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ing Model of Food Cultural Contents for Smartphone Application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용 음식문화 콘텐츠 개발 모델과 전망

  • 최정희 (백석예술대학 외식산업학부) ;
  • 이영미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Received : 2011.12.13
  • Accepted : 2012.01.31
  • Published : 2012.02.28

Abstract

Food tourism has grown exponentially every year and food is now considered a vital component of the tourism experience. In recent years, smartphone applications have emerged as a new tool helping travelers create experiences, which allow a number of users to access easily informations about foods while traveling abroad. This study propose a new developing model of food cultural contents for smartphone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travelers, 'menu guide for international travelers'. It was created by a group of experts in food culture, who had been lived or are living in 10 different countries, and the collective intelligence enabled to create extensive and reliable food cultural content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is developing model of food cultural contents will be a good example for the development of mobile contents for smartphone applications.

최근 해외여행에서도 음식 체험이 주가 되는 관광인 '푸드 투어리즘'이 크게 각광받고 있다. 한편 스마트폰 가입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서 푸드 투어리즘을 즐기려는 해외여행자들에게 여행지의 음식문화에 대한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필요성도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해외의 음식문화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제작 과정을 통하여 요리와 음식문화가 어떻게 상업성이 있는 콘텐츠로 가공, 개발될 수 있는지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구축한 콘텐츠는 해외 10개국에 현재 거주하거나 장기 거주한 경험이 있는 다수의 음식 전문가들이 언어, 문화, 식품과 음식에 대한 지식을 공유하는 집단지성 체계를 통해 다양한 지역, 풍성한 아이템, 정보의 깊이와 정확성이라는 양적, 질적 수준을 모두 충족시키는 정보로 유저들의 호응을 끌어냈다는 점에서 앞으로 개발될 애플리케이션용 문화 콘텐츠의 제작 모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민해외여행 실태조사 2008, 한국관광공사, 2009.
  2. A. M. Hijalager and G. Richards, Tourism and Gastronomy, Routledge, 2002.
  3. C. M. Hall and L. Sharples, The Consumption of Experiences or the Experience of Consumption? An Introduction to the Tourism of Taste, Food Tourism Around the World: Development, Management and Markets, Butterworth- Heinemann, 2003.
  4. C. M. Hall, L. Sharples, R. Mithcell, N. Macionis, and B. Cambourne, Food Tourism Aroudn the World: Development, Management and Markets, Butterworth-Heinemann, 2003.
  5. L. M. Long, Culinary tourism, University press of Kentuchy, 2004.
  6. P. Boniface, Tasting Tourism: Travelling for Food and Drink, Ashgate, 2003.
  7. 김현정, "유비쿼터스 관광 정보서비스 구축 현황 및 사례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 1호, pp.407-416, 2010.
  8. 류종민, 홍창표, 강경보, 강동현, 양두영, 좌정우, " 모바일 상황인식 추천맛집 서비스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5호, pp.138-145, 2007.
  9. 김선남, "모바일 수용자의 콘텐츠 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7권, 제4호, pp.5-267, 2007.
  10. 배진한, "공적공간의 유형과 성별, 연령, 라이프 스타일 등 수용자의 인적 속성이 모바일콘텐츠 이용에 미치는 영향", 언론과학연구, 제6권, 제4 호, pp.137-171, 2006.
  11. 장대자, 양혜정, 권대영, 성우열, "유,무석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한 맞춤형 비빔밥 콘텐츠 설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7호, pp.98-105, 2010.
  12. 최항섭, "레비의 집단지성: 대중지성을 넘어 전 문가지성의 가능성 모색",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6권, 제3호, pp.287-322, 2009.
  13. P. Levy, Pour l'intelliegence collective, Le Monde Diplomatique, 1995.
  14. 조근식, "공모전을 통한 집단지성 기반의 협업적 디저털 스토리텔링",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 10권, 제12호, pp.120-128, 2010.
  15. 이해성, 권준희, "상황인식 환경에서의 집단지성 기반의 모바일 여행 콘텐츠 서비스의 설계",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7권, 제5호, pp.147-155,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