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Traffic Safety Monitoring Technique by Detection and Analysis of Hazardous Driving Events in V2X Environment

V2X 환경에서 위험운전이벤트 검지 및 분석을 통한 교통안전 모니터링기법 개발

  • 정은비 (한양대학교 교통공학과) ;
  • 오철 (한양대학교 교통.물류공학과) ;
  • 강경표 (한국교통연구원 첨단교통 올림픽수송연구센터) ;
  • 강연수 (한국교통연구원 첨단교통 올림픽수송연구센터)
  • Received : 2012.02.29
  • Accepted : 2012.10.31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raffic management centers (TMC) collect real-time traffic data from the field and have powerful databases for analysing, recording, and archiving the data. Recent advanced sensor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been widely applied to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ITS). Regarding sensors, various in-vehicle sensors, in addition to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receiver, are capable of providing high resolution data representing vehicle maneuverings. Regarding communication technologies,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ing vehicle-to-vehicle (V2V) and vehicle-to-vehicle infrastructure (V2I), which are generally referred to as V2X, have been widely used for traffic information and operations (references). The V2X environment considers the transportation system as a network in which each element, such as the vehicles, infrastructure, and drivers, communicates and reacts systematically to acquire information without any time and/or place restrictions. This study is motivated by needs of exploiting aforementioned cutting-edge technologies for developing smarter transportation services. The proposed system has been implemented in the field and discussed in this study. The proposed system is expected to be used effectively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various traffic information control strategies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raffic safety on highways.

개별차량의 주행궤적을 모니터링하고 개별차량의 위험운전행태를 검지하여 도로의 안전성을 평가하고 분석하는 것은 사고의 원인 분석 및 예방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최근 각종 센서 및 통신기술의 발달은 과거에 비해 보다 미시적이고 폭넓은 교통자료의 취득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발달된 기술력을 통해 사고 이력자료를 이용할 수밖에 없던 과거와 달리 개별차량의 주행궤적자료를 실시간으로 가공하여 교통상황과 정보를 바로 수집할 수 있는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차량 주행자료 수집 및 차량-차량간, 차량-인프라간 무선통신이 가능한 차량 내 센서로부터 수집되는 자료를 이용하여 위험운전이벤트를 검지하였다. V2X 통신을 통해 생성된 위험운전 정보를 교통관리센터로 전달하고 도로의 위험도를 산출함으로써 실시간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교통안전 모니터링을 통해 도로의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통안전 모니터링 기법은 실제 테스트베드에 구현되어 테스트 중에 있으며, 실제 구현된 교통안전 모니터링의 적용 사례 및 활용방안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통안전 모니터링 기법은 도로의 전반적인 안전성을 검토함으로써 교통류 관리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교통안전증진을 위한 다양한 정책개발 및 평가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 통계자료, 2009. URL: http://www.road.re.kr/
  2. 한인환, 양경수, "차량용 블랙박스를 활용한 위험운전인지," 대한교통학회, 대한교통학회지, 제 25권, 제 5호, pp.149-160, October 2007.
  3. K. H. Beck, F. Yan and M. Q. Wang, "Cell phone users, reported crash risk, unsafe driving behaviors and dispositions: A survey of motorists in Maryland," Journal of Safety Research 38 (2007) 683-688, 2007 https://doi.org/10.1016/j.jsr.2007.09.006
  4. 오주택, 조준희, 이상용, 김영삼, "위험운전 유형 분류 및 데이터 로거 개발," 한국ITS학회, 한국ITS 학회 논문지, 제 7권, 제 3호, pp.15-28, June 2008.
  5. W. Valaar, H. Simpson and R. Robertson, "A perceptual map for understanding concern about unsafe driving behaviour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ation 40(2008), pp.1667-1673, June 2008. https://doi.org/10.1016/j.aap.2008.05.009
  6. 오주택, 조준희, 이상용, 김영삼, "위험운전 유형에 따른 임계값 개발," 한국도로학회, 한국도로학회 논문집, 제 11권, 제 1호, pp.69-83, March 2009.
  7. Peter I.J. Wouters and John M.J. Bos, "Traffic accident reduction by monitoring driver behaviour with in-car data recorder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 32 (2000), pp.643-650, September 2000. https://doi.org/10.1016/S0001-4575(99)00095-0
  8. 김준형, 송태진, 오철, 성낙문, "개별차량 주행 패턴 분석을 통한 교통사고 위험도 분석 기법," 대한교통학회, 대한교통학회지, 제26권, 제5호, pp.51-62, October 2008.
  9. 배기만, 박근영, 이동진, 임정식, 이상룡, 이춘영, "지능형 단말기를 사용한 탱크로리 운행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한국가스학회, 한국가스 학회지, 제12권, 제2호, pp.42-47, June 2008.
  10. A. S. Lund and M. L. Pack, "Dynamic Wide-Area Congestion and Incident Monitoring Using Probe Data,"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1876, pp.1-9, 2010.
  11. J. Wang, W. Xu and Y. Gong, "Real-time driving danger-level prediction," Engineering Applic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vol. 23, issue 8, pp.1247-1254. December 2010. https://doi.org/10.1016/j.engappai.2010.01.001
  12. C. Oh, E. Jung, H. Rim, K. Kang and Y. Kang, "Inter-vehicle Safety Warning Information System for Unsafe Driving Events: Methodology and Prototypical Implementation,"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annual meeting, January 2012.
  13. G. A. Miller, "The magical number seven, plus or minus two: some limits on our capacity for processing information," Psychological Rev, vol. 63, pp.61-97, March 1956.
  14. T. L. Saaty and E. Ervener, "A new approach to performance measurement -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Design Methods and Theories, vol. 13, no. 2, pp.64-72, 1979.
  15. u-Transportation 체계종합기술 개발 최종보고서 (u-T 기반 교통안전서비스 구현 지원 및 검증), 한국건설 교통기술평가원, 2012.
  16. 남양주시 통합교통정보센터, 남양주시청 URL: http://traffic.nyj.go.kr/service/index.htm
  17. DSRC를 이용한 교통정보시스템 표준, Part. 4. 성능 시험방법 부문, ITS Korea,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