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아파트단지 조경수 적정식재밀도 연구

A Study on Optimum Tree Planting Density for Apartment Complex

  • 오충현 (동국대학교 바이오환경과학과) ;
  • 정욱주 (서울대학교 조경학과) ;
  • 이임규 (삼성물산 건설부문) ;
  • 김민경 (삼성물산 건설부문) ;
  • 박은하 (동국대학교 대학원 바이오환경과학과)
  • Oh, Choong-Hyeon (Dept. of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Science, Dongguk University) ;
  • Jeong, Wook-Ju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Im-Kyu (Engineering & Construction Group, Samsung C&T Corporation) ;
  • Kim, Min-Kyung (Engineering & Construction Group, Samsung C&T Corporation) ;
  • Park, Eun-Ha (Dept. of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Science, Graduate School of Dongguk University)
  • 투고 : 2012.07.11
  • 심사 : 2012.11.19
  • 발행 : 2012.12.31

초록

본 연구는 입주 초기 아파트 외부조경의 효과를 높이고, 입주자들에게 조경수목 식재가 주는 효용을 부각시키면서 적정한 식재밀도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식재밀도의 적정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법적 조경기준의 식재밀도 적정성을 검토하고, 장기적인 생육을 고려하기 위해 조림지를 대상으로 산정한 도시림의 입목밀도를 적정 식재밀도로 가정하여 이를 현장조사 결과와 비교하였다. 현장조사는 최근 10년 이내에 준공된 수도권에 위치한 아파트 단지 3개소를 대상으로 각 단지별로 10개소씩 검토대상지를 선정하여 단위면적당 수목 밀도를 산정하였다. 이를 표준규격의 경우와 대경목 식재에 따라 가중치를 인정한 경우로 구분하여 현행 조경기준과 도시림 적정 입목밀도 기준을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하층식생의 적절한 생육 및 적절한 그늘 제공 등을 검토하기 위해 수관투영면적 비율 산정을 병행하였다. 그 결과 현행 조경기준의 최소식재기준은 매우 합리적으로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대경목을 식재하여 식재밀도의 가중치를 인정받는 경우에는 조경기준의 식재밀도가 도시림의 적정 입목밀도에 비해 부족하고 수관투영면적 비율 역시 50% 미만으로 부족한 것으로 산정되어 추가 식재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파트 단지 3개소에 대한 검토 결과 모두 법적 조경기준을 충족하거나 초과하고 있었다. 조경기준에 따라 상록교목 대경목의 가중치를 인정한 경우 경관을 고려하여 추가식재가 이루어짐에 따라 식재밀도가 과밀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보다 광범위한 조사를 거쳐 대경목 식재에 따른 가중치 인정 항목의 삭제 또는 인정의 최소화, 식재 당시 수관투영면적 비율을 50% 이상 100% 이하로 설정하는 등과 같은 조경기준 개정작업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optimum planting density for apartment complex. The validity of Landscape Architecture Criteria of Korea was checked for it. We compared our field data with Landscape Architecture Criteria. In this step, the tree density of urban forest was regarded as standard. Field study was examined in 3 apartment complexes located in capital area, especially completed during these 10 years. 10 sites in each complex were selected and tree density per unit area were calculated. This field study data was divided standard size and large size which received weight. And, it was compared and analyzed. And crown projected area(CPA) was calculated considering proper growth of low vegetation and sufficient shade. The outcome shows that minimum size of Landscape Architecture Criteria is rational. But, in the case of planting large size tree received weight, tree density was short comparing with the tree density of urban forest and CPA was less than 50%. By the result of field study in 3 apartment complex, the tree density of apartment complex satisfied or exceeded Landscape Architecture Criteria. But, in the case of planting large size tree, tree density and CPA show high density due to addition planting for deficient landscape. Therefore, the revision of the Landscape Architecture Criteria was required such as deletion or minimization of the weighted clause about the large size tree and regulate the limit CPA not less than 50% and not more than 100%.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905호 조경기준.
  2. 대한주택공사(1998) 공동주택단지 식재밀도 개선에 관한 연구. pp.31-67,
  3. 신규환(1992) 아파트단지의 조경수목 선정 기준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이옥하, 이경재(1999) 조경수목의 생육환경을 고려한적정 식재간격의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1): 34-48.
  5. http://www.klta.or.kr
  6. http://www.law.go.kr

피인용 문헌

  1. A Study on the Planting Improvement and Original Landscape of Gyeonghoeru Area in Gyongbokkung Palace vol.46, pp.6, 2018, https://doi.org/10.9715/KILA.2018.46.6.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