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ctal Carcinoma In Situ of the Breast Arising in Microglandular Adenosis

미세선 선증에서 발생한 유방의 관상피내암종

  • Jeong, Min-Sun (Department of Radiology, Eulji Hospital, Eulji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ang, Jae-Hee (Department of Surgery, Eulji Hospital, Eulji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Eun-Kyung (Department of Pathology, Eulji Hospital, Eulji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Woo, Jeong-Joo (Department of Radiology, Eulji Hospital, Eulji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Hyun-Sook (Department of Radiology, Eulji Hospital, Eulji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An, Jin-Kyung (Department of Radiology, Eulji Hospital, Eulji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정민선 (을지대학교 을지병원 영상의학과) ;
  • 강재희 (을지대학교 을지병원 외과) ;
  • 김은경 (을지대학교 을지병원 병리과) ;
  • 우정주 (을지대학교 을지병원 영상의학과) ;
  • 김현숙 (을지대학교 을지병원 영상의학과) ;
  • 안진경 (을지대학교 을지병원 영상의학과)
  • Received : 2012.04.11
  • Accepted : 2012.07.16
  • Published : 2012.10.01

Abstract

Microglandular adenosis of the breast is a benign proliferative lesion, and is a rare subtype of adenosis. The pathologic findings and clinical symptoms can mimic those of breast cancer. Microglandular adenosis has been frequently associated with invasive carcinoma and in situ carcinoma of the breast. Many reports have described a spectrum of the lesions, ranging from microglandular adenosis to cancer arising from microglandular adenosis. However, most of them have focused on the pathology, and there are a few cases that report imaging findings. In the present case, we report the imaging and pathologic findings of a ductal carcinoma in situ arising in microglandular adenosis. A 57-year-old woman detected a palpable mass in her left breast. Mammogram showed an ill-defined irregular isodense mass, and sonogram showed hyperechoic irregular mass with indistinct margin. The patient underwent breast conserving surgery and adjuvant radiotherapy.

유방의 미세선 선증(microglandular adenosis)은 양성 증식성 병변으로 선증(adenosis)의 드문 아류형에 속한다. 미세선 선증의 병리 및 임상적 소견은 유방의 관상피내암 또는 침윤성 유방암과 유사한 소견을 보일 수 있으며 선증의 다른 아류형보다 이들 유방암과의 관련성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세선 선증, 비정형 미세선 선증, 미세선 선증에서 발생한 유방암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스펙트럼이 보고되었으며, 대부분 병리적 소견에 대한 것으로 영상적 소견에 대해서는 드물게 보고되어 있다. 저자들은 본 증례에서 미세선 선증에서 발생한 유방의 관상피내암종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57세 여자 환자가 좌측 유방의 촉지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병변은 유방촬영상 동등밀도의 불규칙 형태를 보였고, 초음파상 경계가 불분명한 고에코의 불규칙 종괴로 나타났다. 환자는 유방보존수술과 보조방사선치료를 받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