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Traffic Simulation Model Verification Method Using GPS Equipment

GPS를 활용한 교통 시뮬레이션 모형 검증

  • 허혜정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연구실) ;
  • 백종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연구실) ;
  • 한상진 (한국교통연구원 글로벌협력.북한본부)
  • Received : 2012.09.11
  • Accepted : 2012.09.26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Traffic simulation models have been used for assessing various transportation strategies. Through comparing results from a simulation model and real field data, researchers try to show how close the model can reproduce the real world traffic. This model verification step is one of the most essential tasks in modeling procedure. Traffic counts and speeds have been frequently used for the verification or validation. Authors modeled severe PM peak bottleneck situation on the I-40 corridor in Raleigh, North Carolina using DYNASMART-P, a mesoscopic traffic simulation tool and verified the model. NCDOT has Traffic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hich has archive capability for the traffic speeds on the I-40 corridor. However, the authors selected travel time as the field measure for model verification and collected the data using a GPS equipment because the speed data from NCDOT speed detectors are spot speeds which are not appropriate for comparison with link average speed from the simulation model. This paper describes the GPS field data collection procedure, the model verification method, and the results.

교통 시뮬레이션 모형은 실제 교통 네트워크를 모형으로 구현하여 여러 가지 교통정책을 평가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때 모형이 실제의 교통현상을 잘 반영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모형 검증 절차는 가장 중요한 절차 중 하나이며 모형 검증에는 실측 교통량과 속도 등이 주로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노스캐롤라이나 랄리에 있는 I-40 고속도로 상에서 일어나는 심각한 오후 첨두 병목현상을 DYNASMART-P라는 메조스코픽 교통 시뮬레이션 모형으로 구현한 결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축의 경우 노스캐롤라이나 교통국(NCDOT)의 교통정보센타에서 속도검지기를 설치하여 온라인으로 속도를 수집하고 있다. 그러나 검지기 측정 자료는 지점속도이고 시뮬레이션 모형의 결과값은 링크 평균속도이므로 모형 검증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PS 장비를 활용하여 통행시간을 측정하여 모형에서의 통행시간과 비교함으로써 시뮬레이션 모형의 결과를 검증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데이터 수집, 모형검증 절차 및 결과를 서술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D. H. Lee et al, "Parameter Calibration for Paramics Using Genetic Algorithm",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80th Annual Meeting, TRB. pp.6-15, 2001.
  2. T. Toledo et al,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Tools: Stockholm Case Study",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1831,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of the National Academies, pp.65-75, 2003.
  3. 심상우, 최기주, "혼잡상황에서 링크미통과 GPS프로브데이터를 활용한 링크통행시간 추정기법개발", 대한교통학회지, vol. 24, no. 5, pp.7-18, 2006.
  4. 이영우, 임채문, "GPS 수집자료를 이용한 링크통행시간 분포 특성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vol. 22, no. 5, pp.7-17, 2004.
  5. 정연식, 최기주, "GPS probe 및 루프 검지기 자료의 융합을 통한 통행시간추정 알고리즘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vol. 17, no. 3, pp.97-116, 1999.
  6. 최기주, 신치현, "GPS와 GIS를 이용한 링크통행시간 예측기법", 대한교통학회지, vol. 16, no. 2, pp.197-207, 1998.
  7. R. Jayakrishnan and H. S. Mahmassani, "In-Vehicle Information Systems for Network Traffic Control: A Simulation Framework to Study Alternative Guidance Strategies", Texas University, Austin, Transportation Center, 1992.
  8. Traveler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NCDOT, http://tims.ncdot.gov/tims/
  9. SpeedInfo, http://www.speedinf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