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umers' Attitude and Consumption about Korean Traditional-patterned Ornament

한국 전통문양 장신구에 대한 소비자 인식조사

  • Han, Woo-Ri (Dept. of Clothing Industry,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Hye-Jung (Dept. of Clothing Industry,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 Son, Jin-Ah (Dept. of Clothing and Textile, Seoul National University)
  • 한우리 (한경대학교 의류산업학과) ;
  • 김혜정 (한경대학교 의류산업학과) ;
  • 손진아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11.10.13
  • Accepted : 2011.12.29
  • Published : 2012.01.31

Abstract

Fashion cultural products represents cultural trend, and they are produced a lot in Korea to express the Korean culture and style. They are also tools that embody images of Korea.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the Korean traditional-patterned ornaments as fashion cultural products.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a framework of consumers' attitudes and consumption behaviors about Korean traditional-patterned ornaments, examining how the characteristics are changed according to shopping orientation. For this purpose, a quantitative survey was carried out using 455 questionnaires from women in their 20s and over.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OVA, cluster analysis, and $x^2$-test.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alf of the respondents were found to possess Korean traditional-patterned ornaments. However, consumers had positive attitudes and tend to purchase them for their own use rather than gifts, demonstrating that the potential for the market is large enough. Second, in accordance with their shopping orientation, consumers were sub-divided into four groups: trend/brand oriented, practicality/pleasure oriented, convenience oriented, and passive shoppers. The trend/brand oriented group showed highest levels of preference regarding purchase intentions of Korean traditional-patterned ornaments. This group also showed the strongest purchasing power on fashion items among the four groups. Third, this study presented animal, plant, geometric and abstract patterns to the respondents to examine their attitudes. It was found that consumers prefered plant-patterned ornaments rather than the others, demonstrating that they have stronger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 ornaments with more natural images.

