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제주 정낭 Code I"에서는 배경과 역사 그리고 물리적 의미에 대해 알아보았고,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휴먼 이진 코드인 한국의 제주도 전통에서 나무문으로 쓰인 정낭 정보통신의 뿌리를 소개하면서 AWGN 모델과 비슷한 정낭 결정 채널 모델을 조사하고, 채널 용량 분석에 접근하는 결정적 모델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이 분석은 AWGN 모델의 용량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정낭 정보통신은 가족의 행방을 전달 위해 세 구멍으로 두 수직 돌에 3개의 서까래를 놓은 것으로 결정적인 신호이다. 따라서 정낭 채널 코드는 이동통신 기지국간 Backhaul에 사용됨을 보인다.
We had introduced the backgrounds, history and physical meanings of Jong Nang in "Jeju Jong Nang Channel Code I". In this paper, we introduce practical the root of digital human binary coded Jong Nang communications as the wooden gate in Korea Jeju Island custom. We investigate Jong Nang gatemodels as an approximation of the AWGN model. The objective is to find a deterministic model, which is accessible to capacity analysis. Furthermore, this analysis should provide insights on the capacity of the AWGN model. Motivated by backhaul cooperation in cellular networks where cooperation is among base stations, we term the interference channel with conferencing transmitters. Jong Nang communicationsis normal 3 rafters placed on two vertical stones with three holes to convey the family's whereabouts that is deterministic signal, nowadays it is applied to backhaul in mobile base station and traffic sig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