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Among Peer Relation Disposition, Relationship Maintenance effort and School Adjustment of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또래관계성향 및 관계유지노력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 Received : 2012.11.16
  • Accepted : 2012.12.21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peer relation disposition, relationship maintenance effort and school adjustment of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And then the final purpose of the study is to give suggestions to help improving gifted students' peer relationship and their school adjustment. For the study, 175 gifted students and 179 non-gifted students in grades 4 and 6 of 5 elementary schools in urban areas were assessed on their peer relation disposition, relationship maintenance effort and school adjustmen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ifted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on-gifted students as a whole. Second, in the correlation among peer relation disposition, relationship maintenance effort and school adjustment, peer relation disposition and relationship maintenance effort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the subvariables of school adjustment. Third, Sympathy-Acceptance disposition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gifted students, and Independence-Responsibility disposition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non-gifted students. Finally, the cluster analysis results based on the peer relation type of the gifted and the non-gifted suggested four meaningful clusters. And the four cluster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s with all the subvariables of school adjustment.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depth related to the gifted education practices.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이 또래관계성향, 관계유지노력 학교생활적응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 또래관계유형에 따라 일반아동과 영재아동이 학교생활에 어떻게 적응하는지 분석하여 영재아동의 긍정적인 또래관계성향과 학교생활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한 5개의 초등학교 4학년, 6학년 재학생 중 단위학교 영재학급 아동 175명, 일반아동 179명을 대상으로 또래관계성향, 관계유지노력, 학교생활적응검사를 실시하여 각 변인들 간의 차이, 상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군집분석에 따라 또래관계유형을 제안하여 각 유형에 따른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영재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긍정적인 또래관계성향을 가지고 있고 또래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보다 노력하고 있으며 학교생활에 더 잘 적응하고 있었다. 또래관계성향 및 관계유지노력과 학교생활적응은 서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으며 학교생활적응에 가장 설명력이 있는 변인이 일반아동은 독립적 책임감적 또래관계성향, 영재아동은 동정적 수용적 또래관계성향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관계성향과 관계유지노력을 변인으로 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군집이 제안되었고 각 군집의 성격에 따라 또래관계유형을 명명하였으며 군집유형에 따라 학교생활적응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본 연구의 의의와 실용적 함의 및 한계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기술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지숙 (2008). 영재의 완벽주의 특성과 또래관계 성향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 권현진 (2006). 중학생 단짝 친구관계에서의 유지 전략과 만족감.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3. 김지혜 (2001). 영재의 또래관계와 학교생활 적응.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4. 민진숙 (1997). 영재의 또래 지위와 자기지각.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5. 박승철 (2005). 초등학교 과학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또래관계 및 자기효능감 비교.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6. 봉희영 (2002). 초등학교 영재아동의 교우관계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7. 성희경, 한기순 (2011). 영재의 고민과 상담요구에 대한 개념도 분석. 청소년학연구, 18(9), 309-336.
  8. 송영혜 (2007). 또래관계: 진단과 치료. 서울: 집문당.
  9. 송의열 (2002). 영재 아동의 사회 정서적 특성과 스트레스 대처 행동의 이해. 영재와 영재교육, 1(2), 69-95.
  10. 안범희 (1984). 대인관계 적절성과 성향검사의 타당도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1. 윤여홍 (2003). 영재상담과 진로지도. 박성익, 조석희, 김홍원, 이지현, 윤여홍, 진석언, 한기순 외. 영재교육학원론 (pp. 483-520). 서울: 교육과학사.
  12. 이신동, 이정규, 박춘성, (2009). 최신영재교육학개론. 서울: 학지사.
  13. 이슬기 (2011). 자살상담 받는 초등학생 2.6배 증가. 헬스조선(11월 4일).
  14. 이영철 (2009). 초등학교 수학 영재의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에서의 교우 관계와 학교생활 적응 비교.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15. 이정규 (2007). 영재학급.영재교육원 운영실태 및 확대 방안에 대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6. 이주현 (1997). 영재아의 학교적응과 사회성숙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17. 이호선 (2001). 아동의 또래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18. 임용순 (2012). 새학기 초등학생들이 가장 많이 하는 고민은. 아시아투데이(2012년 3월 7일).
  19. 조영란 (2005). 5요인 성격특성과 대인관계성향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20. 조현철 (2010). 영재학생들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 학교적응, 스트레스정도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간 관계. 영재와 영재교육, 9(1), 121-140.
  21. 지용근 (1996). 인간관계훈련이 대인관계성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22. 천성문 (1999). 신경증적 비행청소년의 분노조절을 위한 인지 행동적 집단치료 효과.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23. 한성희 (2002). 영재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4. 홍상임 (1994). 국민학교 1학년 아동의 성별 및 지적능력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25. Austin, A. B., & Draper, D. C. (1981). Peer relationships of the academically gifted: A review. Gifted Child Quarterly, 25(3), 129-133. https://doi.org/10.1177/001698628102500310
  26. Danber, S. L., & Benbow, C. (1990). Aspect of personality and peer relations of extremely talented adolescents. Gifted Child Quarterly, 34, 10-15. https://doi.org/10.1177/001698629003400103
  27. Delisle, J. R. (1992). Guiding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youth. New York: Longman.
  28. Hollingworth, L. S., & Fleming, E. S. (1926). Gifted children: Their nature and nurture. New York: The Macmillan company.
  29. Hollingworth, L. S. (1942). Children above 180 IQ Stanford-Binet: Origin and development. New York: World block.
  30. Karnes, F. A., & Whorton, J. E. (1998). Attitudes of intellectually gifted youth toward school. Roeper Review, 10, 173-175.
  31. Langan, E. J. (2001). A friend like you: Attachment and maintenance strategies in young adult friendships. Arizona: Arizona State University.
  32. Perry, D. C., & K. Bussey. (1984). Social development. New Jersey: Prentice-Hall.
  33. Schneider, B. H., Clegg, M. R., Byrne, B. M., Ledingham, J. E., & Crombie, G. (1989). Social Relations of gifted children as a function of age and school program.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1, 48-56. https://doi.org/10.1037/0022-0663.81.1.48
  34. Silverman, L. K. (1997). Family counseling with the gifted. In Colangelo, N., & Davis, G. A.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2nd ed., pp. 307-320). Boston: Ally & Bacon.
  35. Terrassier. J. C. (1985). Dyssynchrony-uneven development. In J. Freeman (Ed.), The Psychology of Gifted Children (pp. 265-274). New York: John Wiley & Sons.
  36. Webb, J. T. (1993). Nurturing social-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In K. A. Heller, F. J. Monks, & A. H. Passow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nd talent (pp. 525-538). Oxford: Pergamon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