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호무도로서 공수도 수련의 가치

Value of Karatedo training as Security Guard Martial Art

  • 정일홍 (중부대학교 경찰경호학과)
  • 투고 : 2012.09.30
  • 심사 : 2012.10.29
  • 발행 : 2012.10.31

초록

본 연구는 경호무도로서 점차 활성화되고 있는 공수도 수련을 탐색해 봄으로서 공수도가 경호무도로서 어떠한 가치를 갖는가를 정립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로 공수도 관련서적과 자료, 타무도를 경호무도로 활용한 선행 연구를 수집, 참고하였다. 경호무도는 일반적인 운동과는 달리 많은 노력과 숙련으로 실제상황을 대비하여 습득하는 무술로서 공격형이 아닌 방어형 무술이라고 할 수 있다. 경호업무에 있어서 한 번의 실수는 곧 경호대상자를 잃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기에 경호의 존재가치가 무의미한 것으로 나타나기에 경호업무의 중요성은 날로 그 의미를 더해간다고 볼 수 있다. 이와 연관하여 본 연구자는 경호무도로서 공수도의 가치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어수단적 가치이다. 둘째, 신체적 가치이다. 셋째, 심리적 가치이다. 넷째, 기술적 가치이다. 다섯째 교육적 가치이다. 여섯째, 무도론적 가치이다. 이러한 경호무도로서의 공수도 수련의 가치는 세계인들의 나이와 인종 그리고 종교에 관계없이 공경호와 사경호를 위한 경호무도로서 발전되어 가고 있다.

The value of Karatedo as security guard martial art can be categorized like following in connection with this point. The first one is value of defensive measure. It can raise dispassionate of dangerous condition by exact and dispassionate judgment and quick movement and it can raise capability being able to overpower opponent by exact judgment and quick action at incident. Secondly, it is physical value. The third one is psychological value. The forth one is technological value. The fifth value is education. The last one is value as martial art. Karatedo is martial art of noble man starting from proprieties and ending to proprieties. It include ethical aspects including proprietis, technology of 'Ilgekfilsal' being able to kill life and survive life.

키워드

참고문헌

  1. 박기범, 김태민, "한국 합기도 기술의 경호무도 적용", 대한무도학회지, 12권, 3호, 343-359, 2010.
  2. 대한공수도연맹, 공수도지도자교육자료, 부산, 대한공수도연맹, 2005.
  3. 조쟁규, "경호무도로서의 검도 수련의 가치 연구",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7권, 2호, 25-40, 1999.
  4. 양진방, 김현호, "경호무도로서 태권도 가치와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소지, 15권, 1호, 1-22, 2004.
  5. 한성철, 박준석, 이봉재, "경호무도의 원리적용과 학문적 고찰",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소지, 17권 1호, 39-52, 2006.
  6. 이상철, 김태민, "행사장경호 운용시스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11권, 203-226, 2003.
  7. 김경지, "태권도경기의 과학화 방안에 관한 연구", 체육과학논총, 6권, 139-149, 1993.
  8. 김주훈, 김길평, "태권도와 공수도의 역사성 비교",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9권, 1호, 51-61, 2003.
  9. 대한공수도연맹, 공수도지도자교육자료, 부산, 대한공수도연맹, 2008.
  10. 류호평, "한국 태권도 심사제도 변천의 역사적 고찰",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전북,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1.
  11. 안용규, "태권도사관 정립을 위한 제언", 태권도 사관 정립과 태권도 정신도를 위한 세미나, 대한태권도협회 연구개발위원회, 1997.
  12. 임관인, "태권도 품새와 태극권투로의 비교 연구 ",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0.
  13. 전인배, "공수도의 유래와 명칭 변경",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6.
  14. 최영의, "실전 공수도교법", 서울, 서림문화사, 1993.
  15. 全日本空手道聯盟, "空手道形敎本", 東京, 株式會社べ一スボ一ル․マガジソ社, 1981.
  16. 中山正敏, "空手道 實践", 東京:株式會社永岡書店, 1995.
  17. 이경명, "태권도", 서울, 대원사, 1997.
  18. 김정행, 최종삼, 김창우, "무도론", 서울, 교학연구사, 2002.
  19. 이상철, 김태환, 박준석, "경호무도", 서울, 도서출판 홍경, 2004.
  20. 문교부, "태권도 체육교육자료총서", 1976.
  21. 경찰대학, "무도교본", 허울, 대한문화사, 1997.
  22. 오정주, "경찰체포 호신술 교본", 서울, 도서출판 인동, 1999.
  23. 위준혁, "경호기법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 동국대학교 대학원, 1968.
  24. 진준욱, "경호무도로서 유도의 활용가치와 활용 방안",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0.
  25. 박준석, "경호기법에 입각한 경호무도 지도방법에 대한 고찰",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소지, 8권, 1호, 13-25, 2003.
  26. 이상철, "경호기법에 입각한 경호무도 지도 방법에 대한 고찰",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소지, 8권, 1권, 1997.
  27. 박준석, 김정만, 경호무도의 접근방법에 관한 고찰",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소지, 12권, 1호, 2001.
  28. 이상철, "경호심리학", 서울, 홍경출판사, 2003.
  29. 황영성, 정일홍, 권오륜, "공수도의 내재적 가치",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 17권, 2호, 1-10, 2009.
  30.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