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chers' Perceptions and Applications of Key Competency-Based Learning and Instruction in Mathematics Classrooms

수학과 교수.학습 과정에 핵심역량의 반영 정도와 그 가능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조사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how 132 teachers of different grade levels incorporate the key competencies identified by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into their mathematics teaching and how they perceive of its full potential of the competency-based learning and teaching in mathematics classroom. Survey and semi-structured interview methods were used to collect data for the study. It was found that in their instruction teachers emphasized competencies such as problem-solving, literacy, creativity,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processing skills in order. Inter-personal skills, self-management, citizenship, global understanding and career-development appeared to be challenging competencies for teachers to reflect in their instruction with the reasons such as no direct connections to mathematics and insufficient instruction.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various instructional methods,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related curricula materials, change of evaluation method, and change teachers' perceptions may be needed for incorporating KICE's key competencies in K-12 mathematics education.

국내외 교육개혁에 있어 역량이 도입되는 흐름 속에서 본 연구는 수학과 교수 학습 과정에 핵심역량의 반영 정도와 그 가능성에 대한 초 중 고 교사들의 인식을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통해 분석하였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KICE)에서 제안한 핵심역량 중 교수 학습 과정에 반영되고 있는 핵심역량은 문제해결능력, 기초학습능력, 창의력, 의사소통능력, 정보처리능력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대인관계능력, 자기관리능력, 시민의식, 국제사회문화이해, 진로개발능력은 수학내용과 직접적인 연결이 안 됨, 수업시간 부족 등의 이유로 교수 학습 과정에 덜 반영되고 있으며, 특히 국제사회문화이해, 시민의식, 대인관계능력, 진로개발능력은 수학교육에 반영이 어려운 역량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교교육을 통해 길러야 할 핵심역량은 수학교육을 통해서도 길러져야 한다는 전제 아래 교사들의 인식전환, 교수 학습 방법과 학습 자료의 개발 및 홍보, 평가 방법의 변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