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Osteoporosis is increasing in Korea as it becomes an aging society with the rapid economic growth and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Osteoporosis also develops due to chemo and radiation therapy of cancer which also increases owing to Westernized diet. Osteoporosis is caused by reduced bone density, has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hange of geometry of proximal femur, which is a factor of hip fracture ris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of osteoporosis and the change of geometry of proximal femur, which was observed according to T-score variance. The 350 male and female patients are chosen from D hospital in Busan, who were classified by age, sex and T-score values (normal, osteopenia, and osteo poro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age and gender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osteoporosis; the diseas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score value h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eometry of the proximal femur such as Cortical ratio calcar, Cortical ratio shaft, Hip/shaft Angle, Strength index, Section modulus, CSMI, and CSA, and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incidence of osteoporosis.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change of the geometry of the proximal femur could be used as an indicator in the diagnosis of osteoporosis, could enhance the accuracy of the diagnosis in the future, and could be used as a clinical predictive factor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of T-score variance and the geometry changes of the proximal femur.
우리나라는 급격한 경제성장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골다공증 발병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서구화된 식생활로 암질환이 증가하였고 항암치료과 방사선 치료 등으로 인해 골다공증이 발생하게 된다. 골다공증은 골밀도의 감소로 인한 것으로 대퇴근위부의 형태학적 구조 변화와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대퇴 근위부의 형태학적 구조 변화는 고관절 골절의 위험을 나타내는 요인이다. 본 연구는 T-score변화에 따라 정상, 골감소증, 골다공증으로 분류하여 각 군별로 대퇴 근위부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부산지역의 D종합병원의 남녀 350명을 대상으로 연령, 성별, T-score변화로 질환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연령, 성별에 따라 골다공증의 발병빈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T-score변화에 따른 질환 분류와 대퇴근위부 형태학적 특성의 7가지 파라미터로서 Cortical ratio calcar, Cortical ratio shaft, Hip/shaft Angle, Strength index, Section modulus, CSMI, CSA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골다공증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므로 연구 결과는 T-score변화에 따른 대퇴근위부의 형태학적 변화를 상관관계 분석함으로써 골다공증을 진단하는데 대퇴 근위부의 형태학적 변화가 지표로서 활용가능하리라 사료되며, 향후에 대퇴근위부의 형태학적 파라미터가 골다공증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고 예측인자로서 임상활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