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sitivity Factors of Kitsch Expression in Food and Beverage Space - Focused on The Correlations with Characteristics of Kitsch and Design Methods -

F&B공간에 나타난 키치적 표현의 감성 요소에 관한 연구 - 키치의 특성 및 디자인 기법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 원다희 (건국대학교 디자인조형대학 실내디자인학과) ;
  • 류호창 (건국대학교 디자인조형대학 실내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2.08.31
  • Accepted : 2012.10.12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Contemporary design of food and beverage(F&B) space reflects various needs, not only of eating, but also environmental ones. As a way of meeting this conceptual change and the various needs of contemporary consumers, kitsch expression is often utilized actively. Thus,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design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kitsch expression found in contemporary F&B space and their correlations with sensitivity factors, focusing on relevant cases. Specifically, it examined the definition, origin, and changes of kitsch, and identified the sensitive role of kitsch in interior space. Next, it classified the kitsch characteristics and design methods found in interior design, finall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kitsch expressions in contemporary F&B space by sensitivity factors and their correlations with design methods. As a consequence, it was found that the attempts in contemporary F&B space design to differentiate space through active introduction of various kitsch expressions were fulfilling the sensitive needs of changing consumers by providing new cultural experiences. That is, such attempts are considered to have improved the satisfaction of consumers who value sensitivity, by means of wide exchange of sensitivity between designers and consumers. To raise the sensitive satisfaction of consumers more in future, it is necessary to further continuous and in-depth research on the correlation between kitsch expressions and sensitivity factors in interior design.

Keywords

References

  1. 권영길, 공간디자인 16강, 도서출판 국제, 2001
  2. 곽대영, 디자인에 나타난 키치의 속성에 대한 연구, 동의대학교 동의 논집, 1999
  3. 김용석, 깊이와 넓이 4막 16장, 휴머니스트, 2002
  4. 박민석, 현대 식음공간 실내디자인의 초현실주의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논, 2007
  5. 박성봉, 대중예술의 미학: 대중예술의 통속성에 대한 미학적 접근, 서울:동연, 1996
  6. 박선희, 도시 정체성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서울가이드라인의 구성과 특징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논, 2009
  7. 박영애, 현대 실내공간의 혼성적 표현에서 나타나는 감성적 특성 연구, 국민대학교 석논, 2007
  8. 손나리, 데페이즈망의 오브제적 표현특성 및 감성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석논, 2011
  9. 신인범, 광고에 나타난 키치(Kitsch)적 표현의 의미작용에 관한 연구: 패션광고잡지를 중심으로, 동서대학교 석논, 2006
  10. 아브라함 몰르. 엄광현 역, 키치란 무엇인가?, 시각언어, 1996
  11. 아놀드 하우저,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백낙청 역, 창작과 비평사, 1999
  12. 안주희, 현대 식음공간에 나타난 오브제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논, 2008
  13. 원융희.장재규.이보현, 레스토랑 창업 바이블, 신광출판사, 2001
  14. 이리라, 효과적인 키치광고를 위한 색채 배색 연구, 홍익대학교교 석논, 2003
  15. 유명지, 포스트모던 미술에 드러나는 패션의 키치적 특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논, 2004
  16. 이구형, 인간감성의 특성과 감성적 공학기술, 한국정밀공학회지, 2001
  17. 이영욱, 키치/진실/우리문화, 시각과 언어, 1994
  18. 이영일, 키치로 현대미술 횡단하기, 경성대학교 출판부, 2011
  19. 이한석, 이성 그 너머의 감성공간디자인, 기문당, 2009
  20. 전미화, 실내디자인에서 표현된 키치 유형연구, 국민대학교 석론, 2001
  21. 조중걸, 키치, 우리들의 행복한 세계, 프로네시스, 2007
  22. 채경아, 식공간을 위한 감성적 공간연출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석논, 2009
  23. 클레멘트 그린버그, 아방가르드와 키치: 현대미술비평 30선, 임정숙 역, 중앙일보, 1987
  24. 피터왓슨, 생각의 역사 1, 들녘, 2009
  25. http://www.dezeen.com
  26. http://www.contemporist.com
  27. http://www.starck.com/en
  28. http://noahkalina.com/interi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