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acts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Personal Traits on Job Related Outcome Variables

응급구조사의 성격유형이 직무관련 산출변수에 미치는 영향

  • Park, Jae-Sung (Department of Health Care Administration, Kosin University) ;
  • Kim, Mi-Sook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Choonhae Colleage of Health Sciences)
  • 박재성 (고신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 김미숙 (춘해보건대학교 응급구조과)
  • Received : 2012.06.29
  • Accepted : 2012.08.14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personal traits and job characteristics on job/social stress, job satisfaction, role confli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elf-efficacy. The study population was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ho is working at the hospitals in Yeungnam province. The 200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by using ground mail, e-mail, and personal visits and 156 questionnaires were returned(82.5% response rate). Social stress, job satisfaction and role conflicts were significantly determined by personal traits and job characteristic variables. However, job str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elf-efficacy was only significantly determined by job characteristic variables. In social stress and role conflicts, the subjects with challenge, sociability, acceptance and prudence traits were te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scores compared to the stability traits. Additionally, among social stress regression models, adding job characteristics to the personal traits model, $R^2$ was increased up to 19% and adding personal traits to the job characteristics model, $R^2$ was increased up to 14%. In conclusion, the study found that personal traits and job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variables in explaining social stress, job satisfaction and role conflicts, that would have important managerial implications for recruiting, hiring and managing either new or current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fficiently.

Keywords

References

  1. 보건복지부, 국립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타(2007), 응급의료체계, pp.6-7; 22-27.
  2. 강병우 외 16인(2007), 응급의료관련법령, 현문사, p.113.
  3. 보건복지부, 중앙응급으료센터,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2007), 병원 전 응급의료에 관한 교재개발 배포, p.50.
  4. 이영균, 최인숙(2011), 여성공무원의 성격유형(MBTI)와 직무만족도의 관계분석, 한국정책연구, Vol.11(1);1-21.
  5. 이정선, 유정이(2002), 관리직 종사자의 성격유형과 직무만족요인과의 관계 연구, 한국심리유형학회지, Vol.9(-);31-48.
  6. 조희, 강윤숙, 이옥철, 전시자, 이승한, 윤정금 (1999), 소방대원의 스트레스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적십자간호대한논문집, Vol.23(1);113-125.
  7. 황규대 외 3인 (2007), 조직행동의 이해, 박영사, p.514.
  8. G.R. Pierce, I.G. Sarason(1996), Conceptualizing and assessing social support in the context of the family, G.R., Pierce, Sarason, B. R., & Sarason, I. G.(Ed), Handbook of Support and the Family, New York: Pleum Press, pp.3-24.
  9. 성미혜(2006),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 비교연구 중환자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 비교연구, 간호행정학회지, Vol.12(1);101-112.
  10. 박상섭, 박재성, 박대성(2009), 병원 내 응급구조사의 직무만족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급구조학회논문지, Vol.13(2);99-108.
  11. 박재산, 이미순, 종합병원의 간호조직문화가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Vol.5(3);1-11.
  12. 여진동, 고인호, 방사선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보건의료산업학회지, Vol.4(1);111-123.
  13. 박제일, 이정현, 임승환(2005), ITS(Interpersonal Trait Scale)검사의 타당화 연구,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Vol.8(2);165-181.
  14. 김매자, 구미옥(1984), 간호사가 근무 중에 경험하는 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도구 개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Vol.14(2);28-37.
  15. 김성곤(2002),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정책경영대학원 석사논문, p.45.
  16. R.J. House and J.R. Rizzo(1992), Role conflict and ambiguity as critical variables in model of organizational behaviors, OBHP, pp.345-348.
  17. 김영훈(2001), 병원종사자의 구직구조 및 조직문화 인식과 조직갈등 경험, 조직몰입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57-58.
  18. 서흥수(2002), 119구급대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과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사회복지 석사논문, pp.29-30.
  19. 박재성(2007), 한 종합병원 구성원의 경영목표 지향성의 구조적 모형과 선호 경영성과지표, 보건행정학회지, Vol.17(1);50-74.
  20. 한애경, 김옥수, 원종순(2007), 임상간호사의 성격 유형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와 대응방법에 관한 연구, 임상간호연구, Vol.13(2);125-136.
  21. 임숙빈, 김경의(2005), 간호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와 대처 방식, 정신간호학회지, Vol.14(4);390-399.
  22. 김성경(2003), 그룹홈 청소년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연구, Vol.10(1);117-137.
  23. 양수, 양남영, 차정희(2004), 간호사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별 간호전문직 태도와 직무만족 간호사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별 간호전문직 태도와 직무만족, 간호행정학회지, Vol.10(3);299-308.
  24. 오명옥, 성미혜, 김양원(2011),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피로, 직무 만족 및 조직몰입, 임상간호연구, Vol.17(2);215-227.

Cited by

  1. 간호사와 치과위생사의 행동유형에 따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vol.6, pp.4, 2012, https://doi.org/10.12811/kshsm.2012.6.4.0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