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화면 분할의 미학과 의미 - 극영화를 중심으로

Aesthetics and Meaning of Split Screen: Focusing on Feature Film

  • 장우진 (아주대학교 미디어학부)
  • 투고 : 2011.11.24
  • 심사 : 2012.01.03
  • 발행 : 2012.01.28

초록

이 논문은 화면 분할의 역사적 전개 과정을 살펴보고, 극영화의 화면 분할 유형과 그 서사적 의미를 논의 한다. 그 결과, 사건과 캐릭터를 기준으로 삼되 동시에 제시되는 이미지 간의 관계와 극적 의미의 결합에 주목하여, 극영화의 화면 분할 유형에 대한 분류를 시도하고, 그 내용을 하나의 도표로 제시한다. 또한 화면 분할이 극영화의 이야기 방식을 선형적인 것에서 탈선형적인 것으로 바꾸며, 영화의 스크린 개념을 창문으로 표현되는 원심적 공간에서 캔버스로 표현되는 구심적 공간으로 전환시킴을 주장한다.

In this paper, I examine the history of split screens, primarily seek to explain types of them, and explore the narrative meaning of each type in feature films. In short, I try to categorize the types of split screens and present a figure of them according to events and characters, focusing the relations between/among simultaneous images and narrative meanings. In addition, I assert that split screen have altered some methods of filmic storytelling and the ontology of screen. Story lines no longer have to be linear and the screen need not to remain a window through which we can see another world. The screen has come to be a canvas upon which several images can be arranged for narrative purposes.

키워드

참고문헌

  1. Alexandre Tylski, "Le audiovisuel: Contemporaneéité(s) d'une figure," Positif, Vol.566, pp.56-59, 2008.
  2. 파올로 케르키 우사이, "기원과 생존", 제프리 노웰-스미스 책임편집, 옥스퍼드 세계영화사, 열린책들, pp.28-36, 2005.
  3. J. Talen, "24 : Split screen's big comeback," http://www.salon.com/entertainment/tv/feature /2002/05/14/24_split
  4. G. C. Konder, "A Place to Stand", December 6, 2004, http://expo67.ncf.ca/a_place_to_stand_p1.html
  5. 송윤엽, 브레히트의 연극이론, 연극과인간, 2005.
  6. R. Rubinstein, "The making of Sisters: An Interview with Director Brian De Palma," Filmmakers Newsletter, pp.25-30, 1973(9).
  7. Cara O'Connor, "Ethics, Ambiguity, and Mulit- Frame Narrative in Julie Talen's Pretend," Film-Philosophy, Vol.7, No.47, 2003(11); http://www.film-philosophy.com/index.php/f-p/ article/view/768/680
  8. 이호은, "텔레비전광고의 화면분할영상에 따른 수용자의 태도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5권, 제3 호, pp.548-580, 2005(12).
  9. 정정화, "분할화면의 미학: 비디오/영화",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제9권, 제2호, pp.783-791, 2008.
  10. Nina K. Martin, "Down with Love and up with sex: sex and the post-feminist single girl," Jump Cut, No.49, spring, 2007; http://www.ejumpcut.org/archive/jc49.2007/ ninamartin/text.html
  11. M. Childs and A. Jones, "De Palma Has the Power!," Ed., by Laurence F. Knapp, Brian De Palma Interviews, Univ. Press of Mississippi, pp.37-45, 2003.
  12. G. Chandler, Film Editing: Great Cuts Every Filmmaker and Movie Lover Must Know, Michael Wiese Productions, 2009.
  13. 앙드레 바쟁, 앙드레 바쟁의 영화란 무엇인가?, 박상규 역, 시각과 언어, 2001.
  14. 이자혜, "다큐멘터리에서의 외화면 활용을 통한 리얼리즘의 구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1, 2010.
  15. 레프 마노비치, 뉴미디어의 언어, 서정신 역, 생각의 나무, 2005.

피인용 문헌

  1. A Case Study on Pillow Talk(1959) and Down with Love(2003): Split Screen in Romantic Comedy Films vol.14, pp.3,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3.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