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발성 난관 악성종양의 영상소견

Imaging Findings of Primary Tubal Malignancy

  • 남상빈 (원자력병원 영상의학과) ;
  • 박준영 (원자력병원 영상의학과) ;
  • 박동희 (원자력병원 영상의학과) ;
  • 김기환 (원자력병원 영상의학과) ;
  • 조경식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학교실)
  • Nam, Sang-Been (Department of Radiology,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Park, Jun-Young (Department of Radiology,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Park, Dong-Hee (Department of Radiology,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Kim, Kie-Hwan (Department of Radiology,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
  • Cho, Kyoung-Sik (Department of Radiology and Research Institute of Radiology,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투고 : 2011.05.31
  • 심사 : 2011.11.19
  • 발행 : 2012.02.01

초록

목적: 원발성 난관 악성종양의 영상소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수술과 병리조직 소견으로 원발성 난관 악성종양으로 확진된 40명의 환자 중 확인 가능한 영상이 있는 27명, 28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의 나이는 34~78세로 평균 58.2세였다. 23명에서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으며 3명에서 자기공명영상, 4명에서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다. 종양의 크기, 낭성부분의 비율, 모양, 동반된 소견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종양의 크기는 평균 5.3 cm(범위, 2~13.1 cm)였다. 낭성부분의 비율에 따라 형태를 나누었을 때(1형: 낭성비율이 75% 이상, 2형: 낭성비율이 50~75%, 3형: 낭성비율이 25~50%, 4형: 낭성비율이 25% 이하) 1형에 10예(35.7%), 2형이 2예(7.1%), 3형에 3예(10.7%), 4형이 13예(46.4%)였다. 모양을 원형, 소엽형, 관상형(round, lobular, tubular)으로 나누면 각각 7예(25%), 12예(42.9%), 9예(32.1%)였다. 8예(28.6%)에서 종양내 중격을 동반하였고 13예(46.4%)에서 벽비후 소견을 보였으며 11예(39.3%)에서 수난관을 동반하였다. 결론: 원발성 난관 악성종양은 여러 형태로 관찰되며 낭성부분의 비율도 매우 다양하였다. 종양의 위치와 형태로 인해 원발성 난소종양과 감별하는 것이 어려우나, 수난관을 동반하거나 그 모양이 소엽 또는 관상형일 경우 감별진단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Purpose: To describe the radiologic findings of primary tubal malignancy.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described the imaging findings of 27 patients with 28 cases of primary tubal malignancy. Of the 27 patients examined, 23 underwent CT, 3 underwent MRI and 4 underwent ultrasonography. Image finding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ize, proportion of cyst, shape, and associated findings of tumor. Results: The mean tumor diameter was 5.3 cm (range 2.0-13.1 cm). According to proportion of cyst within the tumor, each case was categorized in one of the four types: 10 cases (35.7%) of type I (${\geq}$ 75 of cystic portion), 2 cases (7.1%) of type II (50-75%), 3 cases (10.7%) of type III (25-50%) and 13 cases (46.4%) of type IV (${\leq}$ 25%).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umor, 7 cases (25%) were round, 12 cases (42.9%) were lobular, and 9 cases (32.1%) were tubular. Moreover, septa were observed in 8 cases (28.6%), wall thickening was observed in 13 cases (46.4%), and hydrosalpinx was observed in 11 cases (39.3%). Conclusion: The imaging findings of tubal cancer manifests from a solid to a cystic mass. It is a challenge to differentiate primary tubal cancer from ovarian cancer, but when it is associated with hydrosalpinx or the shape of the tumor is lobular or tubular, primary tubal cancer can be suggested as part of the differential diagnosi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