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문지현(2001). 미용실에서 작업과 관련된 사고와 질환의 실태 파악.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보건복지부(2009). http://www.mw.go.kr/
- 고용노동부, 산업안전공단, 2011, 미용업의 산업재해 예방가이드.
- 김명우, 김성남(2009). 미용실 작업환경 종사자의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5(2). pp667-677.
- 조진아(2007). 미용사의 작업안전의식 및 화학물질 위해인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3(3). pp. 1028-1039.
- 유숙희(2011). 네일살롱의 안전․위생 인식 실태 및 네일 도구의 오염 미생물 분석. 서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양진희, 조진아(2008). 네일관리 분야의 유해 화학 물질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고찰. 한국미용학회지. 14(2)호. pp.535-543.
- 임인숙, 방희봉(2005). 미용 관련 학과 변화 조사. 한국인체예술학회지. 6(4). pp.183-198.
- 대한민국 네일 단체 협의회(2011). 네일미용사 면허제도 신설을 위한 제3차 공청회 네일미용을 위한 실천적 방안. pp54-55.
-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2010). 사이버 대학교 미용학과 재학생의 교과 과정 만족도와 교육 특성화방안
- 김미정(2009). 미용서비스산업에서 지각된 대기시 간이 서비스 평가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최외숙(2011). 피부미용사의 스트레스, 근무환경이 직업만족도와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영숙(2010). 미용서비스업 종사자의 직무분야별 정기건강검진 인식과 직무만족도. 한남대학교 사 회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미자(2006). 네일아트 종사자들의 근골격계 질환에 관한 연구. 남부대학교 산업정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영경, 김재경(2000). "Total Fashion의 요소로서 네일관리에 관한 연구", 부산여자대학교 논문집
- 우수진(2005). 여대생들의 메이크업과 네일 아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산업재해보상보험법제5조제1호. http://www.law.go.kr/
- 강동묵, 이종태, 강민숙, 박성희 엄상화, 김성준, 정귀원, 손혜숙, 박봉진(1999). 미용업 종사자들의 피부, 호흡기 및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관한 유병률. 대한산업의학회지.11(.2). pp.385.
- 송미라(2003). 광주광역시 소재 일부 미용실의 공기 오염도와 개인노출. 광주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고희정(2001). 일부 미용업 종사자의 유해물질 노출 및 피부증상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심정희(2008), Nail shop의 실내 환경 및 건강자각 증상 조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윤미혜, 엄미나, 도영숙, 김재관, 손종성, 김기철, 임준래(2002), 매니큐어 중 Di-n-butyl Phthalate 사용실태 조사연구. 대한위생학회지. 17(2). pp.34-38.
- Gjlstad M, Thorud S, Molander P(2006). Occupational Exposure To Air borne Solvents During Nail Sculpturing. National Institute Of Occupational Health. 5.
- GL, Rapport LJ, Axelrod BN, Whitman RD (2002). Neurocognitive septulate of exposure to organic solvents and (meth)acrylates among nail-studio technicians. Wayne State University, Detroit, Michigan 48202, USA. Neuropsychiatry Neuropsychol Behave Neural.15(1). pp.44-55.
- Starr JC, Yunginger J, Brahser GW(1982). Immediate type 1 asthmatic response to henna following occupational exposure in hairdressers. Annals of Allergy. 48. pp. 98-99.
- Jocelyne Forest a, Mylrne Trottier a, Michele Lalonde c, Robert Simard a(2003). Characterization of Chemical Exposures in Hairdressing Salons. Applied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18(12). pp.1014-1027. https://doi.org/10.1080/10473220390244667
- Stock L, Cone J(1998). Barbering and Cosmetology in Encyclopaedia of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100. pp.5-9.
- Babish, J.G., Scarlett, J.M., Voekler, S.E.,G utermann, W.H.,Lisk, D.J.,(1991). Urinary mutagens in cosmetologists and dental personnel. J., Toxicol. Environ. Health. 34. pp. 197-206. https://doi.org/10.1080/15287399109531559
- 조영민, 강상완, 오종민(2001). 작업장에서의 유해 유기용제 폭로에 관한 연구, 환경영양평가. 9(1). pp. 75-86.
- 양진희(2009). 네일 종사자들의 유해화학물질 노출 실태 및 생물학적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서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조진아(2005). 염색제중 일부 유해화학물질의 성분 분석과 유해물질 표시제도 및 안전의식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