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eat Budget Analysis of Light Thin Layer Green Roof Planted with Zoysia japonica

한국잔디식재 경량박층형 옥상녹화의 열수지 해석

  • Kim, Se-Chang (Dept. of Horticulture, Graduate School,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Hyun-Jeong (Dept. of Housing & Interior Desig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Park, Bong-Ju (Dept. of Horticultural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김세창 (충북대학교 대학원 원예학과) ;
  • 이현정 (충북대학교 주거환경학과) ;
  • 박봉주 (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Received : 2012.10.24
  • Accepted : 2012.12.20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rmal environment and heat budget of light thin layer green roof through an experiment in order to quantify its heat budget. Two concrete model boxes($1.2m(W){\times}1.2m(D){\times}1.0m(H)$) were constructed: One experiment box with Zoysia japonica planted on substrate depth of 10cm and one control box without any plant. Between June 6th and 7th, 2012, outside climatic conditions(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wind direction, wind speed), evapotranspiration, surface and ceiling temperature, heat flux, and heat budget of the boxes were measured. Daily maximum temperature of those two days was $29.4^{\circ}C$ and $30^{\circ}C$, and daily evapotranspiration was $2,686.1g/m^2$ and $3,312.8g/m^2$,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evapotranspiration increased as the quantity of solar radiation increased. A surface and ceiling temperature of those two boxes was compared when outside air temperature was the greatest. and control box showed a greater temperature in both cases. Thus it was found that green roof was effective in reducing temperature. As results of heat budget analysis, heat budget of a green roof showed a greater proportion of net radiation and latent heat while heat budget of the control box showed a greater proportion of sensible heat and conduction hea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eat budget of green roof temperature reduction. As substrate depth and types, species and seasonal changes may have influences on temperature reduction of green roof, further study is necessary.

