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후성 추공 협착증의 진단에서 Principles of the Selective Excitation Technique 영상기법을 이용한 삼차원 자기공명 요추천골 신경근조영술의 유용성

Three-Dimension Magnetic Resonance Lumbosacral Radiculography by Principles of the Selective Excitation Technique Imaging in the Diagnosis of Symptomatic Foraminal Stenosis

  • 임지경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학교실) ;
  • 변우목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학교실)
  • Lim, Ji-Kyung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Byun, Woo-Mok (Department of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투고 : 2012.02.16
  • 심사 : 2012.04.14
  • 발행 : 2012.06.01

초록

목적: 증후성 추공 협착증 진단에서 principles of the selective excitation technique (이하 Proset) 영상기법을 이용한 삼차원 자기공명 요추천골 신경근조영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고식적 자기공명영상에서 추공 협착증이 있는 4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양측 L3-4부터 L5-S1까지 총 288개의 추공을 조사하였다. 고식적 자기공명영상을 통하여 추공 협착증의 여부를 조사하고, Proset 영상기법을 이용한 삼차원 자기공명 신경근조영술을 이용하여 해당 신경근의 세 가지 형태학적 변화(부종, 압흔 그리고 비정상적인 경사각도)를 평가하였다. 신경근의 형태학적 변화와 임상증상을 비교하였다. 결과: 48명의 환자에서 총 63개의 추공에서 추공 협착증이 발견되었고 이 중 49개는 증후성, 14개는 비증후성 추공 협착증으로 진단되었다. 증후성 추공 협착증에서 신경근의 부종, 압흔, 비정상적인 경사각도는 각각 36예, 18예 그리고 10예에서 관찰되었으며, 46개의 추공에서 3가지 형태학적 변화 중 1가지 이상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비증후성 추공 협착증 중 12개의 추공에서는 신경근의 어떠한 형태학적 변화도 보이지 않았다. 증후성 추공 협착증에서 세 가지 형태학적 변화들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x^2$ test, p < 0.001). 결론: Proset 영상기법을 이용한 삼차원 자기공명 요추천골 신경근조영술은 신경근의 형태학적 변화를 볼 때 도움을 주고, 증후성 추공 협착증의 진단에 매우 유용한 기법이다.

Purpose: To investigate significance of three-dimension (3D) magnetic resonance (MR) lumbosacral radiculography by principles of the selective excitation technique (Proset) in the diagnosis of symptomatic foraminal stenosi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88 foramina in 48 patients were analyzed (from L3-4 to L5-S1). Conventional spin echo sequence and 3D coronal fast-field echo sequences with selective water excitation by Proset were acquired. Through conventional MR imaging, the presence of lumbar foraminal stenosis was evaluated. Three morphologic changes (swelling, indentation, and tilting angle abnormality) of corresponding nerve roots were assessed on 3D MR lumbosacral radiculography. Relationships between the three morphologic findings and corresponding symptoms were evaluated. Results: In 288 foramina, symptomatic and asymptomatic foraminal stenoses were found in 49 and 14 foramina, respectively. In symptomatic foraminal stenosis, swelling, indentation and tilting angle abnormality of the nerve root were found in 36, 18, and 10 foramina, respectively. One or more of the three findings was found in 46 foramina. In 12 foramina with asymptomatic foraminal stenosis, no morphologic changes were fou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morphologic changes of nerve root in symptomatic foraminal stenosis was found ($x^2$ test, p < 0.001). Conclusion: 3D MR lumbosacral radiculography by Proset was useful for the detection of morphologic changes of the nerve root for the diagnosis of symptomatic foraminal stenosi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