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납고무받침의 노화가 교량의 내진성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ging of Lead Rubber Bearing on Seismic Performance of Bridges

  • 투고 : 2011.12.15
  • 심사 : 2012.02.14
  • 발행 : 2012.04.30

초록

지진격리장치로서 납고무받침의 동적 특성은 주재료인 고무재료의 동적거동과 비선형 성질에 의존하고 있다. 역학적이나 환경적인 영향으로 인해 고무재료에 노화가 진행되고 결국에는 손상이 불가피하게 발생하게 된다. 고무재료의 노화의 주원인은 높은 온도에서 반응열로 인한 산화반응으로 알려져다. 이에 따라 납고무받침의 가속 열 노화실험을 수행하여 열 노화 전 후에 대해 받침의 특성값을 상호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열 노화 현상은 전단강성과 에너지 감쇠 그리고 등가감소계수에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열 노화에 의한 동적특성의 저하를 실제 교량에 적용하여 납고무받침의 열 노화가 교량의 교각의 내진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해석을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해석결과 납고무받침에 대하여 열 노화에 따른 기본 특성변화가 교량의 내진성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The dynamic properties of lead rubber bearings, which are used as isolator, are dependent on the main rubber's dynamic behaviors and nonlinear qualities. Rubber materials tend to undergo an aging process under the influence of mechanical or environmental factors, so they can end up inevitably facing damage. A main cause of such aging is known to be oxidization, which occurs through the heat of reaction at high temperatures. Accordingly, in this study an accelerated thermal aging tes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 values of the bearings with each other before and after thermal aging occurs.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a thermal aging phenomenon could have an effect on shear stiffness, energy absorption, and equivalent damping coefficients. Furthermore, a decline in the dynamic properties of the lead rubber bearings by means of the thermal aging process was applied to an actual bridge and the effects of such thermal aging on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bridge were also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numerical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hanges in the basic properties of the lead rubber bearings have a minor effect on the seismic performance of bridge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해양부(2011) 기존 시설물(교량) 내진성능 평가요령, 한국시설안전공단.
  2. 박규식, 정형조, 김운학, 이인원(2003) 교량에 대한 지진격리장치의 내진성능 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3권, 제3A호, pp.457-460.
  3. 오주, 정희영(2010) 적층고무받침의 가속 열 노화 동적특성 영향,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30권 제5A호, pp.417- 424.
  4. 오주, 현기환, 박연수, 박성규(2008) 탄성마찰포트받침을 적용한 교량의 내진성능에 관한 연구, 한국구조물진단학회논문집, 한 국구조물진단학회, 제12권 제1호, pp.127-134.
  5. 정길영, 하동호, 박건록, 김두훈(2002) 저경도 납고무받침의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2권 제6A호, pp. 1295-1307.
  6. 조원제, 최서영, 유종선 역(2000) 고무기술의 기초, 한국신발피혁 연구소, pp. 233-235.
  7. 한경봉, 김민지, 박선규 (2004) 지진격리장치를 이용한 기존 교량의 내진성능 향상,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한국지진공학회, 제8권 제2호, pp. 9-17.
  8. 八坂 厚彦, 水越 熏, 高林 勝人 (1991) 形狀係數をパラメ一タとした積層ゴムの限界特性實驗(その1 復元力特性), 日本建築學會 大會學術講演集, pp. 599-600.
  9. AASHTO (2010) Guide Specifications for Seismic Isolation Design, Washington D. C.
  10. Choi, S.S. (2000) Journal Polymer Science, Vol. 75, p. 1378.
  11. Chou, H.-W. and Huang J.-S. (2008) Effects of Cycle Compression and Thermal Aging on Dynmic Properties of Neoprene Rubber Bearing, Journal of Applied Polymer Science, Vol. 107, pp. 1635-1641. https://doi.org/10.1002/app.26536
  12. Fitzgerald, J.J. and Martellock, A.C. (1992) Polymer Engoneering Science, Vol. 32, p. 1350. https://doi.org/10.1002/pen.760321803
  13. Mott, P.H. and Roland, C.M. (2001) Aging of Natural Rubber in Air and Seawater, Rubber Chemistry and Techology, Vol. 74, pp. 79-88. https://doi.org/10.5254/1.3547641
  14. Kato, M., Watanabe, Y., et al. (1996) Investigation of aging effects for laminated rubber bearings of Pelham Bridge, Eleventh World Conference on Earthquake Engineering, Paper No.1450.
  15. Itoh, Y. and Gu, H.S. (2009) Prediction of Aging Characteristics in Natural Rubber Bearings Used in Bridges. J. of Bridge Eng., ASCE, Vol. 14, No. 2, pp. 122-129. https://doi.org/10.1061/(ASCE)1084-0702(2009)14:2(122)
  16. ISO 22762 (2010) Elastomeric Seismic Protection Isolators Part-1 : Test Methods.
  17. ISO 22762 (2010) Elastomeric Seismic Protection Isolators Part-2 : Applications for bridge- specifications.