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uence of Job Stress Change on Body Mass Index (BMI) and Waist Circumference among Male White-Collar Workers: A Two-Year Longitudinal Study

남성 사무직 근로자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변화가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에 미치는 영향

  • Kim, Ji-Won (Department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Seoul St. Mary's Hospital) ;
  • Kim, Hyoung-Ryoul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atholic Industrial Medical Center,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 Kim, Se-Eun (Department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Seoul St. Mary's Hospital) ;
  • Jang, Sung-Mi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School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
  • Koo, Jung-Wa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atholic Industrial Medical Center,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김지원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 김형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직업환경의학센터) ;
  • 김세은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
  • 장성미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
  • 구정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직업환경의학센터)
  • Received : 2012.01.02
  • Accepted : 2012.06.14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Objectives: To reveal the influence of job stress change on body mass index (BMI) and waist circumference in white-collar male workers. Methods: A total of 277 male workers in a Korean R&D company were enrolled between 2008 and 2010. Baseline and follow-up data were collected with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by nurses. The questionnaire survey included general and work-related characteristics and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hort Form (KOSS-SF). The job stress scores in each examination were dichotomized at the median values for the Korean workers and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as follows: Group I : Both low job stress (2008, 2010), Group II : High job stress (2008) & low job stress (2010), Group III : Low job stress (2008) & high job stress (2010), Group IV : Both high job stress (2008, 2010).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ing was us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job stress change on BMI and waist circumference. Results: The adjusted odds ratio for the change in waist circumference above the 75th percentile for Group IV in 'job demand' increased more than in Group I (OR = 2.54 95% CI=1.06~5.55). Also, Group IV in 'job demand' has higher odds ratio for change in BMI above the 75th percentile than Group I (OR=2.25 95% CI=1.01~5.00). Adjusted odds ratios comparing Group II to Group I for the change in waist circumference above the 75th percentile were 0.36 (95% CI=0.15~0.87) in 'inadequate social support', 0.12 (95% CI=0.02~0.98) in 'lack of reward', 0.25 (95% CI=0.08~0.80) in 'total score', respectively.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stained high job control is a risk factor for abdominal obesity and weight gain. Also, diminished job stress has a negative influence on change in abdominal obesity.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stablish job stress intervention plans.

목적: 남성 사무직 근로자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변화가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과 2010년 사이에 일개 전자제품 연구소에 근무하는 277명의 남성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시작시점과 추적관찰 두 차례 건강검진에서 구조화된 응답자 자가 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경험이 많은 간호사가 대상자의 체중과 키를 측정하였다. 설문조사는 일반적 특성 및 업무관련 특성과 한국형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단축형의 내용을 포함하였다.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단축형 참고치(남성)의 중위수를 이용하여 2008년과 2010년의 직무스트레스 하부 영역 점수가 낮은 집단 및 높은 집단으로 구분하였고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범주화하였다. 그룹 I : 2008년 2010년 모두 낮은 직무스트레스, 그룹 II : 2008년 높은 직무스트레스, 2010년 낮은 직무스트레스, 그룹 II : 2008년 낮은 직무스트레스, 2010년 높은 직무스트레스, 그룹 IV : 2008년 2010년 모두 높은 직무스트레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시행하여 직무스트레스의 변화가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결과: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들을 보정한 뒤 허리둘레의 변화 상위 25%가 될 위험은 그룹 IV 에서 그룹 I 에 비해 비차비 2.54(95% CI=1.06~5.55)로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직무요구도 그룹 IV 에서 그룹 I 에 비해 체질량지수의 변화 상위 25%에 포함될 위험이 2.25배 (95% CI=1.01~5.00)로 높게 나타났다. 그룹 II 에서는 허리둘레 변화 상위 25%에 포함되는 경우의 비차비가 관계갈등, 보상부적절, 전체 스트레스 부분에서 각각 0.36(95% CI=0.15~0.87), 0.12(95% CI=0.02~0.98), 0.25(95% CI=0.08~0.80)로 낮게 분석되었다. 결론: 이 결과들은 직무요구도가 높게 지속되면 체질량 지수와 허리둘레가 증가할 위험이 높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의 감소가 복부비만에 대해 위험을 낮추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직무스트레스의 중재를 통한 비만 위험인자 감소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