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옥상조경 시설의 유형별 효용 인지도와 이용 만족도 간의 인과관계 분석 - 서울시의 백화점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Casual Relationships between Benefit Awareness and Satisfaction with Various Types of Green Roofs - A Focus on the Case of Department Stores in Seoul, Korea -

  • Kim, Eun-J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Jung, Tae-Yeo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Yong-So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2.09.10
  • 심사 : 2012.11.26
  • 발행 : 2012.12.31

초록

최근 옥상조경은 휴식 등의 이용을 목적으로 조성되는 경향이 있으며, 공간 활용도 다양해지고 있다. 하지만, 휴식을 주목적으로 조성한 옥상조경은 이용이 저조하면 유지관리가 소홀하게 되어 조성비용의 낭비를 초래할 수가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용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옥상조경의 이용 만족도가 높으면 이용이 활성화될 것이라는 전제하에, 옥상조경의 다양한 효용을 인지하는 것이 이용을 만족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옥상조경의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에 먼저 옥상조경의 효용 인지도와 이용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한 변수와 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또한, 옥상조경의 시설현황에 따라 이용자의 효용 인지도와 이용 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고, 서울시에 위치한 3대 브랜드 백화점 11개소의 옥상조경 시설현황을 조사하여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각 유형을 대표할 수 있는 5개소 백화점을 직접 방문하여 옥상조경의 이용자 및 이용경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옥상조경의 유형별 효용 인지도와 이용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이들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으며, 향후 대상지를 폭넓게 선정하여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좀 더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기대한다.

Green roofs are being created in various purposes to use spaces. Most of them have been built with a goal as a resting place. However, the use of the green roofs needs to be raised. Otherwise, maintenance and administration of green roofs can be loosened. In addition, budget or cost involved can be wasteful. Therefore, this study makes a proposition if the satisfaction of green roofs is higher, the use of green roofs could be increased more. We are willing to analyze how beneficial the awareness can affect for the satisfaction with regard to green roofs. The findings can be helpful to provide a foundation data for raising the use of green roofs. We believe that the awareness benefits and satisfaction c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facility's status on green roofs. Therefore, we classified green roofs of 11 department stores, in Seoul, into four types. Among them, we paid attention to five department stores that were able to represent each type. We analyzed the awareness benefits and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green roofs. We analyzed casual relationships between them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 expect that the landscape architecture scholars will expand research on the various determinants in using green roof. een Roof; Type of Green Roof; Benefit Awareness; Satisfac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전오, 김용훈(2007) 생태도시 조성을 위한 옥상녹화 활성화 방안. 인천발전연구원.
  2. 김귀곤, 조동길(2000)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옥상 소생태계 조성기술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및 사례적용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3(1): 38-51.
  3. 김귀곤, 조동길(2004)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개념을 도입한 옥상 생물서식공간 조성 기법에 관한 연구: 유네스코회관 옥상을 사례로. 한국 환경복원기술학회지 7(4): 32-43.
  4. 김수봉, 심근정, 이홍대, 권진오(2003) 옥상녹화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1(3): 54-62.
  5. 김신원, 허준, 박창용(2009a) 조형원리에의한옥상정원디자인 분석연구: 서울시 지원 옥상녹화 사례지를 대상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5(4): 63-73.
  6. 김신원, 허준, 황현정(2009b) 서울 및 경기소재 백화점 옥상정원의 실태 및 시각적 선호도 분석.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2(4): 37-47.
  7. 김인혜, 허근영, 최아현, 김유일(2003) 병원 옥상정원의 이용 후 평가: 서울아산병원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1(5): 58-72.
  8. 김청영(2003) 건물 옥상공간의 건축적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한(2006) 옥상녹화의 이용만족도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나혜영, 변병설(2006) 옥상녹화에 관한 연구동향. 국토지리학회지 40(1): 95-106.
  11. 박유정(2010) 조경설계 의도와 이용자 인지 특성 및 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박은진, 강규이, 남미아(2010) 도시열섬 완화를 위한 옥상녹화 활성화 방안. 정책연구 2010(10): 1-172.
  13. 서주환, 이준근, 전형석(2001) 인공지반조경에 대한 실태 및 선호도 조 사: 수원 영통 신도시 상업용 건물을 중심으로. 디자인연구 4(1): 67-72.
  14. 손재룡, 박태은, 신지웅, 이동원, 이경회(2003) 옥상정원의 이용실태 조사 및 활성화에 관한 연구(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3(1): 175-178.
  15. 송희문(2010) 오피스와 백화점 옥상정원 이용자들의 만족도 조사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주택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윤소원(2005) 생물서식지 환경평가모델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시내 옥상녹화 우선 조성지역 도출을 위한 지역환경평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8(3): 53-66.
  17. 윤소원, 이동근(2003) 인공녹화 공간 확대를 위한 제도개선 연구. 한국 환경복원기술학회지 6(3): 86-96.
  18. 이동근, 윤소원, 오승환, 장성완(2005) 옥상녹화 조성지역의 현황평가 및 이용객 만족도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8(6): 45-58.
  19. 이영무, 이승훈(2002) 옥상정원의 시설물 설치기준에 관한 연구. 환경개 발연구논문집 7: 113-145.
  20. 이황형(1993) 부대서비스 시설이 점포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백화점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장성완, 이동근(2008) 한국과 일본의 옥상녹화 동향분석 및 비교. 한국 환경복원기술학회지 11(6): 143-152.
  22. 허근영, 김인혜(2004) 병원 옥상정원 환경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 및 만족 평가: 서울아산병원을 대상으로.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7(2): 62-73.
  23. Belinda, Y. and N. H. Wong(2005) Resident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of rooftop gardens in Singapor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3(4): 263-276.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4.08.001
  24. Dunnett, N. and N. Kingsbury(2004) Planting Green Roofs and Living Walls. Timber Press Portland, Oregon.
  25. Grant, G., L. Engleback, and B. Nicholson(2003) Green Roofs: Their Existing Status and Potential for Conserving Biodiversity in Urban Areas, English Nature.
  26. Heinz, S.(2004) Growing Green Roofs in Portland Attracts Hundreds, From Abroad, The Oregonian.
  27. Herrick, S. C.(2002) Grow a garden on your roof. Countryside andSmall Stock Journal 86(5): 35.
  28. Nunnally, J. C.(1978) Psychometric Theory(2nd ed.). New York: Mc- Grow Hill.
  29. Osmundson, T.(1999) Roof Gardens: History, Design, and Construction. W. W. Norton & Company, Inc. New York.
  30. Peck, S. W., C. Callaghan, M. E. Kuhn and B. Bass(1999) Greenbacks from Green Roofs: Forging a New Industry in Canada. Canada Mortgage and Housing Corporation, Ottawa.
  31. Wong, N. H., D. K. W. Cheong, H. Yan, J. Soh, C. L. Ong and A. Sia(2003) The effects of rooftop garden on energy consumption of a commercial building in Singapore. Energy and Buildings 35(4): 353-364. https://doi.org/10.1016/S0378-7788(02)0010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