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OE를 통한 친환경건축물 인증 공동주택 인공환경 녹화 관리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Management Condition and Improvement of Artificial Greens in GBCS-Certified Apartments through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 김보람 (서울대학교 대학원) ;
  • 안동만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Kim, Bo-Ram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Ahn, Tong-Mah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2.09.11
  • 심사 : 2012.11.22
  • 발행 : 2012.12.31

초록

본 연구는 친환경건축물 인증 공동주택의 지속가능성 증진을 위한 연구로서, 2007년 6월부터 2008년 6월 사이에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에서 친환경건축물 본인증을 획득한 서울 경기지역 공동주택 8곳을 선정하여 "생태환경을 고려한 인공환경 녹화기법 적용여부(이하, 인공환경 녹화)" 평가항목의 거주후 평가(POE)를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은 친환경건축물 인증 공동주택의 인공환경 녹화 부문 관리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재인증 규정 및 사후관리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현장관찰조사와 관리자 면담 및 거주후 평가를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 도출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 인증 공동주택 단지에 도입된 생태환경을 고려한 인공환경 녹화 계획요소의 사후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둘째, 인공환경 녹화에 대한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옹벽대체녹화가 담장녹화, 옥상녹화, 벽면녹화에 비해 만족도가 높았다. 평가항목별 만족도는 질적 수준, 설계목적 부합 여부, 식생 관리상태, 식생 생육상태가 평균보다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셋째, 인공환경 녹화 만족도는 질적 수준에 대한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으며, 나머지 요인들도 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현 인증 제도는 유지관리 평가기준이 미비하여 관리상태가 소홀하고, 이는 전체적인 인공환경 녹화 만족도 저하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인증심사와 별도로 운영되는 사후관리 제도의 도입이 요구되며, 인증 취소나 벌점부과와 같은 적극적인 관리 규제 확충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ways to improve sustainability on housing complexes. This study sampled eight housing projects in Seoul and GyeongGi-Do in Korea, which were completed in June 2007 and June 2008. Then, are retention and maintenance on "constructed greens for ecological environment" including "green structures substitutes retaining walls", "green roofs", and "green walls." Study methods are field investigations of the sampled sites, and Post Occupancy Analysis. Major findings were; 1) "constructed greens" are not well retained in more sites and and this implies the GBCS(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does not meet its objectives well, 2) User showed lower user satisfaction to "constructed greens". User satisfaction concerning "green structures substitute retaining walls" was higher than the satisfaction on the other constructed green type. Satisfaction Assessment Criteria lower 1han average were "level of quality", "meet the design objectives", "vegetation management status", "vegetation maintenance". 3) User satisfaction was strongly correlated on the level of quality factor of "constructed green". In addition, tue other factors are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satisfactions. The present GBCS has inadequate assessment standards for maintenance, which lead to lower the entire satisfaction. Therefore, periodic recertification system, education and information providing for the managing personals, and incentives for good maintenance or disincentive for poor maintenance of the "constructed greens" are suggested to improve the GBC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기홍(2008)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발전방안. 환경법연구학회지 30(1): 57-80.
  2. 강순주(2006) 친환경인증 공동주택의 거주후 평가: S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 22(9): 91-99.
  3. 고성석, 송혁, 이현철(2007) 사례분석을 통한 공동주택의 친환경성능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3(9): 201-211.
  4. 국토해양부(2009) 친환경 건설기준 및 성능 평가지침. 국토해양부고시 제2010-421호.
  5. 국토해양부(2012) 친환경건축물 인증실적(12년 9월). 국토해양부 사전정 보공개 자료.
  6. 국토해양부․환경부(2006)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세부시행지침.
  7. 국토해양부․환경부(2011)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 개정․고시 제 2011 -851호․제 2011-181호.
  8. 권영철, 최창호(2010) 학교시설 친환경건축물 인증 사례를 통한 생태환경 평가항목 분석. 대한설비공학회지 22(2): 112-121.
  9. 김동희, 조동우, 유기형(2010)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용도별 인증결과 분석. 대한건축학회지 26(1): 323-330.
  10. 김삼열, 김형보(2010) BREEAM과 LEED를 통해서 본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6(12): 271-278.
  11. 김신은, 이동훈, 김선국(2010) 공동주택 친환경건축물 인증 사례를 통한 평가항목 비교분석.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지 10(2): 31-38.
  12. 김자경(2008) 국내 초고층 주거의 친환경적 실내 공간 계획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17(3): 23-33.
  13. 김재필(2009) 아파트 조경요소의 주민만족도 분석: 서울시 조경상을 수상한 아파트를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진원(1992) 거주후 평가(POE)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논문집 13(2): 177-193.
  15. 김창성, 정회영, 김강수(2008) 국내 친환경 인증 건축물의 사후관리 및 재인증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4(9): 77-84.
  16. 김혜진, 김병선(2007) POE를 통한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개선방안 연 구.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지 1(2): 50-56.
  17. 모지선, 김철, 임태섭, 강윤도, 김병선(2008) 사례분석을 통한 친환경건 축물 인증제도 개선방향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 179-184.
