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rogram Development for Environmental Quality Level and Evaluation of Carbon Dioxide Emission in Construction Works

건설사업의 환경성 및 CO2 배출 평가 프로그램 개발

  • Received : 2012.04.09
  • Accepted : 2012.09.27
  • Published : 2012.10.30

Abstract

One-third of total energy and 50% of $CO_2$ emissions arise from construction phase. Because of this global amount of energy consumption and $CO_2$ emission, we must do our best to solve this problem. But our existing ways of meeting this problem has focused on the energy consumption saving of the construction and dwelling stage. On the other hand, we has been treated too lightly for handling the $CO_2$ emissions problem during the maintenance management and the demolition process so far,. In this paper, we quantitatively predicted and evaluated the environmental load in each construction step during all life cycle. And, we developed the environmental load assessment program for each construction step. And we proposed the reliable decision support model for objective and reliable environmental load assessment and reduction. This result must help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technology and low carbon & green growth.

세계적인 에너지 및 온난화 문제로 이에 대한 개선은 필연적인 과제가 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대응은 건설단계와 운용단계의 에너지 소비절감에 집중되어 왔다. 상대적으로 유지관리 및 해체 폐기단계의 관리는 소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 전 생애주기에 걸쳐 각 건설단계 별로 발생하는 환경부하를 정량적으로 예측하여 평가하고, 각 공정별로 환경부하를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건설 전과정에서의 환경부하 평가 및 저감을 위한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의사결정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제 해체공사를 대상으로 시험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친환경 건설기술 개발에 일조하고 저탄소 녹색성장에 기여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경제(2009), 녹색성장 정책 동향과 건설산업의 과제.
  2. 권석현, 김상범(2007), "환경비용을 고려한 공공시설물의 환경 경제성 평가 - 국내다목적담 비상여수로 시설 사례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8(3): 67-75.
  3. 국토해양부(2011), 시설물별 탄소배출량 산정 가이드라인.
  4. 박광호, 황용우, 서성원, 박중현(2000), "고속도로 수명주기에 따른 환경부하 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0(3D): 311-321.
  5. 박필주, 김만영, 이일석(2009), "산업연관표(2003년)를 활용한 산업별 $CO_2$ 배출 원단위 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18(2): 279-309.
  6. 이경희, 권석현, 김상범, 김효진(2010), "건설공사시 발생하는 환경부하량 및 $CO_2$ 평가 프로그램 모듈 구축",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0-11: 61-62.
  7. 이경희, 권석현, 차철, 김효진(2011), "도심지 노후 아파트 해체시의 대기오염 환경 비용 산정",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1-11: 75-82.
  8. 이병윤, 김보라, 김광희(2010), "조적벽의 $CO_2$ 배출비용을 포함한 건설원가 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10(3): 83-90. https://doi.org/10.5345/JKIC.2010.10.3.083
  9. 장우식, 박희대, 한승헌, 전종서(2011), "공공발주자와 민간기업 측면의 건설공사 온실가스 환경비용 영향분석-고속도로 포장공종을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1(1D): 111-117.
  10. 정영선, 최경석, 강재식, 이승언(2008), "건축물의 환경부하 평가를 위한 LCA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5): 259-266.
  11. 조한권(2001), LCA를 적용한 건축물의 환경부하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12. 친환경건출물 인증제도 정보시스템[전자자료], (www.greenbuilding.re.kr).
  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3), 건축물 LCA를 위한 원단위 작성 및 프로그램 개발연구.
  14. 한국도로공사(2009), 고속도로 건설사업 환경영향평가 적용을 위한 온실가스 예측 및 저감대책 연구.
  15. 한국철도연구원(2011), 철도건설현장 탄소발자국 산정 연구.
  16. 황용우(2000), "건설산업의 종합적인 환경부하 평가를 위한 LCA의 필요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48(1): 13-18.
  17. 황용우, 박광호, 서성원(2000), "도로건설에 따른 $CO_2$ 배출량 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0(1B): 113-121.
  18. Forsberg, A. and F. von Malmborg (2004), "Tools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of the built environment", Building and Environment, 39(2): 223-228. https://doi.org/10.1016/j.buildenv.2003.09.004
  19. Gonzalez, M. J. and J. G. Navarro (2006), "Assessment of the decrease of $CO_2$ emissions in the construction field through the selection of materials_Practical case study of three houses of low environmental impact", Building and Environment, 41(7): 902-909. https://doi.org/10.1016/j.buildenv.2005.04.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