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낭절제술로 제거한 담낭암의 영상 소견 및 영상 병기 평가

The Morphologic Features and Accuracy of Preoperative T-Staging in Resected Gallbladder Cancers

  • 조성은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인하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학교실) ;
  • 김미영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인하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학교실) ;
  • 김종범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인하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학교실) ;
  • 김윤정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인하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학교실) ;
  • 강영혜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인하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학교실) ;
  • 이건영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인하대학교병원 외과학교실) ;
  • 최석진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인하대학교병원 병리과학교실) ;
  • 서창해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인하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학교실)
  • Jo, Sung-Ehn (Department of Radiology, Inha University Hospital, Inh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Mi-Young (Department of Radiology, Inha University Hospital, Inh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Jong-Bum (Department of Radiology, Inha University Hospital, Inh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Youn-Jeong (Department of Radiology, Inha University Hospital, Inh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ang, Young-Hye (Department of Radiology, Inha University Hospital, Inh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ee, Kun-Yong (Department of General Surgery, Inha University Hospital, Inh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Choi, Suk-Jin (Department of Pathology, Inha University Hospital, Inh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Suh, Chang-Hae (Department of Radiology, Inha University Hospital, Inh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투고 : 2011.12.19
  • 심사 : 2012.02.17
  • 발행 : 2012.04.01

초록

목적: 담낭암들의 수술 전 영상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담낭암의 형태와 수술 전 영상 병기 결정의 정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3년 3월부터 2011년 2월까지 대학병원에서 담낭절제술을 받은 총 3020명의 환자 중 병리조직학적으로 담낭암 진단을 받은 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담낭암의 형태, 크기, 담낭결석 동반여부, TNM 병기분류법에 따른 병기결정을 분석하였으며, 수술 후 병리조직 소견과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 59예 중 폴립성종양형이 49예(83%)를 차지하였으며 병변의 크기가 클수록 수술 후 병기가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ROC curve를 분석한 결과 폴립성종양형 병변의 경우 T1과 T2 이상 병기를 구분하는 적절한 기준 크기(cut-off point)는 2.4 cm였다. 전체 59예 중 25예(42%)에서 담석 또는 담즙 찌꺼기가 동반되었다. 영상진단에서의 T1 병기 판정의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 민감도, 특이도, 정확도는 75%, 86%, 46%, 96%, 85%였으며, T2 이하와 T3 이상의 병기 판정에 대해서는 89%, 48%, 45%, 90%, 61%였다. 결론: 담낭암의 주요 소견은 폴립성종양, 벽비후 소견이였으며 폴립성종양형인 경우 선종에서 생긴 담낭암의 가능성이 있어 크기가 커도 병기는 낮을 가능성이 높다. 벽비후 소견과 담낭주위 침윤여부에 대한 영상 병기 진단 정확성은 아직 미흡하다.

Purpose: To assess the morphological features and the accuracy of T staging images in surgically- proven gallbladder cancers, retrospectively. Materials and Methods: Images of 59 surgically-proven gallbladder cancers were reviewed. Morphologic features, shape, size of tumors and the presence of stones or sludge within the images were evaluated and correlated with surgicopathologic findings. Results: Polypoid masses were shown in 49 cases (83%). The sizes of tumors were well correlated with surgicopathologic T-stage. With ROC evaluation, the size cutoff point to differentiate the ${\leq}$ T1 versus ${\geq}$ T2 lesions was 2.4 cm. Stones or sludge were found in 25 cases (42%).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negative predictive value, sensitivities, specificities, and accuracy of the ability to differentiate the ${\leq}$ T1 versus ${\geq}$ T2 lesions were 75%, 86%, 46%, 96%, 85% and those of the ability to differentiate ${\leq}$ T2 versus {\geq}$ T3 lesions were 89%, 49%, 45%, 90%, and 61%, respectively. Conclusion: Image analysis showed that polypoid mass and wall thickening were major findings. With this in mind, polypoid mass shows the possibility of gallbladder cancer originating from adenoma, even if the size is larger than 2 or 2.4 cm, the surgicopathologic stage could be low. Moreover, the accuracy of image based T stage on pericholecystic infiltration and wall thickening was low.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