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levision Viewing in the Post-TV Era: An In-depth Interview Study of Young People's Television Experiences

포스트 TV 시대의 텔레비전 시청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20대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 Lee, Dong-Hoo (Dept. of Mass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ncheon)
  • Received : 2012.09.02
  • Accepted : 2012.10.27
  • Published : 2012.11.15

Abstract

Over the last ten years, media convergence and multiple platform expansion have affected the ways that people watch conventional television. In the post-TV era, the growing use of the Internet and mobile multi-media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s well as the availability of abundant television content, allows television consumption to be more personalized, diversified, and linked with various media activities, especially social media use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how television viewing experiences have been transform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rans-media uses. Based on Walter J. Ong's concept of relation-ism, which posits that new media transform the meanings and relevance of old media rather than making old media obsolete, this study will pay particular attention to how the cultural meanings of television viewing have been redefined in the post-TV era. For the examination, this study has looked at concrete cases of the television viewing experiences of 29 young people in their twenties. Based on in-depth interview data, this study discusses the newly emerging characteristics of television viewing, its temporal and spatial experiences, and the significance of television as a medium and as a social place.

지난 십수 년 동안 텔레비전을 시청할 수 있는 플랫폼이 다양해지고 다양한 미디어 형식을 결합시킨 소비가 손쉽게 일어나며 국내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 이외의 프로그램 자원이 풍부해지는 포스트 TV 시대가 전개된다. 이 연구는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라 텔레비전 시청 경험의 성격과 의미가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를 주목해보고자 한다. 특히 월터 옹(Walter Ong)의 관계주의적 시각에서 현재의 텔레비전 시청 환경, 시공간 경험, 사회적 장소로서의 텔레비전, 텔레비전 시청의 의미와 위상 등을 구체적으로 관찰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9명의 20대에 대한 심층 인터뷰 조사를 진행하였고, 이러한 인터뷰 사례를 기초로 일상 속에 이용하는 커뮤니케이션 체계가 변화하면서 텔레비전의 의미와 적절성이 어떻게 바뀌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이해해보고자 하였다. 이들의 사례는 텔레비전 시청 경로가 다변화되고 소셜 미디어 이용과 연결되면서 텔레비전 시청 개념이 확장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물리적, 상징적 '모이는' 장소로서의 텔레비전의 의미가 여전히 '잔존'하지만, '집단적인 개인화'와 '개인적 집단화' 라는 다양한 층위의 시청 경험이 만들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