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valuation Scheme on Feasibility in Public Sector for 3D Geo-Spatial Information - Focusing on Production of Digital Mapping

3차원 공간정보의 공공부문 사업성 평가 방안 - 2차원 수치지도 제작 업무를 대상으로

  • 주용진 (인하공업전문대학 항공지리정보과) ;
  • 김강수 (한국개발연구원 공공투자관리센터) ;
  • 함창학 (인하공업전문대학 항공지리정보과)
  • Received : 2012.07.31
  • Accepted : 2012.09.03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In order to carry out efficient investment and successful business in national geo-spatial industry, economic assessment on the field of 3D geo-information has recently emerged as a serious issue.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offer cost-effective evaluation scheme which are proper for 3D geo-spatial information, especially focusing on development of orthophoto and DEM. The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The first section clarifies preliminary rules for feasibility by defining target work and category in order to estimate benefit. Then, this paper will be limited to consideration of production of digital mapping for target business which is expected to create high value and its benefit from cost reduction is suggested. Drawing from the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s, this study comprehensively described final result and implication to examine business value. Consequently, this study can suggest economical evaluation methods on 3D geo-spatial information industry, which takes up a considerable part of immaterial benefit and has difficulties in economic assessment and estimation. preventing a variety of errors in system operation in advance.

최근, 국가공간정보 사업의 효율적인 투자와 성공적인 사업추진을 위해 3차원 공간정보 구축에 대한 관심과 대상사업의 투자 타당성을 판단하기 위한 경제성 분석 과정이 중요시 여겨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차원 공간정보 (정사영상/수치표고모형) 구축 사업을 사례로 국가 공간정보 사업의 효과 측정을 위한 평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내용으로 우선, 3차원 공간정보 사업성 평가를 위한 분석의 틀과 편익 추정을 위한 대상 항목과 업무를 정의함으로써 평가의 기본 원칙을 정립하였다. 이때 경제성 분석의 대상은 가치창출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데이터 공동 활용 편익 중 2차원 지도제작 업무로 한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비용 절감 편익과 절감액 추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적 계층화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이용한 종합분석을 통해 사업성 검토를 위한 최종적인 분석 결과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계량화할 수 없는 무형의 편익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여 편익 추정에 어려움이 있는 3차원 공간정보 사업에 대한 종합적인 경제성 평가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3, GIS 활용체계의 비용효과분석 방법론 연구, 국가GIS지원연구 2003-62
  2. 국토해양부, 2009,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연차 보고서
  3. 국토지리정보원, 2008, 지적통계연보자료
  4. 김강수, 조숙진, 정재준, 주용진 등,2010, 3차원 공간정보 (정사영상.수치표고모형) 구축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 MOSF 최종보고서, 한국개발연구원
  5. 김정옥, 허용, 유기윤, 2004, GIS 사업의 비용편익분석 모형개발, 한국지형공간학회지, 제 12권, 제1호, 한국지형공간학회지, 한국지형공간학회, pp. 79-85.
  6. 김정옥, 유기윤, 김용일, 2004, 웹기반의 GIS 효과측정 시스템 개발, 2004 GIS / RS 공동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 85-91.
  7. 김은형, 이현순, 2001, 지자체 GIS 사업을 위한 비용효과분석 연구, 개방형GIS학회지, 제2권, 제2호, 개방형 GIS학회, pp. 59-74.
  8. 김규한,박찬익,박정옥,2006, 조건부가치추정법에 의한 해안침식 방지사업의 비용편익분석, 한국해양공학회지, 제20권 6호, pp 108-113.
  9. 박준구,조우석, 노명종,송낙현,김민철, 2008, 3차원국토 공간정보 구축 개선방안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16권, 제4호, pp. 89-99.
  10. 신상영, 이창희,이양재, 여창건, 2007, GIS와 치수경제성 분석을 이용한 도시홍수방어수위설정, 2007 공동춘계학술대회 논문집, 한국GIS학회, pp. 424-429.
  11. 우제윤, 구지희, 장성현, 이준우, 2004, Mobile GIS 기술을 이용한 지자체 상하수도 업무 효율의 비용편익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4권 2제5D호, pp. 829-837
  12. 이등,김주형,김재준,2010, 친환경건축물의 비용편익 평가에 관한 연구, 2010년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한국건축시공학회, 제10권 2호, pp. 223-226.
  13. 주용진, 김강수, 함창학, 2012, 국가 공간정보 사업에 대한 비용 편익 분석 방안 - 정사영상/수치표고모형 구축 사업을 사례로, 2012한국측량학회 춘계학술발표회, 한국측량학회, pp.373-374.
  14. 한국개발연구원 공공투자관리센터, 2009, 2009년도 3차원 공간정보 구축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보고서, 한국개발연구원.
  15. 한국개발연구원, 2008, 예비타당성조사 수행을 위한 일반 지침 수정 ․ 보완 연구.
  16. Gillespie S. R., 2000, "An Empirical approach to Estimating GIS Benefits", Determining, Measuring, and Analyzing the Benefits of GIS, URISA Journal, Vol. 12, No. 1, pp. 7-14.
  17. Obermeyer, N.J. 1999. "Measuring the Benefits and Costs of GIS." Longley, Paul A., Michael F. Goodchild, David J. Maguire, and David W. Rhind, ed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pp. 601-610.
  18. Youzhong Liu, Fahong Yu, Stanley Y. W. Su, Herman Lam, 2003, A Cost-Benefit Evaluation Server for decision support in e-business, Decision Support Systems, Vol. 36, pp. 81-97. https://doi.org/10.1016/S0167-9236(02)00133-1

Cited by

  1. 건물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그래프 토폴로지 설계 및 패턴매칭 구현 vol.31, pp.5, 2012, https://doi.org/10.7848/ksgpc.2013.31.5.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