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용생체공학 체험프로그램에 적합한 내용요소 선정 - 고등학교 생명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lection of Contents Fitting for Bio Medical-Engineering Experience Program - Forcus on High School Life Science Textbook -

  • 투고 : 2012.12.15
  • 심사 : 2012.12.18
  • 발행 : 2012.12.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체험프로그램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고등학교교육과정의 생명과학 교과서에서 내용요소를 추출하기 위한 연구이다. 교육 전문가를 중심으로 위원회를 조직하여 체험프로그램의 내용요소 추출을 위한 조사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 사용한 검사 도구는 생명과학 교과 중 체험프로그램에 반영 요구, 체험프로그램에 포함할 내용 영역이었다. 1개월간(2012. 4) 대전광역시 고등학교 46개교에 근무하는 생명과학 교사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응답자는 전체 53명이었다. 연구결과, 유전과 생명과학을 포함하는 체험프로그램이 되도록 하여 15개 중단원을 포괄해야한다.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야할 하위 내용은 '생명공학의 기술과 이용'을 포함한 32개 내용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riteria proposed by the research conducted to a group of life science teachers for the requirement of experience program in life science textbook of high school curriculum. A committee consisting of education experts has developed the research tool for the purpose described above. Research tool covered the degree to the necessity of experience program reflected in the subsection and in the context of the life sciences, and the section should be dealt with in the program. A total of 53 life science teachers responded to the survey conducted in 46 high schools of Dajeon city for a period of 1 month (April, 2012). Subsequent analysis of the investigation identified 15 demanding subsections to be reflected in the experience program including 'gene and life engineering'. Contents that need to be applied to the subsections are 32 items including 'the technology of life engineering and its utiliz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