  18. 박경순, 김철, 권문희(2010) 국내 친환경 공동주택의 활성화를 위한 개정 건물 성능 평가제도 비교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지 10(4): 19-28.
  19. 박명규(2009) 친환경 공동주택 인증 평가항목 분석 및 중요도 조사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박병준(2005) 신규 공동주택 단지의 조경에 대한 만족도 분석을 통한 관리개선방안 연구: 경기 안양, 군포, 의왕입주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박상동, 최동호, 이상홍, 신기식, 조수, 이승민(2004) 국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비교․분석을 통한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발전 방안 제시. 한국그린빌딩협의회지 7(2): 85-94.
  22. 박영기(1990) 공동주택의 주거환경에 대한 거주후 평가연구. 대한건축학회지 6(1): 41-48.
  23. 백혜선, 박영기(2002) 공동주택 단지 내 옥외생활공간에 대한 거주자의 식조사 및 이용행태 분석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8(2): 87-94.
  24. 석희진, 홍형옥(2011) 친환경건축물 인증 아파트의 친환경계획요소 관리 실태. 대한가정학회지 49(1): 41-53.
  25. 송승영, 이현화, 이현우(2008) 친환경 공동주택 인증 심사항목별 득점비율 분석을 통한 개선 필요항목 도출. 한국태양에너지학회지 28(4): 1-9.
  26. 신동규, 한경훈(2007) 국내외 친환경공동주택 인증시스템의 평가지표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3(1): 197-204.
  27. 신영숙, 조명은(2006) 친환경 아파트 단지 거주자들의 친환경 계획요소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2(8):135-145.
  28. 심태섭(2002) 조경식물 유지관리 공종별 분류체계의 적정화에 관한 연구: 공공건물의 수복/잔디 유지관리를 중심으로. 한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안경환(1988) 아파트 주거환경의 POE 연구방법론. 수원대학교 논문집 6: 279-287.
  30. 안경환(1993) 공동주택 환경설계를 위한 POE 방법론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9(8): 47-56.
  31. 양금석(2009) 친환경학교시설의 인증제도와 실태에 관한 연구: 생태환경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지 11(1): 17-24.
  32. 오세경, 한민석, 임병찬(2011)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평가방법 개선 연구: 일본․미국․영국의사례를중심으로. 한국아시아학회지14(1): 219-241.
  33. 유정연, 조동우, 채창우(2006) 국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비교분석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6(1): 111-120.
  34. 윤수진(2009) 친환경건축물 공동주택단지 내 비오톱 조성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이송현, 황연숙(2006) 친환경 인증아파트의 실외공간에 적용된 친환경 계획요소 사례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지 6(1): 111-120.
  36. 이승민, 박상동, 신기식, 최무혁(2005) 국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을 이용한 사례건물의 평가결과 비교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1(10): 299-306.
  37. 이시내, 박진철, 이언구(2011) 거주후 평가를 통한 공동주택의 실내환경 성능평가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지 31(2): 128-134. https://doi.org/10.7836/kses.2011.31.2.128
  38. 이시영(1997) 주거단지 외부공간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계획학회지 32(3): 125-138.
  39. 이원대(2000) 공동주택단지 내 옥외공간에 대한 만족도 분석: 단지 내 녹지시설을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이종찬, 김동석, 김창남, 김병선(2005) 사례분석을 통한 친환경 건축 인증제도의 실내환경 인자 분석 및 개선안 기초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1(11): 295-302.
  41. 이현우, 최창호, 조민관(2007) 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에 대한 비교 분석 연구.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1(2):41-49.
  42. 임승빈(1995) 조경계획 설계론. 보성문화사. pp. 279-281.
  43. 정아름, 양은진, 이선영, 박재홍, 전채휘(2008) 교육시설의 친환경설계요소에 관한 거주후 평가(POE) 연구.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995-1002.
  44. 정종대, 최윤이(2006) 친환경건축물 인증지표 및 인증사례 분석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2(8): 27-36.
  45. 정지나, 태춘섭, 양정훈, 박상동(2010) 친환경학교시설의 유지관리 조사를 통한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6(5): 349-356.
  46. 조화숙(2007) 공동주택단지 조경의 이용 후 평가: 진주시 아파트단지를 중심으로. 진주산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최보가(1992) 아파트 내부공간에 대한 거주후 평가: 주공아파트 17평형을 대상으로. 경북대학교 논문집 24: 149-167.
  48. 토지주택연구원(2011) 친환경공동주택 인증단지의 입주자 만족도 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49. OECD(2003) Environmentally Sustainable Buildings-Challenges and Policies. OECD Publications. Paris. 2003.
  50. UNEP(2006) Sustainable Building & Construction Initiative-Information Note[Online],Published by: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Division of Technology, Industry and Economics, Available at ,[Accessed at: 10 March 2012](UNEP)
  51. Zimring, C. M. and J. E. Reizenstein(1980) Post occupancy evaluation. Environment and Behavior 12(4): 429-450. https://doi.org/10.1177/0013916580124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