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of the Duty of care of a Good Manager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anager's Task

건설사업관리자의 수행업무에 따른 선관주의의무 특성

  • 정녕호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CM본부, 광운대학교 건설법무학) ;
  • 이상범 (동의대학교 건축공학과) ;
  • 박현정 (신라대학교 건축학부) ;
  • 조형진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 Received : 2011.05.27
  • Accepted : 2011.10.31
  • Published : 2012.01.31

Abstract

When the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was introduced, there were arguments regarding the contractual responsibility of the construction manager. Accordingly, the provisions on damage compensation in the Construction Technology Management Act were revised in 2002, and the obligatory duty of care of a good manager is now required by the Framework Act on the Construction Industry. Even though the construction manager has a responsibility of a consultant in the CM-for-fee contract, however, the Korean construction environment does not clearly specify the consultant's scope of responsibility. In this study, the theory about the duty of care, which is a consultant's responsibility among the expert's responsibilities, was arranged. Based on the responsibilities of experts such as lawyers, the duties of care of a good manager of the construction manager were presented to provide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the construction manager's responsibilities. To verify the resulting items, interviews with experts were performed to assess their importance levels.

건설사업관리 방식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건설사업관리자의 계약적 책임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어 2002년 건설기술관리법에 손해배상 조항을 개정하였으며, 건설산업기본법에서도 건설사업관리자에게 선관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하지만 CM for Fee의 계약 방식의 경우 건설사업관리자는 컨설턴트 책임을 지니고 있지만, 국내 건설환경으로는 컨설턴트 책임범위에 대해서 명확하게 규정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사업관리자의 컨설턴트 책임의 성격인 전문가적 책임 중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에 대한 이론을 정리하고자 하였으며, 변호사 등 전문가 의무 등을 토대로 건설사업관리자의 선관주의 의무 항목을 제시하여 건설사업관리자에 대한 책임문제를 진단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도출된 항목에 대한 검증을 위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인터뷰조사를 실시하여 중요도를 산정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신웅(2008)." 선량한관리자의 주의의무규정에 관한 입법적 고찰", 조선대학교 법학논총 제15집 제2호
  2. 김대환 (2005). "변호사의 민사책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pp. 61-68
  3. 김준호(2009). 민법강의, 17판, 법문사, 경기도, p. 846
  4. 문상호(2008)." 신의칙상의 부수적 주의의무",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5. 오지원(2007).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표현의 자유와 명예회손", 석사학위논문, p. 89
  6. 오영근, 김재봉(2009). "의료과실에 있어 형사처벌 특례 인정 여부에 관한 연구", 보건복지가족부, pp. 7-8
  7. 윤재윤(2008). 건설분쟁관계법, 보정판, 박영사, 서울, p.28
  8. 이상범(2011), 건설사업관리자의 업무수행에 따른 윤리 특성 고찰,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2권 제1호, p.3
  9. 이청조(1988). "변호과오소송의 법리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p. 4
  10. 조희래(2001). "법무사의 업무상과오와 민사책임에 관한 연구." 법학석사학위논문, p. 6
  11.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2003). CM형태별 활성화 방안 및 업무절차서 개발, pp.21-25
  12. 대법원 2001. 7. 27. 선고 2000다56822 판결
  13. 대판 1986. 3. 26. 84다카1923

Cited by

  1. Improvement of Architecture-Engineering Service Procurement System for Public Construction Project vol.15, pp.5, 2014, https://doi.org/10.6106/KJCEM.2014.15.5.061
  2. Analyzing Article 85(Penalty) in the Construction Technology Promotion Act based on the Principle of Legality vol.17, pp.1, 2016, https://doi.org/10.6106/KJCEM.2016.17.1.119
  3. Development of an Information System for managing the Service Performances in Public Construction Technique Fields vol.14, pp.11, 2013, https://doi.org/10.5762/KAIS.2013.14.11.5993
  4. Study of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n Subcontracted Service Results vol.15, pp.11,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11.68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