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붐 세대 남성의 스트레스 요인과 우울의 종단적 인과관계

The Longitudinal Relation between Stressors and Depression of Men in Baby Boom Generation

  • 투고 : 2012.09.12
  • 심사 : 2012.10.31
  • 발행 : 2012.11.30

초록

본 연구는 사회 스트레스 이론을 근거로 한국복지패널 1차~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베이비붐 세대 남성의 우울과 스트레스 요인간의 인과관계를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베이비붐 세대 남성의 우울정도와 우울증 의심군은 시간의 진행에 따라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패널회귀분석 결과, 시간에 따른 우울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중위소득 기준 소득계층의 상승, 가족관계 만족 증가,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 증가, 주거환경 만족 증가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베이비붐 세대 남성의 우울과 인과관계를 가지는 사회 스트레스 요인의 감소에 대한 사회복지 정책 및 개입방향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causal relationship of between stressors and depression using the wave 1~4 of Korean Welfare Panel Study by social stress theory. According to the result, the level of depression and depressed group was decreased in the course of time. As a panel regression analysis, Factors affecting the reduction of depression was upward of the income hierarchy,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family and social relationships,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author suggested that social work policies and intervention direction should decrease social stress factors with causality to depression of the men in baby boom gener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