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ersible Restricted Diffusion in the Corpus Callosum in Various Pediatric Diseases

소아 질환에서 나타나는 뇌량의 가역적 확산강조영상 소견

  • Kim, Won-Kyung (Department of Radiology, Soonchunhyang University Bucheon Hospital,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ong, Hyun-Sook (Department of Radiology, Soonchunhyang University Bucheon Hospital,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A-Leum (Department of Radiology, Soonchunhyang University Bucheon Hospital,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a, Jang-Gyu (Department of Radiology, Soonchunhyang University Bucheon Hospital,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Hae-Kyung (Department of Radiology, Soonchunhyang University Bucheon Hospital,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Bae, Won-Kyung (Department of Radiology, Soonchunhyang University Cheonan Hospital, Soonchunh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김원경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부천병원 영상의학과학교실) ;
  • 홍현숙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부천병원 영상의학과학교실) ;
  • 이아름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부천병원 영상의학과학교실) ;
  • 차장규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부천병원 영상의학과학교실) ;
  • 이혜경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부천병원 영상의학과학교실) ;
  • 배원경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천안병원 영상의학과학교실)
  • Received : 2011.12.23
  • Accepted : 2012.02.06
  • Published : 2012.04.01

Abstract

Purpose: To evaluate the reversible restricted diffusion in the corpus callosum in pediatric patients with clinical findings, and to discuss the possible pathogenesis of these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2007 and 2011, seven children with reversible signal abnormalities in the corpus callosum were identified and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Diseases and conditions associated with lesions included: trauma (n = 3), neonatal seizure (n = 1), clinically suspected mild encephalopathy (n = 1), multiple sclerosis (n = 1), and seizure with subdural hygroma (n = 1). The callosal lesions were located in the splenium and the genu (n = 2), the splenium and the body (n = 1), and the splenium only (n = 4). The shape of the lesions was round-to-ovoid (n = 4) or linear (n = 3). Follow-up MRI scans showed completely resolved (n = 6) or persistent (n = 1) signal abnormalities on diffusion-weighted imaging as well as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mapping. Clinical outcomes were good in six of the patents but poor in the seventh. Conclusion: Reversible restricted diffusion in the corpus callosum can develop in various diseases. Knowledge of the MRI findings and associated diseases might be helpful in predicting patients' conditions and clinical outcomes.

목적: 소아 환자에서 뇌량에 나타나는 가역적 확산강조영상 소견과 임상 양상을 평가하고 가능한 발병 기전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7년부터 2011년까지 뇌량의 가역적 신호강도 변화를 보인 총 7명의 소아 환자들(남아 5명, 여아 2명; 연령 범위 0~19세; 평균 연령 8.6세)을 대상으로 하였고, MRI 소견, 임상 양상, 예후를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뇌량의 신호강도 변화와 관련된 질병이나 상태는 외상(n = 3), 신생아 경련(n = 1), 임상적으로 의심되는 뇌병증(n = 1), 다발성경화증(n = 1), 그리고 경련과 동반된 뇌경막하수종(n = 1)이었다. 뇌량의 신호강도 변화 위치는 spleni-um과 genu (n = 2), splenium과 body (n = 1), 그리고 splenium 단독(n = 4)이었으며 모양은 4명의 환자에서 원형 혹은 타원형으로, 나머지 3명의 환자에서 선형으로 보였다. 추적 MRI에서 6명은 뇌량의 확산강조영상과 확산계수지도에서의 신호강도 변화가 소실되었으나 1명은 지속적으로 관찰되었다. 가역적 신호강도 변화를 보인 6명에서는 좋은 예후를 보였으나 지속적으로 신호강도 변화가 관찰된 1명은 나쁜 예후를 보였다. 결론: 뇌량의 가역적 확산강조영상 소견은 여러 질병에서 보일 수 있으며 MRI 소견과 이에 연관된 질병들을 아는 것이 환자의 상태와 예후를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