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eismic Fragility Analysis for Steel Fiber Applicability Assessment for Containment Structure of Nuclear Power Plant

원전 격납건물의 Steel Fiber 적용성 평가를 위한 지진취약도 분석

  • 김민규 (한국원자력연구원 종합안전평가부) ;
  • 박준희 (한국원자력연구원 종합안전평가부) ;
  • 전영선 (한국원자력연구원 종합안전평가부) ;
  • 최인길 (한국원자력연구원 종합안전평가부)
  • Received : 2012.01.11
  • Accepted : 2012.08.07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In this study, a seismic risk analysis performed for an applicability assessment of steel fiber in containment structures. Steel fiber can increase tensile properties of concrete structures moreover compressive and shear capacity. But many of researches about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re now only focused in axial load condition. Also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an effort for application to containment structures in NPP. Therefore, in this study, seismic fragility assessment for a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containment structure. As a result, a seismic fragility capacity improved according to increase of shear and ductile capacity of concrete. In the case of 1.0% of steel fiber volume fraction, seismic capacity increases as 10%. But very limited previous experimental results were used in this study, so various element tests were needed for more accurate investigation.

본 연구에서는 Steel Fiber를 원전 격납건물에 적용하기 위한 적용성 평가를 위해서 Steel Fiber가 삽입된 격납건물에 대한 지진위험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Steel Fiber를 콘크리트에 삽입함으로써 콘크리트의 구조적 성능에서 취약점인 인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압축강도 및 전단강도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원전 격납건물에 Steel Fiber를 적용하기 위한 노력은 진행되고 있지 않다. 재료적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원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좀 더 많은 사용경험과 성능검증이 이루어져야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발전소 격납건물에 Steel Fiber를 사용하였을 경우, 격납건물의 지진안전성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기존의 실험자료를 이용하여 취약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Steel Fiber의 함유로 인하여 전단성능과 연성능력이 증가하여 지진취약도의 향상으로 나타났다. Steel Fiber함유량이 1.0%인 경우 지진내력이 10%가량 증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는 제한된 기존의 실험결과를 이용한 예비해석이므로 Steel Fiber의 실제 적용성을 적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Steel Fiber가 함유된 다양한 콘크리트 부재실험을 통하여 그 물성의 변화를 파악하여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수태, 홍기남, 한상훈, 김성욱 (2009) 섬유혼입률이 강섬섬유혼입률이 강섬유보강 초고강도 콘크리트의 인장연화거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크리트학회 논문집, 21(1), pp.13-20.
  2. 곽효경, 나채국, 김성욱, 강수태 (2009) 초고강도 강섬유보강철근콘크리트의 인장강화 모델 및 적용,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9(4A), pp.267-279.
  3. 최인길, 서정문 (2001) 확률론적 지진위험도 분석을 위한 원전 격납건물의비탄성에너지 흡수계수 평가,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5(5), pp.47-56.
  4. 최인길, 서정문, 전영선 (2002) 원전 구조물 및 기기의 지진 취약도 분석 기술 지침, KAERI/TR-2002.
  5. 최인길, 안성문, 전영선 (2006) 비선형 지진해석에 의한 PSC 격납건물의 지진취약도 분석,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10(1), pp.63-74. https://doi.org/10.5000/EESK.2006.10.1.063
  6. 홍창우, 윤경구, 이정호, 박제선 (1999) 강섬유보강 고강도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인장강성모델 개발, 한국콘크리트학회논문집, 11(6), pp.35-46.
  7. Lee, H.H. (2007) Shear Strength and Behavior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Columns under Seismic Loading, Engineering Structures 29, pp.1253 -1262. https://doi.org/10.1016/j.engstruct.2006.08.016
  8. Mazzoni, S., McKenna, F., Scott, M. H., Fenves, G. L., et al. (2006) Open System for Earthquake Engineering Simulation, User Command-Language Manual, Pacific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Center, Berkeley, California.
  9. Priestley MJN, Park R. (1987) Strength and Ductility of Concrete Bridge Columns under Seismic Loading, ACI Structural Journal 84(1), pp.69-76.
  10. US NRC (1973) Regulatory Guide 1.60. Design Response Spectra for Seismic Design of Nuclear Power Pl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