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pact of Cosmetics Blog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n credibility in the Process of Word of Mouth Acceptance and Word of Mouth Effect

화장품 블로그의 정보특성이 구전수용과정의 신뢰와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 박정미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
  • 황선진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 Received : 2011.08.30
  • Accepted : 2011.12.22
  • Published : 2012.02.2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influence over confidence and Word-Of-Mouth (WOM) effect in the acceptance process of WOM by information characteristics(consensus, vividness, and message neutrality) of individual cosmetic blog, reflecting that it is widely spreading over the public. Online survey for the consumers using such blogs was performed to collect data(N=200), and credibility analysis through Cronbach-${\alph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nalysis using AMOS 18.0 were perform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vivid information and neutral message increase WOM effect through the improvement of consumers' credibility whereas information consensus doesn't positively influence over credibility. Second, the examination of a moderating effect by type of cosmetics demonstrated that the consumers of basic cosmetics have most confidence in vivid information, and those of color cosmetics do more confidence in neutral message. Therefor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redibility factor of online WOM depending on the type of cosmetics consumption so that differentiated information provision strategies for cosmetics groups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it.

Keywords

References

  1. 방송통신위원회, "인터넷 이용실태 조사결과", 자료검색일 2010. 5. 20, http://www.kcc.go.kr/user.do?mode=view&page=P02020600&dc=K02020600&boardId= 1008&boar dSeq=26768
  2. DMC 미디어, "구매 및 소비에 미치는 미디어의 영향력과 활용도 조사", 자료검색일 2010. 11. 26, http://www.dmcreport.co.kr/report/report_view.php?type=sur vey&keyfield=i_title&keyname=구매 및 소비에 미치는 미디어의 영향력과 활용도 조사&num=260
  3. 박병욱, 서현석, 나윤규 (2008), 블로그 특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논집, 16(3), pp. 25-27.
  4. 김현정, 이명희 (2007),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화장품 구매동기와 구매 후 만족에 관한 연구, 복식, 57(3), pp. 78-89.
  5. 김효정, 황선진 (2011), 지각된 가치 외 위험이 인터넷 패션 쇼핑몰의 수입패션제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공식딜러와 비공식딜러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복식, 61(4), pp. 63-75.
  6. 황경순, 황선진 (2007), 인터넷 패션 쇼핑몰의 서비스 품질이 소비감정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복식, 57(9), pp. 149-160.
  7. 강명수 (2002), 온라인 커뮤니티 특성이 커뮤니티 몰입과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저널, 3(1), pp. 77-98.
  8. 김사혁, 오영석 (2004),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한 브랜드 마케팅 전략, 정보통신정책, 16(2), pp. 20-37
  9. 이희욱 (2004), 블로그 광고: 서전(鼠傳, Word-of-Mouse)의 이용, 소비문화연구, 7(3), p. 143.
  10. 이호영, 정은희 (2008), 블로그를 중심으로 본 디지털 콘텐츠의 사회적 확산, KISDI 이슈 리포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8(12), pp. 1-43.
  11. Elliott, Kiersten Marie (2002), Understanding Consumerto- Consumer Influence on the Web. Doctoral Dissertation, Duke University, pp. 1-162.
  12. Salo, J., Karjaluoto, H. (2007), A conceptual model of trust in the online enviro nment, ONLINE INFORMATION REVIEW, 31(5), pp. 604-621. https://doi.org/10.1108/14684520710832324
  13. 이은영 (2004), 온라인 구전수용과 확산과정에 대한 이중경로 모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70.
  14. 박성화 (2009), 온라인 소비자 커뮤니티의 구전 수용 과정 연구: 정보원 신뢰(Source Trust)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52.
  15. Chiou, Jyh-Shen, & Cathy Cheng (2003), Should a Company Have Message Words on its web sites,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17(3), pp. 50-61. https://doi.org/10.1002/dir.10059
  16. Bone, Paula F (1995), Word of Mouth Effects on Short-term and Long-term Product Judgement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32(3), pp. 213-223. https://doi.org/10.1016/0148-2963(94)00047-I
  17. Weiner, R. P. (2000), Creativity and Beyond Cultures, Values and Chan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xii, p. 353.
  18. 이은영, 이태민 (2005), 온라인 환경에서의 정보특성이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비자 제품지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6(2), p.164.
  19. Newman, peter (2003), An investigation of consumer Reactions to Negative Word-of Mouth on the Internet,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 304.
