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대도시 복합유역의 지표 및 지표하 유출해석기법 개발 (II) - 분석 및 적용 -

A Development of Method for Surface and Subsurface Runoff Analysis in Urban Composite Watershed (II) - Analysis and Application -

  • 곽창재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이재준 (금오공과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Kwak, Chang-Jae (School. of Civil Engrg.,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
  • Lee, Jae-Joon (Schoo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rg.,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 투고 : 2011.07.27
  • 심사 : 2011.11.16
  • 발행 : 2012.01.31

초록

본 연구 (II)에서는 앞선 연구 (I)에서 개발된 지표 및 지표하 유출해석 모듈의 적용성과 수치해석적인 안정성에 대한 분석하였다. 개발 모듈의 유출해석에서 기존 강우-유출해석 모형에 비해 특징적인 침투해석에 관한 모의를 위해 침투해석 방식이 서로 다른 FFC2Q 모형과 $Vflo^{TM}$을 비교대상으로 선정하여 동일한 투수층 유역에 적용하여 모의 결과를 비교분석해 보았으며, 강우의 크기와 토양의 유효토심 및 강우발생시점부터 강우종료 후 경과시간에 대한 모의조건을 설정하여 개발모듈의 적용성과 해석결과의 안정성을 검토해 보았다. 이상의 테스트에서 본 연구의 개발 모듈은 침투과정을 물리적으로 나타내는 전형적인 형태를 잘 나타내었으며, 토양조건 별 포화시점도 상이하였고, 수두가 증가되는 기울기도 다르게 구현함으로써 토양별 특성치를 비교적 잘 보여주었다. 또한, 강우강도가 유출에 미치는 영향과 시간분포에 대한 모의결과도 잘 반영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타 모형과의 비교결과에서도 강우-유출해석에 대한 정확도가 높게 평가될 만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In this study (II), the module developed in the previous study (I) has been tested on application and numerical stability. The runoff module was compared the result of analysis with two different models (FFC2Q and $Vflo^{TM}$) considering characteristic of infiltration. To examine the application and stability of developed module, runoff aspect was simulated under the variety case of rainfall intensity, effective soil depth, elapsed time. The development module was presented typical type of infiltration process looking physically, the different of saturation point on soil type, and characteristic of soil type. Also, the module was reflected in the runoff feature about rainfall intensity and time distribution. Finally, this paper drew a conclusion that result of rainfall-runoff analysis as compared with difference models (FFC2Q and $Vflo^{TM}$) has a high accurac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용호, 배상근(2003). "지표상태별 강우 침투특성의 검토."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05-108.
  2. 김태균, 윤강훈(2007). "SCS 초과우량산정방법을 이용한 저류함수법 적용."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7호, pp. 523-532.
  3. 김태철, 박승기, 문종필(1997). "DAWAST 모형을 이용한 유출곡선번호 추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0권, 제5호, pp. 423-430.
  4. 남선우, 최은호(1990). "산지유역의 초과우량 추정 모형." 한국수문학회지, 한국수문학회, 제23권, 제3호, pp. 351-361.
  5. 박종영, 신창동, 이정식(2004). "중규모 하천유역에서 설계강우의 임계지속기간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9호, pp. 695-706.
  6. 박햇님, 조원철(2002). "초기 함수량을 고려한 침투 모형의 유도."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3호, pp. 285-294.
  7. 신사철, 권기량, 김성준(2002). "Landsat TM 자료를 이용한 토지피복분류와 유효우량도 작성."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4호, pp. 411-423.
  8. 안태진, 류희정, 정광근, 심명필(2000). "단순 강우-유출사상으로부터 최적단위도와 침투율의 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제3호, pp. 365-374.
  9. 유주환(2006). "유역을 대표하는 horton 침투 모형내 매개변수의 최적 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11호, pp. 977-984.
  10. 이병주, 배덕효, 정창삼(2003). "위성영상 피복분류에 대한 CN값 산정(II):-적용 및 검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6권, 제6호, pp. 999-1012.
  11. 이종태(2008). 도시유역 유출 수질해석모형: FFC2Q(Ver. 2007) 사용자 설명서. 국토해양부,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도시홍수재해관리기술연구단.
  12. 정성원, 김승(1991). "Green-Ampt 방법에 의한 강우침투 모형." 한국수문학회 1991년 수공학논총, 한국수문학회, 제33권, pp. 144-155.
  13. hen, Li, and Young, M.H. (2006). "Green-Ampt Infiltration Model for Sloping Surface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2, W07420 https://doi.org/10.1029/2005WR004468
  14. Chow. V.T., Maidment, D.R., and Mays, L.W. (1988). Applied Hydrology. McGraw Hill, New York, pp. 101-123.
  15. Chu, S.T. (1978). "Infiltration during an Unsteady Rai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4, No. 3, pp. 461-466. https://doi.org/10.1029/WR014i003p00461
  16. Fox, D.M., Bryan, R.B., and Price, A.G. (1997). "The Infiltration of Slope Angle on Final Infiltration Rate for Interrill Coditions." GEODERMA 80, pp. 181-194. https://doi.org/10.1016/S0016-7061(97)00075-X
  17. Lei, Tingwu, Yinghua, Pa, Han, Lu, Weihua, Za, and Jianping, Y. (2006). "A Run off-on-Ponding of Sloped Soil Surface under Rainfall and Erosion Impacts." Journal of Hydrology, Vol. 319, pp. 216-226. https://doi.org/10.1016/j.jhydrol.2005.06.029
  18. Mein, R.G., and Larson, C.L. (1973). "Modeling Infiltration during a Steady Rai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9, No. 2, pp. 384-394. https://doi.org/10.1029/WR009i002p00384
  19. Partsch, C.M., Jan-ett, A.R., and Watschke, T.L. (1993), "Infiltration Characteristics of Residental Lawns." Transactons of the ASAE, Vol. 36, No. 6, pp. 1695-1701. https://doi.org/10.13031/2013.28513
  20. Surendra, K.M., and Vijay, P.S. (2004), "Validity and Extension of SCS-CN Method for Computing Infiltration and Rainfall-Excess Rates." Hydro. Process. 18, pp. 3323-3345. https://doi.org/10.1002/hyp.1223
  21. Vieux, B.E., (2002) Predictability of Flash Floods Using Distributed Parameter Physics-Based Models, Appendix B in: Report of a Workshop on Predictability and Limits to prediction in Hydrologic Systems. Committee on Hydrologic Science, National Research Council, National Academy Press, ISBN 0-309-08347-8, pp. 77-82.
  22. Walter, M.T., Gao, B., and Parlange, J.Y. (2007), "Modeling Soil Solute Release into Runoff with Infiltration." Journal of Hydrology, Vol. 347, pp. 430-437. https://doi.org/10.1016/j.jhydrol.2007.09.033

피인용 문헌

  1. A Study on the Runoff Parameter Estimation in the Distributed Model vol.16, pp.3, 2016, https://doi.org/10.9798/KOSHAM.2016.16.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