별 경영성과분석.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5(1).
  4. 김창길 외. 2009. 유기농업실천농가의 경영효율성 분석.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7(1).
  5. 전남농업기술원. 2010. 전남 벼 유기재배 농법별 수익성 비교. 농진청 영농 활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