본 연구는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의 열수지를 정량화하기 위하여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하여 가로 $1.2m{\times}$세로 $1.2m{\times}$높이 1m의 모의실험구 2개를 제작하여 하나는 한국잔디를 식재한 토심 10cm의 옥상녹화 실험구로 하였으며, 옥상녹화를 실시하지 않은 나머지 하나는 대조구로 하였다. 2012년 6월 6일~7일에 기온, 상대습도, 풍향, 풍속 등 외부 기상환경, 증발산량, 옥상녹화와 대조구인 콘크리트의 표면과 천장면의 온도, 열류량, 열수지를 측정하였다. 6일과 7일의 일최고기온은 각각 $29.4^{\circ}C$$30^{\circ}C$로 초여름 날씨로는 매우 무더웠다. 6일과 7일의 일증발산량은 각각 $2,686.1g/m^2$$3,312.8g/m^2$이었으며, 일사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발산량도 증가하였다. 외부 기온이 가장 높은 시간일 때의 옥상녹화 표면과 대조구 표면의 온도차이를 비교해 보면 대조구 표면이 $5.5^{\circ}C$(6일)와 $2.2^{\circ}C$(7일)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옥상녹화 천장과 대조구 천장의 온도차이를 비교해 보면 $13.1^{\circ}C$(6일)와 $14.2^{\circ}C$(7일)로 나타나 옥상녹화에 의한 실내온도저감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옥상녹화와 대조구인 콘크리트 표면의 열수지를 분석한 결과, 옥상녹화는 순복사량과 잠열량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대조구는 현열량과 전도열량의 비율이 높았다. 즉, 옥상녹화는 한국잔디와 식재토양에 의한 증발산으로 열을 식혀주는 잠열의 비율이 높은 반면에 대조구인 콘크리트 표면은 식물이 식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열을 식혀주는 잠열은 $0W/m^2$인 반면에 주위 온도를 증가시키는 현열량과 건물내로 전달되는 전도열량의 비율이 높아 표면과 천장면의 온도를 상승시켰다. 본 연구는 옥상녹화의 온도저감과 열수지 해석을 시도했다는 점에서는 매우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지만, 옥상녹화는 토심과 토양배합비, 식물종, 계절 등 여러 변수에 따라 온도저감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태호, 조홍하, 이홍, 강성훈(2012) 식생모듈박스를 이용한 저토심 무관 리형 옥상녹화: 토양 배합비가 식물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9(3): 91-98.
  2. 국토해양부(2011) 건축물녹화 기본계획 수립 매뉴얼.
  3. 김원태, 박봉주, 윤용한(2008) 건축물의 옥상녹화 시공 및 지원제도에 관한 한일간 비교연구.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1(2): 1-7.
  4. 김정호, 윤용한(2011) 옥상녹화시스템 유형별 건물에너지 절감 및 경제성 분석. 서울도시연구 12(2): 125-140.
  5. 김해동(2010) 우라나라 도시의 열섬현상 실태와 발생원인. 도시문제 45(500): 17-21.
  6. 노컷뉴스(2012) 104년만의 최악 이상고온․가뭄 언제까지?.
  7. 명수정(2010) 도시열섬현상의 일반적인 특징과 원인. 도시문제 45(500): 12-16.
  8. 박세영, 송태갑, 김은일(2012) 옥상녹화 재료에 따른 실내온도 저감효과에 관한 연구. 휴양 및 경관계획연구소 논문집 6(1): 13-20.
  9. 박은진, 강규이, 남미아(2010) 도시열섬 완화를 위한 옥상녹화 활성화 방안. 경기개발연구원 보고서.
  10. 박은진, 남미아, 강규이(2012) 경기도의 옥상녹화 가용면적 추정과 이의 정책적 함의.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5(1): 107-117.
  11. 박찬필, 古川修文(2004) 옥상녹화에 따른 콘크리트 건축물의 열환경 개선효과-일사차폐블록과 잔디를 대상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7(1):1-9.
  12. 이동근, 윤소원, 오승환, 장성완(2005) 옥상녹화조성에 따른 온도저감효과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실험구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 학회지 8(6):34-44.
  13. 이두호, 이응직(2012) 옥상녹화 평지붕의 표면온도 저감효과에 대한 고찰.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12(3): 83-88.
  14. 이은희, 조은진, 박민영, 김동욱, 장성완(2007) 초화류를 중심으로한 관리조방적 옥상녹화용 식물 소재 선정.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0(2): 84-96.
  15. 이춘우, 김수봉, 문혜식(2011) 옥상녹화의 녹화유형별 기온저감효과.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2(3):25-33. https://doi.org/10.6107/JKHA.2011.22.3.025
  16. 정임수, 최동호, 이부용(2010) 하절기 잔디면의 복사수지 관측. 한국태양에너지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0(1): 176-181.
  17. 제정원, 김용태, 이경희(2010) 옥상층의 구성 재료에 따른 열환경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논문집 4(1):35-40.
  18. 주진희, 윤용한(2010) 옥상녹화에서 토심, 토양배합비 및 지피식물에 따른 식재지반 수분 및 온도변화.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10(3): 11-16.
  19. 최동호, 이부용(2010) 하절기 실험을 통한 건물녹화용 피복재료의 복사 수지 해석. 한국태양에너지학회논문집 30(3):71-80.
  20. 최진우, 김학기, 이경재, 강현경(2009) 저토심 인공지반 녹화공법의 경제성 및 도입 가능한 지피식물의 생육특성. 한국조경학회지 37(5): 98-108.
  21. 허인혜, 권원태(2007) 우리나라의 최근 10년간 기온 변화. 기후연구 2(2): 79-93.
  22. 那須香織. 飯島健太郎, 近藤三雄(2003) セダムによる屋上緑化はヒート アイランド現象の緩和策となりうるか. 日本造園學會關東支部大會事例․究報告集(20): 71-72.
  23. 大岡龍三(2005) 建物壁面緑化, 屋上緑化の屋外温熱環境緩和効果につい て. 日本流体力學會誌 24: 497-503.
  24. 大野朋子, 山本聡, 前中久行(2006) メキシコマンネングサおよび芝生薄 層緑化からの蒸発散量. ランドスケープ研究 69: 431-436.
  25. 鈴木弘孝, 三坂育正(2008) 季節の違いによる壁面緑化の溫熱環境改善効果. 日本緑化工學會誌 33(4): 587-595.
  26. 山口隆子, 横山仁, 石井康一郎(2004) 輕量薄層型屋上緑化システムにお けるヒートアイランド緩和効果. ランドズケープ研究 68(5): 509-512.
  27. 辻盛生, 平塚明, 佐野嘉彦, 鈴木周(2008) アゼスゲの屋上緑化への応用 と溫度上昇抑制効果の評価. 日本緑化工學會誌 34(2): 375-383.
  28. 王革, 梅干野晁, 何江, 堀口剛(1993) 屋上芝生植栽の熱的特性に關す る實驗硏究:その9 水収支特性に關するデータ解析. 日本建築學會學術講演梗概集: 1527-1528.
  29. 横山 仁, 三坂育正, 三輪 隆, 石渡健太郎, 佐々木啓行, 青木正敏, 康一郎 (2007) 貯水型屋上緑化システムのヒートアイランド緩和効果に關する硏究. 東京都環境科學硏究所年報 2007: 12-16.
  30. Chen, Y., C. M. Teo, N. H. Wong and P. Y. Tan(2004) Preliminary study of leaf area index and thermal protection of vegetation in the tropical climate. The 21th Conference on Passive and Low Energy Architecture. Eindhoven, The Netherlands. pp.211-216.
  31. Clark C., B. Brian, and A. Peter(2010) Quantifying thermal impacts of green infrastructure: Review and gaps. Cities of the Future/Urban River Restoration 2010. pp.69-79.
  32. Dvorak, B. and A. Volder(2012) Rooftop temperature reduction from unirrigated modular green roofs in south-central Texas. Urban Forestry and Urban Greening(in press).
  33. Fang, C. F(2008) Evaluating the thermal reduction effect of plant layers on rooftops. Energy and Buildings 40: 1048-1052. https://doi.org/10.1016/j.enbuild.2007.06.007
  34. Gaffin, S. R., C. Rosenzweig, J. Eichenbaum-Pikser, R. Khanbilvardi and T. Susca(2010) A temperature and seasonal energy analysis of green, white, and black roofs. Columbia University, Center for Climate Systems Research. New York. 19pages.
  35. Liang, H. H. and K. T. Huang(2011) Study on rooftop outdoor thermal environment and slab insulation performance of grass planted roof.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Physical Sciences 6(1): 65-73.
  36. Sailor, D. J., T. B. Elley and M. Gibson(2012) Exploring the building energy impacts of green roof design decisions-a modeling study of buildings in four distinct climates. Journal of Building Physics 35: 372-391. https://doi.org/10.1177/1744259111420076
  37. Sendo, T., M. Kanechi, Y. Uno and N. Inagaki(2010) Evaluation of growth and green coverage of ten ornamental species for planting as urban rooftop greening. Journal of the Japanese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79(1): 69-76. https://doi.org/10.2503/jjshs1.79.69
  38. Takebayashi, H. and M. Moriyama(2007) Surface heat budget on green roof and high reflection roof for mitigation of urban heat island. Building and Environment 42: 2971-2979. https://doi.org/10.1016/j.buildenv.2006.06.017

Cited by

  1. Performance Evaluation and Field Application of Red Clay Green Roof Vegetation Blocks for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s vol.9, pp.3, 2017, https://doi.org/10.3390/su9030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