Keywords

References

  1. 신승택, 이현주 (2001), 전통주술문양의 시각적 분석을 통한 한국캐릭터의 시각적 표현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14(3), pp. 135-144.
  2. 김장원 (2002), 삼국시대 이식을 응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연구: 기법과 문양을 중심으로, 생활문화예술논집, 25, pp. 139-156.
  3. 이진화, 김민자, 이진민 (2005), 한국패션문화상품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대응전략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7), pp. 968-977.
  4. 문은아 (2002), 문화상품 산업화를 위한 디자인 기획 방향에 관한 연구-감성요소 중심으로, 한국디자인 포럼, 7, pp. 150-166.
  5. 현선희, 배수정 (2007), 패션문화상품의 한국전통문양 활용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1(8), pp. 1252-1261. https://doi.org/10.5850/JKSCT.2007.31.8.1252
  6. 현선희, 배수정 (2007), 패션문화상품의 한국전통문양 활용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1(8), p. 1253.
  7. 장석 (2003), 한국 전통 장신구 문양의 상징성과 조형 의식연구, 조형논총, 2, pp. 51-74.
  8. 김기엽, 홍정민, 김영미 (2005), 경주지역의 전통문양을 이용한 문화상품개발, 한복문화, 8(1), pp. 145-150.
  9. 김혜경, 이지영, 이혜성 (2004), 단청문양을 응용한 니트웨어 디자인,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4), pp. 415-420.
  10. 박영미, 박경순 (2009), 전통문양과 친환경소재를 활용 한 패션소재기획, 한국생활과학회지, 18(5), pp. 1103- 1113.
  11. 장혜선, 김은정 (2010), 한국전통문양을 응용한 아트메이크업, 한국미용학회지, 16(2), pp. 356-264.
  12. 정진순 (2004), 연꽃문양을 이용한 직물디자인 개발 및 문화상품제작(2),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4), pp. 421- 426.
  13. 조효숙, 김선경, 이은진 (2004), 전통 모란문을 응용한 크리스마스 소품개발, 한복문화, 7(3), pp. 81-88.
  14. 손희정 (2001), 한국전통문양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9-50.
  15. 장수경, 김재숙 (1999), The Preference on Korean Traditional Motifs and It's Relationship with Motifs Images. IJCC, 2(2), pp. 60-70.
  16. 장수경 (2004), 미국대학생의 한국전통문양에 대한 선호도와 구매의도 및 감성이미지와의 관계, 복식문화연구, 12(3), pp. 369-378.
  17. 김지연 (2008), 요가복 사용실태와 전통문양활용 요가복 선호도 조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0(2), pp. 147-154.
  18. 조지현, 김영은 (2001), 현대적 응용을 위한 한국전통 무늬의 선호도 및 이미지 평가, 한국생활과학회지, 10(4), pp. 399-409.
  19. 현선희, 배수정 (2007), 패션문화상품의 한국전통문양 활용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1(8), pp. p. 1258.
  20. 이진화, 김민자, 이진민 (2005), 한국패션문화상품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대응전략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7),pp. 972-975.
  21. 서미영 (2008), 백제 장신구의 문양 분석, 복식, 58 (8), pp. 13-39.
  22. 임철민 (2008), 한국 장신구 공예품의 실증분석에 관한 연구-공예요소와 소비자 감성분석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9(2), pp. 749-756.
  23. 정혜정 (2004), 장신구에 나타난 주술적 상징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7(2), pp. 93-101.
  24. 한국문화재 보호협회 (1998), 한국의 무늬, 서울: 한국문화재 보호재단, p. 7.
  25. 김지연 (2008), 요가복 사용실태와 전통문양활용 요가복 선호도 조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0(2), pp.149.
  26. 임철민 (2008), 한국 장신구 공예품의 실증분석에 관한 연구-공예요소와 소비자 감성분석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9(2) p. 750.
  27. 현선희, 배수정 (2007), 패션문화상품의 한국전통문양 활용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1(8),pp. 1256-1260.
  28. 조지현, 김영은 (2001), 현대적 응용을 위한 한국전통 무늬의 선호도 및 이미지 평가, 한국생활과학회지, 10(4), pp. 401-407.
  29. 손희정 (2001), 한국전통문양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15.
  30. 장석 (2003), 한국 전통 장신구 문양의 상징성과 조형 의식연구, 조형논총, 2, pp. 54-59.
  31. 장수경 (2004), 미국대학생의 한국전통문양에 대한 선호도와 구매의도 및 감성이미지와의 관계, 복식문화연구, 12(3) pp. 371-372.
  32. 손미연 (2005), 한국전통문양을 응용한 문양디자인 수업모형개발,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7-26.
  33. 김지연 (2008), 요가복 사용실태와 전통문양활용 요가복 선호도 조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0(2), pp. 149-150.
  34. 서미영 (2008), 백제 장신구의 문양 분석, 복식, 58 (8), pp. 20-26.
  35. 장혜선, 김은정 (2010), 한국전통문양을 응용한 아트 메이크업, 한국미용학회지, 16(2), pp. 357-359.
  36. 송용섭 (1983), 현대 소비자 행동론, 서울: 법문사, p. 73.
  37. 조지현, 김영은 (2001), 현대적 응용을 위한 한국전통 무늬의 선호도 및 이미지 평가, 한국생활과학회지, 10(4) pp. 402-408.
  38. 권순정, 송경자 (2002), 2001년도 한복디자인 경향과 문양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4(2), pp. 128-136.
  39. 정연윤 (2008), 민속복식과 현대패션에 나타난 전통문양의 조형적 특성 비교: 동-서양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05-108.
  40. 이은희, 전경란 (2001), 대학생의 의복행동과 장신구착용에 관한 연구-K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0(1), pp. 113-126.
  41. 김기엽, 홍정민, 김영미 (2005), 경주지역의 전통문양을 이용한 문화상품개발, 한복문화, 8(1), pp. 145-148.
  42. 임철민 (2008), 한국 장신구 공예품의 실증분석에 관한 연구-공예요소와 소비자 감성분석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9(2),pp. 750-755.
  43. Hawkins, D. I., Best, R. J., & Coney, K. A. (1995), Consumer Behavior (6th ed.), Chicago: Irwin, p. 351.
  44. Gehrt, K. C. & Shim, S. (1998), A shopping orientation segmentation of French consumers: Implications for catalog marketing, Journal of interative marketing, 12(4), pp. 34-46. https://doi.org/10.1002/(SICI)1520-6653(199823)12:4<34::AID-DIR4>3.0.CO;2-O
  45. 김세희 (2009), 인터넷 매장과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소비자 의복 쇼핑성향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3(1), pp. 92-103.
  46. 윤지현 (1999),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진바지 구매행동 연구-서울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4-69.
  47. 정재은, 정성지 (2004), 인터넷 패션소비자의 의복쇼핑성향과 판촉활동에 대한 수용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8), pp. 1037-1047.
  48. 이미숙 (2010), 여성 소비자의 의복 쇼핑성향에 따른 의복 구매 행동-연령집단별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8(6), pp. 1138-1151.
  49. 김세희 (2009), 인터넷 매장과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소비자 의복 쇼핑성향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3(1), p. 94.
  50. 장석 (2003), 한국 전통 장신구 문양의 상징성과 조형 의식연구, 조형논총, 2, p. 54.
  51. 신주동, 최종명 (2008), 대학생의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장신구 착장, 한국생활과학회지, 17(4), pp. 723- 731. https://doi.org/10.5934/KJHE.2008.17.4.723
  52. 노란 (2009), 원석공예 장신구에 대한 소비자 실태 조사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75-92.
  53. 최은영, 전경란 (2000), 청소년기 장신구 착장에 관한 연구-라이프스타일과 의복행동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학회지, 9(1), pp. 137-152.
  54. 신주동, 최종명 (2008), 대학생의 패션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장신구 착장, 한국생활과학회지, 17(4), pp. 726-730.
  55. 김세희 (2009), 인터넷 매장과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소비자 의복 쇼핑성향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3(1), pp. 96-97.
  56. 노란 (2009), 원석공예 장신구에 대한 소비자 실태 조사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8-61.
  57. 노란 (2009), 원석공예 장신구에 대한 소비자 실태 조사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6-73.
  58. 김은주 (1982), 의복문양의 기호도에 관한 실태 연구- 한복을 중심으로, 복식, 6, pp. 65-87.
  59. 정현경 (1996), 전통문양을 응용한 텍스타일 디자인에 관한 고찰-현대 직물 디자인에 선호되는 전통문양을 중심으로, 중부대학교 논문집, 7(1), pp. 567-575.
  60. 조지현, 김영은 (2001), 현대적 응용을 위한 한국전통 무늬의 선호도 및 이미지 평가, 한국생활과학회지, 10(4), pp. 402-405.
  61. 노란 (2009), 원석공예 장신구에 대한 소비자 실태 조사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6-73.
  62. 박은주, 하명진 (2008), 주얼리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2(3), pp.385-394.

Cited by

  1. 영왕비의 진주낭자 도안을 응용한 니트웨어 디자인 연구 vol.16, pp.4, 2012, https://doi.org/10.5805/sfti.2014.16.4.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