  20. Schindler, Tobert M., & Babara Bickart (2002), Published Word of Mouth Referavle, Consumergenerated Information on the Internet, working paper, pp. 35-61.
  21. 이은영 (2004), 온라인 구전수용과 확산과정에 대한 이중경로 모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19-121.
  22. 양정아 (2010), 온라인 패션 커뮤니티의 정보특성이 관계품질 및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1.
  23. Chatterjee, Patrali (2001), Online review: Do consumers use them,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28, pp. 129-133.
  24. 박성화 (2009), 온라인 소비자 커뮤니티의 구전 수용 과정 연구: 정보원 신뢰(Source Trust)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72.
  25. 이현선, 리대용 (2004), 구전으로서 온라인 사용 후기의 효과에 관한 연구, 홍보학연구, 8(2), p. 263.
  26. 김혜성 (2008), 온라인 구전에서 메시지의 방향성이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구전 정보원 공신력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75.
  27. Harrison-Walker (2001), The Measurement of Wordof- Mouth Communication and an Investigation of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Commitment as Potential An tecedents, Journal of Service Research, 4(1), pp. 60-75 https://doi.org/10.1177/109467050141006
  28. 김창호, 황의록 (1997), 구전정보 특성과 구전효과의 관계, 광고연구, 35, pp. 55-97.
  29. 김종욱, 박상철, 이원준 (2005), 온라인 소비자 구매행동에서 제품관여도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경영과학, 22(2), p. 70.
  30. 전상택, 이형주 (2009), 인터넷 쇼핑몰과 사용자의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9(3), p. 486.
  31. 김민정 (2007), 여성소비자의 정보탐색 유형별 화장품 구매성향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8-61.
  32. 손지연, 어숙희 (2008), 화장품 온라인 쇼핑 시 온라인 구전 정보의 방향성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14(3), pp. 943-944.
  33. 이은영, 이태민 (2005), 온라인 환경에서의 정보특성이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비자 제품지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6(2), 155.
  34. 이은영 (2004), 온라인 구전수용과 확산과정에 대한 이중경로 모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55
  35. 박성화 (2009), 온라인 소비자 커뮤니티의 구전 수용과정 연구: 정보원 신뢰(Source Trust)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3.
  36. 박영민 (2010), 온라인 구전정보의 방향성과 유형이 구매의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에 관한 연구: 동일 제품군 첫 구매자와 재구매자 비교,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78.
  37. 이상민 (2008), 무료신문 매체의 유형에 따른 신뢰도가 홍보기사태도와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6.
  38. 이은영, 이태민 (2005), 온라인 환경에서의 정보특성이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비자 제품지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6(2), p.156
  39. 정혜미, op. cit., p. 20.
  40. Fornell, C., & La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9(February), pp. 39-50.
  41. 이학식, 임지훈 (2009),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0, 경기: 법문사, pp. 174-182.
  42. 김계수 (201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AMOS 18.0, 서울: 한나래출판사, pp. 345-451.
  43. 양정아 (2010), 온라인 패션 커뮤니티의 정보특성이 관계품질 및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9.
  44. 이은영 (2004), 온라인 구전수용과 확산과정에 대한 이중경로 모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9.
  45. 박성화 (2009), 온라인 소비자 커뮤니티의 구전 수용 과정 연구: 정보원 신뢰(Source Trust)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72.
  46. Coyle, James R., & Esther Thorson. (2001), The Effect of Progressive Levels of Interactivity and Vividness in Web Marketing Site, Journal of Advertising, 30(3), pp. 65-77. https://doi.org/10.1080/00913367.2001.10673646
  47. Gerwal, Rajdeep, T. W. Cline, & A. Davies. (2003), Earlt-Entranr Advantage, Word-of-Mouth Communication, Brand Similarity, and the Consumer Decision- Marking Proces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3(3), pp. 187-197. https://doi.org/10.1207/S15327663JCP1303_01
  48. 박성화 (2009), 온라인 소비자 커뮤니티의 구전 수용 과정 연구: 정보원 신뢰(Source Trust)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76.
  49. 박성화 (2009), 온라인 소비자 커뮤니티의 구전 수용 과정 연구: 정보원 신뢰(Source Trust)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77.
  50. 김민정 (2007), 여성소비자의 정보탐색 유형별 화장품 구매성향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8.

Cited by

  1. A study on online word-of-mouth effect through blog reviews on fashion products -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vol.21, pp.4, 2013, https://doi.org/10.7741/rjcc.2013.21.4.478
  2. Satisfaction, Reliability, and Word-of-Mouth Intention for Online Information According to Cosmetic Consumer Information Search Types vol.23, pp.6, 2019, https://doi.org/10.12940/jfb.2019.23.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